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세우는 옛그림]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나를 세우는 옛 그림 - 조선의 옛 그림에서 내 마음의 경영을 배우다
손태호 지음 / 아트북스 / 201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를 세우는”, “옛 그림” 이란 제목이 단박에 눈길을 끌었다. 우리는 왜 그림과 마주할까? 그 단순할 것 같지만 단순하지 않은 물음에 대한 현명한 답이 바로 ‘나를 세우는’에 있지 않을까 싶었다. 옛 그림을 통해 그 속에서 발견한 가르침이 나를 일으켰다는 저자의 고백이 마음을 끌었다. 그리고 나 역시 지금의 나의 자리에서 조금은 올곧게 일어서고 싶었다. 아직은 부족한 옛 그림에 대한 이해는 저자의 이야기를 통해 채우면서, 어제보다는 훨씬 나아지는 나와 마주하고 싶었다. <나를 세우는 옛 그림>은 바른 삶의 지혜를 모으고 싶다는 마음들로 들끓게 하였다.

 

옛 그림들 중에서 ‘조선’의 그림들이 한 권의 책에 담겼다. 물론 우리 회화사에서 많은 것들이 조선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알지만, 아직도 갈 길이 한창인 관계로 생소한 그림들, 그림의 맥락에 무지했던 다양한 옛 그림들을 만날 수 있어 무척 유익했다. 그 동안 읽었던 몇 권의 책 속 그림들이 아주 약간은 밑바탕이 되었다고 할 수 있지만, 천천히 시간을 갖고 책을 접하다보니, 여러 시간과 다양한 책들을 넘나드는 기분이었다.

 

중년 남성이 풀어낸 이야기, 자신의 지난 경험과 생각들을 풀어내면서, 옛 그림들 속 역사적 맥락과 회화사의 맥락을 짚어주고, 찬찬히 설명해주니, 훨씬 이해가 쉽고 흥미진진했다. 어떤 면에서는 아버지의 담담한 자기고백처럼 느껴져, 그저 예삿일이라며 흘려들을 수가 없었다. 옛 그림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비추고, 삶의 지혜를 모으는 이야기 속에서 그림을 더욱 ‘기운생동’하는 듯, 더욱 가슴으로 와 닿는 느낌이었다.

 

또한 역사적 맥락에서 바라본 그림들을 또 다른 역사 이야기였고, 그림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림에 대한 친밀감도 높아지고, 그림 속에 숨은 이야기를 더욱 많이 찾을 수 있었다. 옛 선현의 삶이 녹아있는 옛 그림, 나고 자란 이 땅의 옛이야기가 훨씬 깊이 있게 다가오면서, 내 몸 속 어딘가에 붙박혀 있었을 어떤 정신과 마주하는 듯했다. 고매한 정신의 발뒤꿈치를 어찌 따라갈 수 있을까 싶지만, 그 고매한 정신, 그 예술혼을 마주하다보면, 나 역시 스스로를 담금질하고, 자신을 좀 더 바로 바라보며 마음을 경영할 수 있는 지혜를 배웠다고 할 수 있겠다.

 

최근 토지(1부 4권)와 함께 읽고 있었는데, 을사조약 소식을 들고 안절부절 분개하는 김 훈장의 이야기, 그의 그간의 이야기엔 솔직히 약간의 냉소가 서려있었다. 몰락한 양반, 그럼에도 양반이랍시고 조금은 세상물정에 아둔한 듯, 맹목적인 양반의 허울이 마음을 불편하게 하였다. 그런데 ‘애국지사가 흘린 통곡의 눈물『매천 황현 초상』’의 이야기를 통해 많은 생각이 일시에 흩어졌다가 새롭게 모아졌다. 내가 미처 보지 못했던 사실들에 깜짝 놀랐다. 작가의 그 일침 그대로였다. 개화라는 시대적 역사적 흐름에 무지몽매했다고 생각했던 쇄국정책, 위정척사론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와르르 무너졌다. 정말 그랬다. 우리는 개방과 쇄국, 개화파와 위정척사파 등등의 이분법적 사고에서 일제에 항거했던 구한말의 유학자들에 대해 무척이나 무관심했다. 어느 작은 시골 동네에서조차 울분을 토했던 많은 그들의 모습이 『매천 황현 초상』을 통해 두드러지고, 그 정신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세상이 알아주지 않아도 스스로 세상을 똑바로 바라보며, 나름대로 책임을 다하며 살아 왔노라 외치는 소리(161쪽)’가 끊임없이 들렸다. 지금의 우리는 자신의 세운 기치에 대한 어떠한 확신과 신념을 갖고 삶을 직시하는지 되묻게 된다. 김 훈장에게 보냈던 냉소는 바로 지금의 나 자신에 대한 부끄러움이었다. 흔히, ‘대세’라 불리는 어떤 흐림에 일방적으로 휩쓸리고 있는 것은 아닌지, 과연 내가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를 두고 방향을 잃지는 않았는지, 마땅히 자신의 삶에 부여된 책무에 얼마나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지, 묻고 또 묻는다.

 

처음 책에 대한 첫인상을 두고 나는 ‘옛 선현들의 그림 속에 담긴 정신을 탐하며, 오롯이 나를 세우고 스스로 지지할 수 있는 의미를 가슴 깊이 새길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런데 그 이상이었다. 건실하게 마음 밭을 다지고 가꿀 수 있었다. 그것은 황현과 그 초상을 통해서만이 아니었다. 윤두서의 자화상도 마찬가지였고, 신윤복, 김명국, 이정, 정약용, 심사정, 안견, 김정희, 정선, 김홍도, 허목, 김두량 등의 다양한 옛 그림을 통해서 나의 마음 그릇이 훨씬 깊어지고 넓어지고 단단해졌다. 울분과 설움을 토해낸 그림, 다사로운 정, 그리움을 담아낸 그림들, 다양한 마음들이 쏟아져, 나의 마음을 흔들었다. 여유를 갖고 넉넉한 시간 속에서 천천히 곱씹으면서 읽을 수밖에 없었고, 이는 자신의 마음을 찾아가는 좋은 길잡이였다. 아울러, 우리의 옛 그림들을 더 자주, 많이 찾아봐야겠다는 생각이 더욱 강렬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