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람풍경 - 김형경 심리 여행 에세이
김형경 지음 / 예담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정신분석이나 심리학에 관심이 많았다.
카톨릭대에 심리학과 대학원(야간)이 생겼기에 다녀볼까 심각하게 고민을 하기도 했다.
성형외과 의사인 한 선배와 얘기하다가 내가 정신과에 막대한 관심을 보이자 그 선배는 이렇게 말했다.
" 걔네(신경정신과 의사들) 책 쓰고 방송에 나와서 떠드는거 다 구라야. 걔네가 뭐 환자를 상담해서 치료하는지 알아?
요즘에 좋은 약이 얼마나 많은데.....우울증 치료제도 얼마나 많은지 알아? 걔네 다 약물치료해.방송 나와서는 말 많이하고...."
선배의 말이 어느 정도 사실인지는 몰라도,
그 말을 듣고 많이 실망했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그런거야?"
<사람 풍경>은 몇년에 걸쳐 정신분석을 받은 김형경이
자신이 여행에서 만난 사람들과 여행하면서 발견한 자기 자신을
소재로 쓴 "아마츄어 정신분석"이다.
이 책은 <무의식>,<사랑>,<대상 선택>,<투사>,<콤플렉스>,<자기애>등 주제별로 쓴 에세이로 구성되어 있다.
자기자신,주변 사람들, 여행지에서 만난 사람들의 행동 하나하나를 정신분석이라는
"tool"로 단정지어 얘기하는데, 읽는 내내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친절한 사람을 보면 친절이라는 "방어기제"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하고,
칭찬을 많이 하는 사람을 보면 말로써 타인을 움직이려는 "방어기제"를 사용한다고 한다.
아....책에 나온 사람들이 불쌍하다.
그렇게 칼로 무 자르듯이 "재단" 당하다니....
읽으면서 막 화가 났던 부분도 있다.
뉴질랜드 여행 중에 담배가 떨어진 김형경.
담배를 피우고 있던 마오이족 여자한테 담배를 빌렸다.
잠시 후 그 여자는 김형경한테 담배를 하나 더 권하며 활짝 웃었다.
그 여자의 친절을 김형경은 이렇게 표현한다.
그때 그녀는 다만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친절 정도가 아니라 담배를 준다는 행위에서 그토록 기쁨을 느끼는 사람의 표정을 짓고 있었다.누군가에게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 대해 기뻐하는 심리,그런 행위에서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정받는다고 느끼는 자의 마음에 닿는 것 같았다.그것은 중독에 취약한 사람의 특성이기도 했다.(p102)
아...그럴리 없겠지만 담배를 빌려준 마오이족 여자가 이 글을 읽는다면 얼마나 화가 날까?
좋은 마음으로 담배 빌려 줬다가 별것도 아닌 일에 "존재 가치" 얘기까지 듣다니....
화가 나기도 하고, 우습기도 하다.
뭐가 그렇게 다 이유가 있는지....
뭘 그렇게 다 "정신분석"에 맞추어 설명을 하려 드는지...
이 책을 읽으면서 때굴때굴 구르면서 웃은 적도 있다.
한밤에 전화해서 서너 시간씩 고통을 호소하고 어떤 문제에 대해 상담해주기를 바라는 후배가 있었다.그와 전화 통화를 서너 번 반복한 다음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서운하겠지만 잘 들어.지금 네가 원하는 것은 나의 조언이 아니라 엄마의 사랑이야.그것도 유년기의 아기가 환상 속에 창조해둔 이상화되고 미화된 엄마의 보살핌이야.그러니 아무리 나와 많은 이야기를 나눈다 해도 네가 원하는 것을 얻을 수는 없어.이런 일이 계속된 후에 네가 도달하는 곳은 문제가 해결되는 곳이 아니라 나에 대해 화가 나는 지점일 거야.네 안에 억업되어 있는 엄마에 대한 분노를 내게 투사하게 될 거야.네속에서 엄마를 부르며 투정하는 아기는 다른 누구도 보살펴줄 수 없어.성인이 된 네가 스스로 보살펴야 해."(p96)
아...정말 너무 한다.
힘들어서 전화한 후배에게 정신분석 이론 강의까지 하다니...
그런데 이렇게 모든 것을 "재단"하고야 마는 김형경은
스스로 자신의 이런 경향을 알고 있다.
이유 없이 저항감을 안게 되는 부류의 사람이 또 있었는데 그것은 가르치고 지배하려는 말투를 가진 사람,자신의 가치관으로 타인의 행동을 재단하는 사람,상대방의 마음에 대해 다 안다는 듯한 말투를 쓰는 사람들이었다.그것은 내 엄마의 특성이면서동시에 나의 내면에도 있는 것이었다.(p140)
나도 김형경의 "단정적인 글쓰기"에 저항감을 느낀다.
칭찬을 들으면 그냥 기분 좋게,
친절한 사람을 보면 그냥 감사하게,
주위 사람들을 분석하지 않고 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