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는 흔히 《군주론》의 저자로 잘 알려져 있다. 《군주론》은 위기에 처한 나라를 구원하기 위해 카리스마적 권력을 행사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권모술수도 사용해야 하는 냉혹한 권력자의 모습을 그린 책이다. 이와 달리 《로마사 논고》는 시민들의 정치 참여와 시민적 덕성을 옹호하고 로마의 공화정을 모범으로 제시하는 공화주의론을 설파한다 - <공화주의>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1309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렇게 신분이나 그 밖의 다른 요소에 의지하지 않아도 능력만 있으면 명예와 성공을 얻을 수 있는 자유 정체는 많은 인구가 유입되게 하는 요인이 된다. 자유가 없는 나라에서 자유를 향유할 수 있는 나라로 옮겨 가는 이민자의 숫자가 늘어나는 것은 자연의 법칙과도 같다. 이러한 이주에 따른 인구 증가는 다산多産을 통해 배가된다. 생계유지를 위한 각종 생산 활동의 자유가 보장될 뿐만 아니라, 부모의 신분에 따라서 성공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인으로서 능력에 따라 뛰어난 인물이 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공동체라면 부모들은 기꺼이 아이를 낳을 것이기 때문이다 - <공화주의>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1309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키아벨리에 따르면 모든 정치 공동체는 귀족과 인민 두 계층으로 구성된다. 귀족은 부와 권력을 가진 계층으로, 이들은 지배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반면 인민들은 지배받지 않고 자신들의 생계를 유지하며 자유롭게 살고자 하는 이들이다. 따라서 모든 정치 공동체는 지배욕과 권력욕을 가지고 있는 귀족과 자유애를 가지고 있는 인민들 간의 긴장 관계를 그 기반으로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갈등을 어떻게 관리하는가가 정치의 핵심이 된다. 그리고 이들의 관계 속에서 군주정, 공화정, 무정부 상태의 정치 체제가 성립된다. - <공화주의>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1309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여성은 일생동안 약 450개의 성숙란만을 생산하지만 남성은 평생 약 5,000억 개의 정자를 만든다. 수정에는 단 한 개의 정자와 난자가 필요하므로 난자는 한정된 자원이다. 게다가 여성의 난자가 수정되면 다음 배란까지 2주가 소요되는데, 남성은 몇 시간 안에 정자를 다시 만들어낼 수 있다. 일단 난자가 수정되면 암컷은 태아를 품는 동안
짝짓기를 하지 않는다. 그 기간은 구피의 경우 한 달, 인간은 9개월, 코끼리는 거의 2년에 달한다. 암컷이 태아에 집중하는 동안에도 수컷은 짝짓기를 지속할 수 있다. - < 뇌는 왜 아름다움에 끌리는가, 마이클 라이언 (지은이), 박단비 (옮긴이) > 중에서

28일의 월경주기를 생각하면 35년 정도 난자를 생산한다. 15세에 월경을 시작하면 50세 정도에 완경에 이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움은 감상자의 뇌에 달려있다*’는 것이 내 주장이다.

* Beauty is in - < 뇌는 왜 아름다움에 끌리는가, 마이클 라이언 (지은이), 박단비 (옮긴이)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