<이야기 그림이야기>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이야기 그림 이야기 - 옛그림의 인문학적 독법
이종수 지음 / 돌베개 / 2010년 7월
평점 :
세상엔 많은 이야기가 있다. 많은 그림도 있다. 이야기가 그림이 되기도 하고, 그림이 이야기가 되기도 한다. 이야기와 그림은 서로 윈윈하며 상상력을 동원하게 만들기도 하고, 흥미를 끌기도 한다. 형식도 다양하고, 표현법도 다른 그림이 이야기를 감싸고 있으면 찾아가는 재미도 쏠쏠해진다.
<이야기 그림 이야기>는 권, 축, 병풍, 삽화 4가 종류의 그림에 대해 이야기 한다. 여기에 나오는 그림들은 모두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림 설명 뒤에는 이야기에 해당되는 내용도 있어 이해하기가 쉽다. 이 책이 더 의미있는 점은 현대의 휘황찬란한 그림이 아니라 여백과 선이 살아있는 옛 동양화에 대해 이야기했다는 점이다. 이미 알고 있는 그림의 해석이 아닌, 잘 듣지 못했던 그림에 대한 이야기라 더 빛이 났다.
중국 이야기 그림의 출발이 된 권, 두루마리. 일상생활에서 두루마리 그림을 보기는 쉽지 않다.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갇힌 두루마리 그림을 보아도 솔직히 그렇게 감동적이지 않다. 두루마리에 대해 모르는 게 많기에 당연하겠지만, 어떻게 해석하고 봐야할지 난감한 것은 어쩔 수 없다. 작가는 두루마리 그림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그림 감상법에 대해 말해준다. 그 친절함이 고맙다. 그림을 읽는 방향, 정도 등 친절한 해석은 그림 이야기를 읽는데 도움이 된다. 그것은 두루마리 그림 뿐만이 아니다. 하나의 장면으로 보는 축화, 둘러두고 감상하는 병풍, 이야기 책 속에서 서브 역할을 하는 삽화까지. 기본적인 설명은, 그림을 이해하는데도 큰 도움을 준다.
이야기 그림에 표현법은 다채롭다. 수많은 상징은 설명을 듣지 않으면, 모르고 지나가는 게 당연할 정도. 그 그림의 이야기를 제대로 알지 못한다면, 한낱 그림에 불과할 뿐 이야기로 이해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하지만, 막상 이야기 그림의 이야기 속으로 따라 들어가다 보면, 전래동화나 구전동화를 듣는 듯 그 재미가 쏠쏠하다.
조조의 아들 조식의 이야기가 숨어있는 두루마리 그림 낙신부도, 마음 속의 바라는 세계, 이상향을 나타낸 도원도, 은자로 살고자 했던 도연명의 삶을 표현한 정선의 귀거래도, 김홍도의 서원아집도, 전통, 패러디가 담긴 유쾌한 삽화들. 설명을 듣고 이해할 수록 무릎을 탁치게 만든다. 이야기 그림을 보는 법을 아주 조금, 이제야 걸음마를 하는 것 같지만 알아가고 깨달아가는 것이 쏠쏠하다.
또한, 옛 선인들이 이야기를 그림에 풀어내는 방법. 그 기지는 배울만 하다. 그림 속에 담긴 정신과 마음 또한 책을 읽는 보람과 소소한 재미를 준다. 옛그림을 누가 고루하고 어렵다고만 하는가? 알려하지 않으니 어렵고 부담스러운 것이다. 조금씩 알아가는 옛그림은 또 다른 세계를 열어준다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