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이 쿠바, 거장과 남은 이야기들 ; Soy Cuba, O Mamute Siberiano >>2004. Brasil.90min
 D : Vicente Ferraz
W : Vicente Ferraz
M : Jenny Padron
<<소이 쿠바>>에서 학생들의 장례를 치르는 골목의 씨퀀스가 등장하는 명장면으로부터 이 다큐도 시작된다, 영화의 바로 그 장면이 있었던 현재의 장소에서. 제일 처음으로 만났던 것은 주연 배우였는데, 그는 이 장면에 자신이 있었던 사실도 기억하지 못해서 감독은 물론 우리에게 까지 충격을 줬다. 그 정도로 <<소이 쿠바>>란 영화는 그들에게 30년 동안 잊혀진 기억이었을 뿐만 아니라 재평가 되었다는 사실도 남의 얘기였던 것이다.
1960년대 쿠바혁명기의 아바나 입성 후 쿠바예술진흥원이 세워지고, <<혁명 이야기>>를 촬영하도록 전폭지지 했던 체의 서한도 등장한다. 그리고 소련과 합작으로 혁명을 기념하고 인간과 사회, 감성을 위한 영화촬영 계획 끝에 마하일 칼라토조프 감독과 200명의 스탭들이 <<소이 쿠바>>를 찍게 됐던 이력과 작업 과정을 당시 출연했던 배우들과 스텝들에게서 생생히 듣는 시간이 되었다. 또한 <<소이 쿠바>>가 개봉 일주일 만에 극장에서 철수하고 30년간 잊혀질 수 없었는지의 이유도 짚어 주었다.
당시 최고의 주가를 기록하던 칼라토조프였기에 그가 5천명의 군인이 필요하다고 하면 카스트로는 5000명의 군인들을 지원해줄 정도로 전폭적인 지원이 있었다. 스텝들과 배우, 쿠바 시민들도 이 영화와 감독, 조감독, 촬영감독에 대한 애정과 흥분이 있었다. 그러나 영화가 개봉된 후 쿠바에서도, 소련에서도 최악의 평과 흥행 실패를 맛본다. 그 이유는 쿠바와 소련은 정서가 틀린데, 쿠바인들은 차라리 부라질의 시네마노보 계열이 더 쿠바에 적합했다고 회상한다. 너무 느릴 뿐 아니라 정열적인 쿠바 대중의 기호도 살리지 못했기에 이 영화 제목이 '나는 쿠바가 아니다'라고도 회자되었다.
소련에서도 너무 이상주의적으로 그려진 데다가 미국식 생활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에피소드가 있어 대중에게 보여주기엔 적합하지 않다는 판정을 내렸기 때문이다.
그 후 소련은 붕괴되고 미국의 대치 진영이었던 소련의 지원 떠나가자, 쿠바 경제는 격감, 침체의 일로를 걷는다. 혁명의 이상향은 칼라토조프의 영화에서나 찾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30년 후 마틴 스콜세지와 프란시스 코플라의 눈에 이 영화가 발견되었다. 덕분에 현재에도 도저히 가능할 것 같지 않은 위, 아래, 옆으로 유려하게 움직이는 카메라와 정확하게 계산된 배우의 동선이 있는 롱 테이크를 감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쿠바에 대해서 우리가 너무나 몰랐기에 늦은 재발견이 이렇게 안타까운 것인지도 모른다.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을 그들의 인생에 끝자락에서 발견하게 된 것처럼.
다큐 관계자들이 <<소이 쿠바>> 비디오 테잎을 선물하면서 걸작이란 당대의 평가를 들려주자 그들은 무척 놀라워한다. 이에 대해 그들은 경제적 이해관계의 변증법이라고 결론 내린다.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고 비판하다가도 공산주의가 해체된 후 비평가 1명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혁식적 미학을 호평하기 시작하면 다시 비슷한 호평이 붐이 된다고. <<소이 쿠바>>에서 우리는  볼셰비키의 환영과 혁명의 이미지, 그리고 쿠바를 본다.
비록 쿠바에서는 실패했지만 그 영화를 본 감독 및 영화제작자들에게 <<소이 쿠바>>의 영상은 각인되었다는 사실에 영화의 저력을 다시금 깨닫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카메라 앵글 속의 아버지 ; Tell Them Who You Are>>2004.USA.94min
D  : Mark S. Wexler
W : Robert DeMaio , Mark Wexler
M : Blake Leyh

마크 웩슬러는 전설적인 촬영감독이자 자신의 아버지를 디지털 카메라 속에서 가감 없이 담아내려고 노력하는데, 사사건건 이어지는 아버지의 충고와 비아냥에 그간 끄집어내지 않았던 부자와의 문제를 폭발시키고 만다.
처음 아들이 잡아낸 아버지는 부고란을 보며 명성어린 지인들의 동정을 살피는 모습이거나, 아들에게 카메라 감독으로서 잦은 충고를 일삼는 고약한 모습이다. (물론 아버지의 충고에 따르지 않은 아들은 2시간의 음향을 날려 버린다) 그렇게 할리우드나 유명인사들이 인터뷰를 따면서 대외적인 아버지의 모습을 열심히 담는데, 실제로 내가 보기에도 다큐 제작과 관련된 거슬리지 않는 충고들이 대거 등장해 귀담아 들을만 했다.
아들은 <<에어 포스 원>>의 다큐를 제작할 때 조지 부시를 포함한 전직 세 대통령을 만난 경험을 대단히 여기고, 조지 부시와의 찍은 사진을 자랑스레 아버지에게 갖다 주자, 정작 아버지는 "너 다워, 마크", "거장들의 전화가 오고 그러면 행복한거지. 그렇지만 나는 그런 행복을 느끼기엔 좌익성향이 강한 것 같다"라고 한다. 또 마이크가 에스어포스 다큐를 위해 전용기에 부시와 동승한다고 자랑스레 말하자 아버지 왈 "그럼 넌 테러가 일어나도 안전하겠구나, 국민이 뽑지 않은 대통령이더라도 안전은 보장할 테니까"
이 에피소드만 봐도 아버지와 아들은 많은 것이 틀리다. 정치성향부터 시작해서 일상생활, 신념, 철학이 모두. 아들은 결국 아버지와 반대로 갈려고 노력하던 끝에 정치적 반대노선은 물론, FBI에 대한 친밀감도 굉장했다.
좌익성향이 대단했던 아버지는 영화 대본에 시위장면이 있자, 실제 폭동이 일어나고 있던 장소에 배우들과 감독을 데려가 영화촬영을 했다. 헤스켈은 촬영도중 최루탄을 맞기 까지 하고. 결국 이 때 촬영한 영화는 다큐와 허구가 함께 버무려진 영화가 되고 말았다. 루카스 제작, 헥스터 연출, 각본의 <<라티노>>는 니콰라과에서의 화약고에서 그렇게 만들어졌다.
'아버지는 세상의 부정과 싸워 오셨고 그렇기 때문에 정치성향이 강하지 않은 아버지 친구 콘래드에게 더 따뜻함을 느꼈으며 아버지로 여겼다'라고 아들은 말하는데, 일종의 아들이 아버지에게 보내는 복수의 멘트 같다고 느꼈던 것은 나만의 착각일까? 그래서인지 후반부에는 <<뻐꾸기 둥지위로 날아간 새>>를 찍었던 감독과의 최악의 경험을 비롯해서 아버지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부정적인 아버지 모습에 더 초점을 맞춘 듯 느껴졌다.
마이클 더글라스의 '매사에 비판적이었던 것이 인상적이었으며, 아버지처럼 저를 과소평가 하는 것이 제 아버지와 닮았죠'라는 멘트도 비중있게 다룬 것은 아마 마크 감독의 동감의 이유로 인한 표현이 아니었을까?
정작 나는 헤스켈 렉슬러에 대한 호감을 많이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인터뷰나 아들에게 하는 멘트들이 왜 그리 정곡을 찌른다는 느낌인지.
반전 데모장에 가는 도중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은 건 나엿다는 걸 잊지 마라'라고 아들에게 말해서, 나는 아버지가 돈 쓴 생색 내는 것인 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쉐브론 주유소였다. 아마 부시와 연결시켜 한 뼈있는 조크였던 것 같다.
멕시코의 한 아름다운 교회 앞에서 아들이 이를 찬미하자, 아버지가 이의를 제기하고 아들은 매사에 부정적이냐고 대꾸, 다시 아버지는 아름다운 교회지만 식민지의 상징이기도 하다면서 '역사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현실의 결과를 묵인하는거야라고 한다.'
자신이 좋아하는 재즈 가스 로니 길버트를 반전시위장에서 봤다는 사실 하나로 기뻐할 정도지만, 안에서는 촬영을 많이 했으니 밖에서도 찍자는 아들의 요구는 묵살해버리는 일면도 있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배경보다 내용의 중요성을 충고한다. 아들이 일몰 때문에 고집을 부리자, 일몰 같은 것은 나중에 따로 찍어서 잘라붙이던지 하라 그러면서 결국 언쟁으로 바뀐다. 그리고 이는 아버지와 아들의 순조롭던 다큐의 일정에 지장을 가져온다. 다른 작업은 다 하면서 정작 아들과의 촬영은 시간이 없다는 핑계를 대는 등.
아버지가 쿠바 자금원조 5인과의 다큐를 만드려고 하자 아들은 에어포스 관련 자기의 현재 작업 때문에 말썽 생기는 것을 원치않는다면서 아버지를 말리려고 하고 아버지는 다시 역정을 낸다. 거기다 아들에 대해 한 술 더 떠 일침을 놓는다.
'마크는 나를 이기려고 한다. 부시와 전용기를 타는 것도 그런 이유지. 자신이 나 만큼 유명하단 사실을 알리고 싶은거야, 나도 지금 같으면 좋은 아버지가 됐을텐데, 너를 이처럼 엉망으로 안 만들었을텐데'라고 하다.
아들에게 '멍청하구나', 아들은 아버지에게 '멍청하다 그러셔서 감정을 표현하면 연기하지 말라고 하셨죠'라고 대꾸한다. 이에 아버진 '대부분 사실이잖니'라며 멍청하다고 아들을 놀린다. 빠르게 굳어지는 아들의 얼굴.

여기서도 알 수 있지만 이 다큐의 가장 큰 특징은 감독이 관찰자가 아닌 갈등관계에 정점에 서 있다는 것이다. 피사체도 마찬가지로 역작용을 일으켜 오고.
그러나 아버지의 편만을 들을 수 없는 것이 아들의 의도대로 후반부 들어서 속속 펼쳐지는 사실들 때문이다. 차 애호가에, 자상하지 못한 아버지에, 가정적이지 못했던 모습, 많은 여자들, 어머니를 버린 아버지 등.
또한 아버지는 음모론에 심한 강박이 있는데,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촬영당시 FBI가 밀로스 감독에게 헥슬러를 해고토록 종용했을 것이라고 하기 까지 한다. 물론 그런 사실은 없다고 밀로스 감독은 말하고, 엘리아 카잔도 헥슬러의 과한 이의 제기와 휘두름에 갈등이 깊었던 감독이기도 하다. 
또한 아버지는 색맹이기도 했는데, 촬영감독으로서 상상할 수 없는 핸디캡이었다. 이에 헥슬러는 색에 대한 감각이 떨어지는 것은 오히려 장점이었지만 떠들고 다니기 싫었다고 술회한다.
그리고 마크는 알츠하이머 요양소에서 쓸쓸히 버텨가는 이혼한 어머니를 찾아간 아버지의 눈물을 보여준다. 가정적이지 못했던 아버지의 후회의 눈물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그 이후의 인터뷰에서 아버지는 모두 선글라스로 눈을 가린 모습이다. 어쩌면 아들에겐 아버지가 커다란 숙제였지만, 정작 아버지에겐 아들보다 아내에 대해 더 많은 마음의 숙제를 가졌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보기도 했다.
같은 특권 계층에 태어난 것으로 죄책감을 느꼈을 정도로 헥슬러를 잘 이해했던 제인 폰다와의 만남은 부자의 갈등관계를 이해하고 아들에게 드리워지지 않은 부자의 사랑을 나름대로 여과시켜준다.
그렇게 부자는 어색하지만 이 영화를 끝내야 하는 까닭에(내 눈엔 그렇게 보였다) 서로의 등을 껴안으며 화해한다. 지인들이 대사건이라고 경악할 만큼 아버지는 그 후 지금껏 아껴왔던 많은 카메라를 판다.
그리고 완성되어진 마크의 다큐 영활 엔딩까지 다 보는 아버지의 뒷 모습, 영화 찍는 내내 아들이 졸라대던 공개요구서에 드디어 사인을 하는 아버지의 앙상한 손가락으로 엔딩을 처리한다. "Good Night Home"

지금껏 가족의 유대를 소재로 한 많은 영화를 보아 왔지만 그것은 언제나 동화라고 생각했다, 미화된 우리들의 현실. 실제로도 가족이 서로를 보는 눈은 언제나 틀리고 절대 이해를 낳을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단지 가족이기에 타인보다 조금 더 보듬어주고, 지치지 않게 모른 척 해줄 뿐이라고. 그런 생각을 여실히 확인시켜준 다큐멘터리였고, 인간의 결함이라는 것은 누군가가 메길 수도 없고, 누가 누구를 서로 탓할 수 없다는 사실을 다시 느꼈다.
가정적이지 않으면 어떤가? 서로 틀리면 어떤가? 그냥 그렇게 살아가자. 상처를 받더라도 그것은 그것 대로 가족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임을 부인할 수 없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다큐의 거장, 페니베이커와 헤지더스 이야기>>2005.Germany.85min
D : Gerold Hofmann Rhee
A : Chris Hegedus
     D.A. Pennebaker
페니베이커는 밥 딜런을 잭 케루악의 책 속에 나오는 사람같았다고 하며 <<뒤돌아 보지 마라 Don''t Look Back>>1965.를 촬영할 당시를 회상한다. 그 이후 한 피아니스트의 공연 실황을 찍으면서, 조명에 비친 피아니스트의 손가락이 드리운 그림자에 우연의 아름다움을 포착한 후 그 경험이 자신을 영화계로 돌아가는 것이 싫어지도록 했다고 한다. 
<<베이비>>1953에서 한 아이를 찍으면서 카메라를 각본에 맞출 수 없다는 사실을 알았으며, <<예비선거>>1960에선 케네디 선거 과정을 담고 있는데 헤지더스의 아이디어로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신기술을 선보였다. 동시다발적 촬용이 많았던 <<위기>>, 그 외에도 <<제인>>, <<꽃>>1971, <<점쟁이>>1975, <<작전실 The War Room>>, <<누군가를 사랑하기 전까진 아무것도 아니다>>, <<징글벨>>1964, <<슈트라우스 장관>>1965,
대부분의 음악가들이 모두 나온 최초의 야외공연을 담은 <<몬트레이 팝 Monterey Pop>>, 데이빗 보위를 소재로 했던 <<지기 스타더스트와 화성에서 온 연인들>>의 작업경력과 함께 돌아보며 두 콤비가 말하는 회상을 주로 담고 있다.
지미 헨드릭스의 공연실황을 ABC와 함께 작업했지만, TV쪽 일을 그만둔 계기가 되었던 에피소드를 말하고, 헤지더스가 손꼽았던 <<타운 블러디 홀>>1971.에서 저메인과 노먼이 보여줬던 불꽃튀는 열전이 재밌었다며 페미니스들의 토론회를 60연대의 마지막 해프닝이었다고 추억한다.
존 레논, 오노 요코, 에릭 클랩턴의 <<스윗 토론토>> 가 로큰롤의 진수였다고 회상하며, 케네디 에너지 법안 투쟁을 다룬 <<에너지 전쟁>>1979, 민주당 전당대회부터 선거일까지를 담았지만, 클린턴 대통령 선거 필름과 다름 없었던 <<워룸>을 이야기하며 카메라가 제임스 카빌이란 한 사람을 쫓았기에 더 흥미있었다고 손에 꼽는다. 그 외에도 연극을 담은 <<브로드웨이에 뜬 달>>1998, 8만여명의 팬이 운집했던 종교집회 같았던 디페쉬 모드의 공연실황 <<디페쉬모드101>>을 찍으며 신났던 때, 지한 누라임과 헤지더스가 담아냈던 칼라일 터즈만의 창업스토리지만 결국 우정의 이야기였던 <<스타트업 닷컴>>2001들이 등장한다. 마지막으로 깐느에 <<하산>>과 <<스타트업 닷컴>>을 갖고 레드까펫을 밟은 마지막 에피소드까지 신나게 풀어대는 두사람의 얘기에 시간 가는 줄 몰랐다.
이 다큐를 보고 내가 나중에 충격을 받았던 것은 두 사람이 부부였다는 사실이다. 맨 마지막에 아이들 이야기가 등장하기 전 까지 두 사람이 시종 풀어낸 이야기는 그 둘이 합침으로서 더 견교해진 작품의 완성도와 파트너 쉽에 관한 것들이었으니까. 헤지더스가 페니베이커에 편승한 결혼관계가 아니라 인생과 일의 동반자로서의 두 사람의 견교한 결합으로 비추고 있고, 그것이 그렇게 부러울 수 없었기 때문이었나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폐허 속의 수업 ; Lesson from Bam>>2004.Austria / Iran / Australia.23min
D : Alireza Ghanie
2003년 12월 이란의 도시 밤을 진도 6.8의 지진이 강타했다. 6만 8천여명의 희생자가 발생하고 고대 페르시아의 유적은 황무지에 돌가루로 변해버렸다. 40여일 후 어제보다는 내일을 위해 아이들을 모아 학교를 열고, 그 가운데서도 배우려는 열망에 흙먼지가 날리는 벌판에 책상과 의자만 갖고도 눈이 반짝거리는 아이들의 모습에 감동을 받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체코 드림 ; Czech Dream ; Cesky sen>>2004.Czech.87min
D : Vit Klusak, Filip Remunda
W : Vit Klusak, Filip Remunda
M : Varhan Orchestrovich Bauer
두 영화학도가 '체코 드림'이라는 허상의 대형매장을 열기 위해 마케팅 분석부터 광고 제작, 홍보의 과정을 주로 담고 있으며, 오픈 당일 허허벌판인 '체코 드림'의 광고판 앞에서 발길을 돌리는 사람들, 그리고 이를 다룬 매스미디어들의 분석들 까지도 담아내고 있다.
사회주의 체제에서 자본주의의 체제로 급격한 전환 이후, 소비의 이미지에 쇄뇌되어 버린 사람들은 무작정 유럽통합을 반대하는가 하면, 단순한 광고도 '체코 드림' 스캔들에 못지 않은 사기성을 내포하고 있음을 자각하지 못한다.
물론 이 영화는 그 후 성공을 거두게 되고 멀티 플랙스 영화관에서 상영되고 있으니, 애초에 그들이 지적한 '자본주의에서에 소비=소통의 부재에 대한 경고'는 그 힘을 잃어버렸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