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의 극과극>을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사진의 극과 극 - 카피라이터 최현주의 상상충전 사진 읽기
최현주 지음 / 학고재 / 2010년 10월
평점 :
절판
사진을 이렇게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는 사실이 무척 놀랍고 신기할 정도다. 어렴풋이 ‘매그넘 사진전’의 몇몇 사진들과 작가의 이름을 알지 못하지만 경주의 왕릉을 소재로 한 사진(언젠가 기차 안의 잡지 표지에도 실려 다시금 기억을 되새겼던 사진은 바로 ‘이원철’ 작가의 사진이었다. 책에서 만날 수 있어 더욱 새롭고 의미가 있었다.)이 뇌리에 깊이 박혀있다. 그래, 솔직히 말하면 풍경 위주의 독특하고 참신한 사진들을 ‘멋’지다고 생각할 정도로 또는 예쁜 사진들에만 관심을 집중할 뿐, ‘사진’이란 것에 단순무식하다. 카메라를 들고 사진을 찍는 것조차 나와는 동떨어진 삶이라 생각할 정도로 문외한이다. 몇몇의 기회들조차 ‘어렵다’는 소견으로 그 벽을 넘지 못했다. 그렇게 내게 ‘사진’이란 것 자체가 일상에서 번다하게 만나지만 어렵고 낯선 것이었다.
그런데 이처럼 사진이 흥미롭게, 진지하게, 냉철하게 삶을 들여다보고, 인간의 욕망을 파헤칠 수 있다는 것이 정말로 놀라웠다. 사진에 깃든 정신, 의미, 가치를 파헤치며, 다른 어떤 이야기보다 귀에 쏙쏙 들어오고, 오래도록 자리를 뜰 수 없었다. 의자에 앉은 나는 <사진의 극과 극>이란 책과 하나가 되어, 추운 겨울의 나른함을 물릴 칠 수 있었다.
또한 책을 읽는 내내 저자의 소탈하고 깊이 있는 이야기에도 놀라면서, 연신 ‘떡’하고 입을 벌리게 되었다. 사진을 보고 읽는 것, 그리고 느끼는 것보다 ‘상상’하는 과정이 우리내의 삶, 생각과 아주 밀착되어 있어, 헛헛했던 일상이 그 무엇인가로 가득 가득 풍성하게 차올랐다.
<사진의 극과 극>은 제목 그대로 어떤 주제들의 극단적 양상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면서 자자는 이미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극과 극’이란 상상력의 두 기둥은 오히려 ‘이분법으로 동떨어진 두 개의 파편이 아니라, 연속된 선상에 있는 두 개의 지점’이라고 말이다. 그렇게 서로 상반된 극과 극의 시점에서 사진을 상상하다보면, 어느새 두 개의 지점은 어느 때보다 유연하게 하나의 지점에서 만나고 있었다. 극과 극은 서로 통한다는 절대 진리마냥, 극과 극에서 서로를 더욱 간절하게 바라보고 소통하고 이해할 수 있는 경지에 오른 느낌이었다. 그렇게 상반된 시선이 어느 때보다 온화하게 내밀하게 우리를 들여다보게 하였다.
사진이란 것이 그 어느 때보다 풍성한 이야기로 내 삶에 깊이 파고들었다. ‘사진’을 통해 저 상상의 드넓은 대지를 활보하고 뛰놀고 싶어졌다. 사진이 말을 걸어왔다. 그리고 내밀하게 자신 스스로를 뒤돌아보게 하고, 때론 우리 주변을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게 하고, 더 나아게 우리의 오늘을 날카롭게 파헤치며 다채로운 이야기로 가득하였다. 사진에 숨겨졌던 놀라운 힘을 느끼며, 저자의 이야기에 기대어 자신을 더욱 친밀하게 느낄 수 있었다. 오늘날 사진이 지는 남다른 강력한 힘을 이제야 비로소 느끼게 된 유익하고 알찬 시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