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 - 우리 건축의 구조와 과학을 읽다
김도경 지음 / 현암사 / 201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 시절의 한옥이란 것과 최근이 한옥의 개념이 변화가 일었다. 그저 낡은 건물, 옛 것의 대명사처럼 여겨졌던, 춥고 허름했던 한옥은 그리움의 대명사가 되었다. 현대 양옥, 특히 획일화로 대변되는 회색빛 콘크리트가 주는 우울감에 비해, 훨씬 정답고 따뜻한 공간, 그 흙내음마저 향긋하게 다가오는 것이 한옥이다. 뜨거웠던 아랫목, 처마 밑 제비집, 정지(부엌)의 새까맸던 천장, 삐거덕거렸던 문 등등 세세한 부분들까지 추억으로 되살아나며 한옥에 대한 인식과 감성이 변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한옥’에 대해 잘, 아니 전혀 알지 못했다. 그럼에도 새롭게 관심을 갖게 된 ‘한옥’을 좀 더 체계적으로 공부(?)할 수 있다는 생각과 함께, 꼭 한 번 읽어볼 만한 가치가 느껴진 것이 바로 <지혜로 지은 집, 한국 건축>이다.

 

하나의 건물을 짓는 순서대로 구조를 파악하고 그 구조에 담긴 정신, 의미와 역사를 배우게 된다. 다양한 시각 자료와 상세한 설명은 문외한인 우리에게 훨씬 쉽게 우리 건축에 대해 일러주고 있다. ‘우리 건축의 구조와 과학을 읽다’라는 부제처럼 우리 건축의 구조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며 체계적으로 구조를 설명하고 있다. 물론 구조를 파악한다는 것은 쉽지 않았다. 건축에 대해 문외한인 내가 한옥을 세밀하게 그려본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었다. 입체적으로 머릿속에 그려져야 할 구조가 그저 기억 속 평면적으로 머물러 있을 뿐이었다. 그저 내가 봤던 것이 다가 아님을, 그 단편적 이미지 너머에 놀라운 지혜와 진실이 숨어있다는 것은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다.

 

새로운 것에 대해 호기심만으로는 방대한 지식이 버거웠다. 그럼에도 끝까지 흥미를 잃지 않고, 공부(?)하는 마음으로 나름 즐겁게 한옥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내가 가진 지식을 총동원하고, 지금껏 눈에 익은 이미지를 요리조리 조립하면서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고 다양한 용어들이 아리송하지만 나름 만족하면서 다음을 기약해본다. 다음은 바로 그저 지루하게, 어떤 아름다움도 읽을 수 없었던 우리의 옛 건물들이 새롭게 다가올 것이라는 것이다. 구조를 조금이나마 알게 되니, 많은 이야기를 담고 내게 이야기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특히 사라져버렸지만 내 유년의 풍성한 추억을 간직한 시골 풍경이 새롭게 다가왔다. 어린 시절에 봤던 시골 할머니댁과 외갓집의 풍경이 되살아나면서, 책 속 건축물들이 훨씬 수월하게 읽혔다. 책을 읽으면서 의미 없이 보았던 여러 구조들, 눈여겨보지 않았던 구석구석의 구조들이 되살아났다.

 

<지혜로 지은 집, 한국건축>은 정말 우리 선현들의 지혜의 결정체임을 깨닫게 되었다. 대우주(자연), 중우주(집), 소우주(자아)의 단계 속 자연과의 혼연일체를 꿈꿨던 그 정신을 오롯이 느끼면서, 하나하나 환경과 밀접하게 관계를 이루며 어우러지려 했던, 또 다른 우리의 모습이 하나의 집, 건축이었다.

어렵게만 느껴지던 구조들, 그 구조들을 파악하려고 노력하다보니, 나만의 집을 하나 지은 느낌이었다. 한옥 구조의 얼개를 하나하나 맞춰 가다보니, 때론 설명이 되지 않고 모호했던 부분들이 차곡차곡 채워지고, 모든 이미지들을 되살리다보니, 우리 건축의 소중한 가치, 진정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었다. 하나의 건축물을 통해 구조를 파악하면서 함께 역사와 문화 정신을 읽었던 뜻 깊은 시간이었다. 그저 별 의미 없이 그렇고 그랬던 문화재, 여러 건축물들이 훨씬 가깝게 다가오고, 주변의 많은 풍경들마저 새롭고 흥미진진해진다. 집 주변 가까운 공원에 자리한, 무심히 지나쳤던 옛 건물이 이제는 예사롭지 않다. 이젠 슬슬 귀를 기울일 때 인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