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고릿적 몽블랑 만년필>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나의 고릿적 몽블랑 만년필 - 오래된 사물들을 보며 예술을 생각한다
민병일 지음 / 아우라 / 2011년 2월
평점 :
품절
지금껏 잃어버린 기억을 되살려 실체화하는 시간이었다. 지난 시간들 속에서 내가 잃어버렸고, 또는 애써 잊고자 했던 그리움들이 가슴에 스며들면서, 진한 추억의 단상에 빠지는 시간이었다. 책 속 다채로운, 오래된 사물들에 뜬금없는 나의 기억, 추억, 그리움이 더해져, 마음이 넉넉해지고 여유로 가득 찼다.
<나의 고릿적 몽블랑 만년필>은 저자의 독일 유학생활 동안 벼룩시장을 돌면서 그가 찾아낸 오래된 사물들을 통해 삶의 진정성과 예술을 생각했다. 아니, 삶의 진정성과 예술미가 깃든 오래된 사물들이 말을 걸어왔을 뿐이라고 이야기하고 있다. 진정으로 사물이 풀어낸 이야기는 ‘세파를 견뎌낸 아름다운 힘과 역사’(5쪽)를 절로 확인하며 체득하게 되었다. 검은 비밀 봉투에 감춰진 몽당연필들, 찌그러진 양은 주전자는 삶의 고단함에 비례하여 정직한 삶의 고독에 공감하였다. 저자가 소개하고 있는 많은 오래된 사물들은 진정 ‘생의 각성제’였다. 낡은 그 사물들에서는 찬란한 생의 빛이 눈부시도록 반짝이고 있었다.
책을 읽는 내내, 독일의 벼룩시장 풍경을 떠오려본다. 상상 속에 머물러있지만 ‘라인강의 기적’을 일으킨 독일인들의 국민성을 오롯이 느낄 수 있었다. 반면에, 우리도 분명 한때는 한강의 기적을 외치며 그렇게 절약이 생활이던 시절이 있었다는 사실을 자각하게 된다. 낡은 것을 오히려 더욱 살뜰하게 아끼고 가꾸던 시절, 그 시절이 고릿적이 되었다는 우리의 현실이 오히려 극명하게 드러났다. 아니 내겐 그랬다. 야반도주를 하듯, 그렇게 내빼기 바빴던 것인지 지난 시간들을 돌아보았다. 매번 뭔가를 잃어버리고 왔다. 아니, 잊으려고 애써왔다. 다시는 돌아가고 싶지 않다면 앞만 보려고 했다. 잠시 뒤돌아볼 시간도 없이 그저 그렇게 쫓기듯 그랬던 나, 과연 지금에 만족하는지 되묻지 않을 수가 없었다.
오래된 사물들이 내게 건네는 말은 지금 행복하냐고 묻는 것이었다. 저자처럼 오래된 사물을 통해 예술을 생각하지 못했다. 음악, 그림, 작가 등등의 이야기는 때론 내게 낯선 것이었다. 하지만 예술이 담고 있는 정신이 바로 우리내의 삶이라는 점에서 나는 내 삶을 반추하게 되었다. 그리고 지난 시간들의 애상, 추억에 젖어 마음이 꼼지락거렸다.
사람들의 마음속엔 저마다 잊지 못할 사물이 한두 개 들어 있다며, 저자는 잠시 바쁜 생각을 내려놓고, 심중의 오래된 물건을 꺼내보라고 한다. 마법 램프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줄 것이라고. 정말 그랬다. 잃어버린 시간들이 쓰나미처럼 몰려들었다. 삼촌 탁자 위의 할아버지의 재떨이가 떠오르며 할아버지를 추억하고, 초등학교 졸업선물로 이모에게 받은 서랍 속 철제 필통이 말을 걸어왔다. 그렇게 잃어버린 시간을 되찾으며 행복에 대한 의구심을 떨쳐낼 수 있었다. 나의 고릿적 추억들을 되살려주며 행복으로 물들게 한다. 마음이 한결 여유로워지고 충만해진다.
또한 그저 낡았다는 이유로, 아니 그저 유행에 뒤쳐진다는 이유로 버려지기 쉬운 일상의 많은 것들이 소중하게 다가온다. 그리고 함께 했던 시간들 그 속에 농축된 이야기와 추억이 반색을 하며 달려든다. 일상의 모든 것이 소중해지며 한결 한결 풍성해진다.
아무래도 삶에 지쳤다며 어깨가 축 쳐질 때, 우울이 나를 잠식하려 들 때, 나는 <나의 고릿적 몽블랑 만년필>을 펼쳐 들 것이다. 그 어떤 약보다 효과적으로 나를 치유하고 위로해줄 것이다. 그리고 내 곁의 오래된 사물들도 수시로 말을 걸어올 것 같다. 그들의 속삭임에 이젠 귀를 기울이고 마음을 열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