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보복대행전문주식회사 세트 - 전2권
이외수 지음 / 해냄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복대행전문주식회사'

어떤 내용인지는 몰라도 이런 회사가 있다면 한번쯤 사건을 의뢰해 보고픈 생각이 든다만,

이 회사는 개인적 원한관계를 풀어주는 흥신소 성격이 아닌 사회악을 사랑과 정의의 이름으로 처단하는걸 목적으로 어떤 이익도 추구하지 않는다.

주인공 정동언은 화천에서 작은 수목원을 운영하는 서른 살 청년이다.

소위 금수저. 독립운동가의 후손임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살았던 그는 중학생 때 자신이 친일파의 자손이라는 사실을 알고 충격을 받은 후

대인기피 증상이 생기고 스스로 은둔형 외톨이가 된다.

정동언에게는 모든 식물들과 대화할 수 있는 신비한 능력을 갖고 있다.


식물과의 교감을 채널링이라고 부른다.

처음에는 식물들의 소리를 다 들을 수 있는걸로 이해하고는 마치 'What women want' 영화처럼 머리가 어지럽지 않을까 했는데

그보다는 PC통신 채팅방이나 카톡과 비슷하다.

채널링을 개설하고 일대일 혹은 다수의 수목들과 대화를 하고, 염사도 전송할 수 있다.


이 부분이 바로 이외수 소설의 특징이지 않을까 싶다.

아주아주 오래전 '칼'을 읽은 후 이외수 소설은 참으로 오랜만이다.

도인같은 작가의 이미지도 그렇지만 소설속에도 그런 부분들이 등장한다.

처음엔 신선했다. 와~ 이런 기발한 생각이라니!

정말 있을법한 얘기같아서 흥미로웠다.

동물학대자, 일진, 교묘하게 아동학대하는 어린이집 선생님, 돈과 권력에 눈이 먼 언론인, 교수, 정치가들을 차례로 응징한다.

특히 녹조라떼의 장본인 MS라고 나오는 정치가는 꼭 누구라고 말하지 않아도 누군지 다 알수 있어 소설 속 응징의 일들이 현실이 되길 바라면서 읽었다.

거기까지는 그랬다.

채널링에 이젠 몇겁의 전생을 겪은 외계인의 등장에는 조금 황당하기도 하다.


카카오페이지에서 연재했던 내용인지라 그런지 중복되는 내용이나 앞서 일어난 일에 대한 부연설명이 너무 자주 등장해서 읽는데 흐름이 깨지곤 했다.

정동언의 오랜 그리고 유일한 친구 박검사의 아재개그 역시 너무 자주 등장하거니와 이해는 독자의 몫으로 남겨두지 그걸 다시 설명해주는 지나친 친절함이 불편했다.

그리고 정말로 '통쾌한 복수'를 기대하며 읽었으나 기대했던 것 만큼 보복의 수위가 높지 않아서 사실 실망스러웠다.

좀더 따끔한 더 통쾌한 더 잔인한 복수를 기대했는데 말이다.


나무를 비롯한 식물들의 신비한 능력에 인간이 참으로 미약한 존재이구나 느끼기도 했다.

식물이 정말로 그런 능력들을 가지고 있을까?

CCTV처럼 일거수 일투족을 다 볼 수 있다고 생각하니 어쩐지 오싹해진다.

다행인걸까? 우리집에는 베란다 밖 나무들 말고는 없다는 거. ㅎㅎ



백량금의 설명에 의하면, 대부분의 인간들이 염사 불능 상태에 빠지는 이유가 머리로 어떤 문제에 접근하려 드는 습관때문이다. 머리로 접근하면 대상에 대한 실체도 볼 수 없으며 대상에 대한 본성도 느낄 수가 없다. 머리는 측은지심도 느낄 수가 없으며 아름다움도 느낄 수가 없다. 머리는 알기 위해서 존재하는 도구이지 느끼기 위해서 존재하는 도구가 아니다. 사랑은 머리로 아는 것이 아니라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다. 대상에게 머리로 접근하면 당연히 합일이 불가능해진다. 아름다움도 마찬가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대상과의 합일은 오로지 마음으로만 가능하다.
- P24

인간은 과연 만물의 영장일까. 나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인간은 생존 경쟁이라는 말을 자주 사용한다. 약육강식이라는 말도 자주 사용한다. 그리고 그것을 당연한 법칙으로 받아들인다. 하지만 그것은 인간에게 당연한 법칙이 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정글의 법칙이기 때문이다. 정글의 법칙은 동물들에게나 통용되는 법칙이다.
인간이 만물의 영장인 이유는 지능이 높아서가 아니다. 만물을 멸살할 수 있는 무기를 보유하고 있어서도 아니다. 지구상에서 오로지 인간만이 만물을 사랑할 수 있는 가슴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다.
(...)
인간이 정말 만물의 영장이라면 약자가 쓰러져 있을 때 강자가 잡아먹어서는 안 된다. 그러면 인간이 아니라 동물이다. 쓰러져 있는 약자를 보았다면 강자가 손을 내밀어 일으켜 세우고 비록 느리더라도 목적지까지 함께 갈 수 있어야 만물의 영장이다. 그래야 인간이다.
- P42

"세상에는 악한 사람들보다는 착한 사람들이 더 많다고 말하지만 이런 놈들이 벌을 받지 않고 승승장구하는 모습을 보면 착한 사람도 금방 악한 사람 흉내를 내면서 살고 싶어집니다."
- P161

약간 쌀쌀한 바람이 불고 있었다. 봄이 오기 전 꽃을 시샘하여 분다는 꽃샘바람. 이름은 예쁜데 심성은 야멸차다. 하지만 삼십 년 사랑온 내 인생 경험만으로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것들이 있다. 겨울은 새봄을 이기지 못하고 어둠은 광명을 이기지 못한다. 악담은 덕담을 이기지 못하고 짝퉁은 진퉁을 이기지 못한다. 탐욕은 청빈을 이기지 못하고 미움은 사랑을 이기지 못한다.

그런데 왜 세상은 엉망진창일까.
- P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기가 할 말 있대!
하이디 트르팍 지음, 라우라 모모 아우프데어하르 그림, 이정모 옮김 / 길벗어린이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래도 다시는 만나지 말자, 제발
내가 너땜에 아주 미춰버리겠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친구 루이 비룡소의 그림동화 69
에즈라 잭 키츠 글 그림, 정성원 옮김 / 비룡소 / 200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앤서니 브라운 만큼이나 어려운 작가 에즈라 잭 키츠
아이들 보다는 어른이 봐야할 그림책이다
녀석들은 뭔말인지 이해하지 못한듯
어렵지 암 어렵지
수지와 로베르토 같은 따뜻한 마음을 가진 아이들로 자라주었으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이 동이 불동이 달고나 만화방
김현민 지음 / 사계절 / 2017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적 만화책을 보며 실컷 웃기도 하고 맘껏 상상의 나래도 펼치기도 했는데

아이에게는 순수만화 보다는 학습만화를 더 보게 하는 것 같다.

그만큼 학습만화의 폭이 넓어지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독서를 교육적 목적으로 이용하려는 불순한(?) 나의 의도때문이지 않을까 싶다.

만화가 나쁜 것은 아니라는걸 겪어봐서 알면서도 말이다.

그런 와중 우연히 사계절출판사에서 달고나 만화방 순수만화 시리즈가 출간되고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동이 동이 불동이' 역시 달고나 만화방 시리즈 중 하나다.

 


'동이 동이 불동이' 등장인물.

주인공 불동이와 팔봉도사, 잔소리 심한 빗자루, 변신술이 약한 꼬리 세개뿐인 구미호 등 재미있는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동이 동이 불동이'는 총 일곱 꼭지로 구성된 이야기다.

불동이는 하늘에서 떨어진 불도깨비인데, 인간세상을 어지럽혀서 팔봉도사에 의해 봉인된다.

팔봉도사 밑에서 수련하며 하루에 하나씩 착한 일을 해야 풀려나는 불동이.

잔소리쟁이 빗자루와 친구가 된 미호와 함께 착한 일을 쌓다 어느새 마음에서 우러나와 정말로 착한 일을 하게 된다.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도우면서 함께 더불어 살아가는 법을 배우게 된 불동이는 자유를 찾게 되는데...

​​

도깨비, 도사, 여우 등이 등장해서 옛이야기처럼 친근하고,

그림도 저학년들도 보기에 부담없이 깔끔하다.

요즘 만화책은 나 어릴적과 달리 이렇게 올컬러라서 더 생동감이 느껴진다.


 

녀석과 난 착한 일을 한다는 것이 대형사고를 치고 마는 이 장면에서 제일 많이 웃었더랬다.

잠깐동안이지만 아이가 된 듯 기분이 좋았다. 

꼭 "학습" 목표가 있는 만화가 아닌 순수만화, 창작만화에서도 얼마든지 배움의 길은 있는 것 같다.

모처럼 아이와 함께 만화를 보며 추억에 빠지기도 했고, 아이와 교감의 시간이 되기도 했다.

불동이는 이제 착한 도깨비가 되어 자유의 몸이 되는 걸로 이야기는 끝나는데,

2권, 3권 이야기가 계속 이어지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곰 인형 오토 비룡소의 그림동화 73
토미 웅거러 글 그림, 이현정 옮김 / 비룡소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곰인형 하나에 아픈 세계사가 다 들어있다
혹시 실화는 아닐까 궁금했는데 그에 대한 설명이 따로 있진 않았다
아이가 유태인 별과 수용소, 전쟁에 대한 왜?를 이해하지 못한다
유태인과 민족에 대한 개념이해 부터가 안돼 ㅠ
설명해주느라 진땀뺐음
어떤 책으로 알려줘야 하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