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 정신>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예술의 정신
로버트 헨리 지음, 이종인 옮김 / 즐거운상상 / 2010년 12월
평점 :
절판
예술의 정신, 삶의 본질, 진실에 다가가는 하나의 과정이었다. 예술학도의 삶에 머물지 않고 삶을 총체적이고 깊이 있게 바라보는 시선에서 무한한 감동이 물결쳐 일었다. 학구적인 욕구에서 이 책을 펼치더라도 하나의 ‘예술’이란 분야가 아닌 삶을 직시할 수 있는 통찰과 지혜를 얻을 것이다. 예술의 정신 그것은 삶을 좀 더 아름답고 풍요롭게 살아가기 위해 절대적이고 필수불가결한 것임을 온몸으로 느낄 수 있었다.
저자 로버트 헨리의 이야기는 수시로 가슴 속을 파고들었다. 그 중에서도 단연은 ‘의미 없는 근면’이란 화두였다. 우리는 근면함을 하나의 이상적 덕목으로 이야기해왔다. 그런데 그러한 ‘근면’에 의미 없는 것이라니! 스스로를 찬찬히 들여다본다. 과연 우리는 자신의 삶에서 얼마나 근면한지, 그리고 그 근면함에 얼마나 의미를 부여하고 사는지, 과연 의미 없는 근면으로 자신의 삶을 애써 포장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었다. 또한 ‘행복해지려면 용기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스스로에게 흥미로운 사람이 되고, 실패조차 두려워하지 말고 즐기라고 이야기를 한다.
예술의 정신, 예술, 미술계의 전반적인 용어, 기법들이 다소 어렵게 느껴지기도 하고 잘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 없지는 않다. 저자의 강의를 받아 적은 노트, 편지들을 통해 저자의 생각, 신념을 하나의 책으로 엮고 있으니, 다소 전문 분야라는 사실을 염두해 둘 필요는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어렵다는 높은 벽을 느끼며 보다는 이전에 그 예술가들의 정신과 열정, 갖고의 노력들을 상상하고 느끼다보면, ‘삶’ 자신의 인생을 뒤돌아보게 된다. 그렇게 예술가에 대한 따사로운 조언들, 그 애정이 넘치는 이야기는 고스란히 우리 자신에게 투영되어 잔잔한 여운을 남긴다.
또한 예술계에 대한 그의 날카로운 비판은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도 따갑게 느껴졌다. 예술, 교육을 넘나들며 삶 자체를 아우르며 수시로 긴장하게 된다. 도시 전역에 소규모 화랑, 소극장을 운영하며 생활 속 예술을 실현하자고 이야기한다. 예술이란 높은 벽을 타파하고 대중의 삶 깊숙이 파고들자는 그의 이야기는 이 시대 우리가 깊이 생각해야하는 화두 아닌가! 상업화, 거대화되고 있는 예술 산업 속 쏠림현상, 문화의 획일화 등의 문제에 따끔한 지적과 함께 하나의 대안들을 제시하고 있었다. 선각자의 지혜가 100여년이란 시간을 뛰어넘어 여전히 커다란 울림을 남기고 있다는 사실이 새삼 놀랍고 위대하게 느껴진다.
예술과 삶은 결코 불리할 수 없는 것, 자연스럽게 우리에게 스며든 예술은 삶을 통해 또 다시 자연스럽게 발현하는 또는 발현되는 것이었다. 그것이 예술이 본질이자 그 기저에 흐르는 변하지 않는 진실이었다. 그래서 예술이 우리들의 삶 깊숙이 파고들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더욱 설득력을 얻고 진정성을 담고 있었다. 우리는 과연 예술이 속에서 자연스럽게 살고 있는지 자문해본다. 물질적 욕망을 추종하며 삶의 아름다움, 본연의 아름다움을 외면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묻게도 된다.
예술의 정신, 그 가치 또한 보는 이로 하여금 자극을 주고 어떤 행동으로 나아갈 수 있어야 한다는 소신 그대로 그의 이야기는 보는 이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는 지혜와 용기를 가슴 속 깊이 심어주었다. 하나의 위대한 작품 속 화가들의 피나는 노력과 열정을 느끼면서 자신의 삶 속으로 스며들도록 노력하고 스스로 그 변화의 중심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 우리들이 삶에서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예술의 정신, 본질이 아닐까?
안티에이징이 이 시대의 화두이지 않는가! 마지막으로 그가 한 이야기를 떠올리며 책의 여운과 감동을 이어가고자 한다. “젊은 상태를 유지하며 계속 성장하는 것 - 정착하여 안주하지 않는 것-은 엄청난 용기를 필요로 한다. 아름다운 인생은 오로지 노력에 의해서만 이루어진다. 자유로워지고, 행복해지고, 열매를 맺으려면 온갖 흔해 빠진 과장된 것들을 제거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