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우여 나를 아는 모든 나여.

나를 모르는 모든 나여.

부탁이 있네. 나를, 지금 이 순간의 나를 영원히 잊지 말아주게.

그리고 바라네. 그대들 소중한 추억의 서재에 간직하여 주게.

뇌성번개가 이 작은 육신을 태우고 꺽어버린다 해도, 하늘이 나에게만

꺼져 내려온다 해도 그대 소중한 추억에 간직된 나는 조금도 두렵지 않을 걸세.

그대들이 아는 그대 영역의 일부인 나... 그대들이 아는 그대들의 전부의 일부인 나.

힘에 겨워 힘에 겨워 굴리다 못 굴린, 그리고 또다시 굴려야 할 덩이를

나의 나인 그대들에게 맡긴 채 잠시 다니러 간다네. 잠시 쉬러 간다네.

어쩌면 반지의 무게와 총칼의 질타에 구애되지 않을 지도 모르는, 않기를 바라는

이 순간 이후의 세계에서 내 생애 못다 굴린 덩이를, 덩이를 목적지까지

굴리려 하네. 이 순간 이후의 세계에서 또다시 추방당한다 하더라도,

굴리는데, 굴리는데 도울 수만 있다면, 이룰 수만 있다면..

                                 <전태일[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 돌베게, 1988, 151-152>

 

....

 

나는 돌아가야 한다. 꼭 돌아가야 한다.

불쌍한 내 형제의 곁으로,내 마음의 고향으로, 내 이상의 전부인

평화시장의 어린 동심 곁으로. 생(生)을 두고 맹세한 내가, 그 많은 시간과 공상 속에서,

내가 돌보지 않으면 아니 될 나약한 생명체들.

나를 버리고, 나를 죽이고 가마. 조금만 참고 견디어라. 너희들의 곁을

떠나지 않기 위하여 나약한 나를 다 바치마. 너희들은 내 마음의 고향이로다.

오늘은 토요일, 8월 둘째 토요일. 내 마음에 결단을 내린 이 날. 무고한 생명체들이

시들고 있는 이 때에 한방울의 이슬이 되기 위하여 발버둥 치오니,

하느님, 긍휼과 자비를 베풀어 주시옵소서.

 

                                    <전태일[내 죽음을 헛되이 말라] 돌베게, 172-173>

 

 

역사는 바로 오늘 현재 우리 앞에 놓여있는 과제가 무엇이며 나아갈 방향이 어디인지를 가늠하는 생생한 현실인식입니다. 오늘의 삶과 사회를 직시하고 내일의 변화와 대안을 찾기 위한 항해의 나침반이자 지도입니다. 역사는 기억을 뛰어넘는 성찰이며, 지난날을 오늘의 눈으로 다시 보는 동시에 오늘을 재인식하는 진리 탐구의 망원경입니다.

삶이 무엇인지, 우리사회는 어디로 가야 되는지, 전태일의 거울이 너무나 절실한 때입니다. 전태일의 투쟁에 앞선 전태일의 사랑과 평화가 더욱더 절실한 때입니다.

                                                                               

                                                                           <녹색평론,2005 11-12월 42쪽>

 

========================================================================================

 

'사랑'이란 말이 범람하는 시대에 왜 전태일이 말하는 그 사랑은 진부하지도, 신파적이지도 않고

오히려 새로우며 감동을 주는가?

 

그것은 그의 '사랑'이 '나의 나인 너'에게 끊임없는 연민과 자비를 일깨우며 묵묵히 실천했고

현실의 차디찬 벽을 넘어 함께 인간답게 살기를 바랬던 한 밑바닥 사내의 소박하지만 너무나도

거대한 꿈과 희망, 그리고 비젼이 숨겨진 말이기 때문일 것이다.

 

모두들 힘들다고 비명을 지른다.

이 순간, 뭔가에 홀려 하루의 쳇바퀴를 돌리고 있는 이 순간.

삶의 나침반을 잊어버리고 흘러가는 이 순간.

 

1970년에 죽은 밑바닥 사내의 형형한 눈빛이, "내 죽음을 헛되이 하지 마라."라는 그의 외침이

다시금 우리가 살고 싶은 세상의 나침반이 되어주길,

잠들었던 내 자신을 깨우는 사자후가 되길

간절히 빌며...

 

(어리광은 이제 그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항상 '꽃보다 먹는 것'을 부르짖던 내가 오늘은 왠일로 퇴근길에 소국(小菊) 한다발을 사고 말았습니다.  함지박 웃음을 짓는 꽃집 아주머니는 소국을 많이 들여와 꽃을 싸게 판다고 하시며 넉넉히 한다발을 투명 비닐에 싸 주시더군요.

소국(小菊)..

제가 참 좋아하는 꽃입니다. 한 송이 꽃을 살펴보면 작은 꽃들이 빼곡히 모여 하나의 꽃을 이루고 있는 꽃이지요. 분홍빛과 진분홍이 섞여 있는 꽃을 바라보며 한참동안 길에 서 있었습니다. 

퇴근길은 수많은 사람들이 지친 발걸음을 집으로 향하는 지하철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 길 속에 저도 꽃을 들고 걸어갔습니다. 기다리던 지하철이 도착하고, 각자의 삶의 향기가 뒤범벅되고 수많은 얼굴들이 지하철 창너머로 보였습니다. 그리고, 저도 몸을 지하철에 실었습니다. 모두가 조금씩은 구겨진 모습으로 어정쩡하게 서 있을 수 밖에 없는 지하철 안에서 소국 한 다발을 든 저는 서 있기가 불편했었습니다.

 '꽃이 망가지면 어쩌지?'

 지하철 내부로 들어오는 수많은 사람들 속에서 어쩔 수 없이 더 그 꽃다발을 끌어안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꽃과 꽃이 부딪히고, 사람과 사람이 부딪히는 속에서 소국 향기가 진하게 느껴졌습니다. 꽃의 생채기에선 꽃향기가 나나 봅니다. 사람의 생채기에서도 꽃향기가 나면 좋을텐데...라는 뜬금없는 생각이 머리 속을 맴돌았으나 털어 버렸습니다.

 집 근처 역에 겨우 내려 한숨을 돌리며 다시 소국 다발을 보았습니다. 별로 다친 거 같지 않았습니다. 녀석들을 활짝 핀 모습으로, 또는 아직은 수줍게 봉오리를 닫고 있는 모습으로 내 손에 들려 말없이 내 품에 있을 뿐이었습니다. 

집에 있는 투명 플라스틱 꽃병에다 물을 가득 붓고 녀석들을 꽂아 주었더니 집 안 향기가 달라집니다. 존재(存在)는 그렇게 없던 향기를 불러 일으키는군요. 녀석들을 바라보며 나도 말없이 커피를 끓였습니다. 보글보글... 커피향이 소국향과 어우러져 조금은 차가워진 바깥 공기를 데워줍니다.

 

2.

동결된 영혼을 위해 꽃을 헌사하다.

아름다움은 순간.

그 순간이 주는 靈의 스파크에 잠시 몸을 데운다.

 Lisa Ono- Pretty world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파란여우 2005-11-03 22: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사한 새 집 마당은 황량하여 국화 한 송이 없군요
전에 살던 집 마당이 요즘 자주 그리워집니다.
다양한 국화. 은행나무.가을이 풍성했는데...
님의 스파크가 영의 스파크라고 한다면 간지럽다고 하실테죠? 호호

클레어 2005-11-04 2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내골의 가을도 아름답게 익어가고 있던데요. 새 터전에서도 바지런한 파란여우님의 손길을 입은 꽃들이 피어나겠지요. ^^ 여우님의 말씀 속에 달콤함이 숨어있군요. 간지럽다고 해야하나? 하하~ 그런 달콤함, 간지러움을 좋아합니다. 여우님의 덧글도 저에게 즐거운 스파크를 내려주고 있다는 거 아시나요? (알게 모르게 사랑고백이 되어버리네~ ^^)
 

1.

가시장미님께서 '깡통' 이야기가 너무 어렵다는 말씀을 해서 쉬운 이야기를 해드리고자 마음 먹었습니다. 탈무드에서 나오는 이야기인데 혹시나 들어보셨을지도 모르겠네요.

어느 시대에 명성이 아주 높은 랍비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의 외모는 그의 지성이나 학식과는 따로국밥처럼 볼품이 없었답니다.

그 나라의 왕이 어느 날 큰 연회를 베풀게 되었고 나라 안의 귀한 이들을 모아서 함께 파티를 즐겼습니다. 물론 그 명성이 높은 랍비도 초대되었구요. 그런데, 그 왕에게는 한 미모하는 공주가 있었습니다. 그녀는 못생긴 랍비가 파티장에 참석한 것이 불만이었습니다. (왜 불만이었냐고 제게 묻지 마세요. 제가 그 공주는 아니지 않습니까? -_-;;)

그래서, 그 공주는 그 랍비가 들으라는 듯, 큰 소리로 말했습니다. 

"어떻게 그 위대한 지식과 지성이 그 추한 외모에 들어있을 수 있지요?"

랍비는 잠시 생각을 하더니 하인에게 속닥속닥 주문을 했고, 하인은 금 그릇과 토기 그릇과 값 비싸고 향기로우며 맛있는 포도주와 물을 가지고 왔습니다. 

"공주여~ 저 포도주와 물을 각각의 그릇에 담아주시지 않겠습니까?"라고 랍비는 말했습니다.

공주는 그까이꺼 쯤이야~ 하는 심정으로 금그릇에 포도주를, 토기그릇에 물을 담았답니다.

"자~ 그럼, 포도주와 물을 각각 맛보십시오." 라고 많은 사람들에게 말했답니다.

사람들은 너나 할 것 없이 금그릇에 들어있는 포도주에 입을 가져갔고 잠시 후 모두 뷁~한 표정을 지었습니다.

"포도주 맛이 왜 이래?"

공주는 당황했고, 랍비는 공주에게 왜 그렇게 포도주와 물을 담았는지 물었답니다. 공주는 귀한 포도주는 당연히 귀한 금그릇에 담아야 한다고 생각했고 물은 토기그릇에 담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그렇게 했다고 말했습니다.

랍비는 말했습니다.

"공주여~ 금그릇에 포도주를 담으면 포도주의 산성과 금그릇이 반응을 하여 나쁜 맛을 내게 된다는 것을 모르셨나 보군요. 포도주의 참맛을 지키기 위해서는 볼품없어 보여도 토기 그릇에 담아야 한답니다.  공주께서 저의 지성과 학식이 왜 볼품없는 외모에 담겼냐고 물으셨지요? 어쩌면 그 또한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인지도 모르겠습니다. 하하~"

제가 하고자 했던 이야기는 사람들이 저마다 가지고 있는 그릇의 크기보다는 그 그릇이 쓰여질 목적이 무엇인가?가 더 중요한 것이 아닌가 라는 말이었답니다. 모두들 그릇의 크기를 키우기 위해 노력을 합니다. 그 뿐 아니라 그 그릇의 모양을 더욱 아름답고 화려하게 보이려고 노력을 많이 하지요. 그런데, 제가 보기엔 그릇의 크고 화려함이 중요하다기 보다는 무엇을 담고 있는가?에 따라 그릇의 성질도 모양도 크기도 달라야 하지 않을까? 하는 것이랍니다.

그리고, 그릇은 그저 안에 뭔가를 담고 있기만 해서는 안되겠지요. 다른 이들에게 내용물을 주기 위해 한시적으로 담고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러니, 담고 있는 동안만이라도 신선하고 깔끔하게 해서 남들에게 주었을 때 그들이 맛나게 내용물을 즐길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오래된 된장독처럼 깊은 맛을 내기 위해 숙성해야 하는 세상 속 지식이나 삶의 교훈들도 많지만 제 나름으로 제 깡통을 가늠해 보았을 때, 지속적인 지식의 업그레이드로 제 지식을 신선하게 하지 않으면 남들에게 오히려 폐해를 줄 수 있는지라 "잘 밀폐해서 신선함을 유지하는 것도 좋은 것이 아닐런지요."라는 말을 했었지요.  지금 제 글을 다시 읽어보니 '밀폐'라는 말이 좀 거슬리기는 하네요..^^

 

2.

속삭여주신 님께서 썪는 것을 두려워 말라고,  한 알의 밀알이 썪어 수많은 밀알을 거두게 될 거란 성서 이야기를 해주셨는데 좋은 말씀 감사드린다는 말을 먼저 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미리 결과를 알고 살아가는 인생이 어디 있겠는지요? 제가 썪어(또는 희생하여) 수많은 밀알을 거두게 될런지 혼자 썪게 될런지 모르는 지라 현재, 내 위치에서 충실하고 싶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었습니다.

'어린왕자'에서 어린 왕자가 비행사에게 양 한마리를 그려달라는 이야기를 합니다.

비행사는 여러가지 양을 그려주지만 모두 어린왕자의 마음에 들지 않았지요.

그러다, 비행사가 포기하고 상자를 그려주며 '그 속에 양이 있다.'라고 말을 합니다.

그 때서야 어린왕자는 기뻐하며 그 상자 속의 양을 바라보며 그 양으로 하여금 자신의 작은 혹성의 바오밥 나무를 먹게 하겠다는 생각을 털어놓지요. 

내가 내어 보여줄 수 있는 것들은 한계가 있고, 다른 사람들의 마음에 들고, 들지 않고는 또한 상대적입니다.  그걸 좋아해 달라고 강요할 수는 없는 것이겠지요.   그래도, 눈에 보이지 않는 그 상자 속의 양(제가 말했던 깡통 속 내용물)을 바라볼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 믿음과 그 상자 속의 양이 어린왕자의 별까지 도달해서 왕자별의 바오밥 나무를 먹을 때까지는 그 상자 속 양을 '죽이지 않고 살려 놓는 것'이 제가 할 수 있는 몫이란 생각을 했습니다.

한 알의 밀알에서 '어린 왕자' 의 상자 속 양 이야기까지 와버렸네요...

흐흐~ 수다를 떨기 시작하면 끝이 없으니 이쯤에서 접도록 하지요. :)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딸기 2005-10-24 16: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재밌게 잘 읽었어. :)

클레어 2005-10-26 02: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딸기언니는 이야기를 좋아하시는군요. 요런 이야기들 나, 아는 거 많은데..히히~

딸기 2005-10-27 07: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럼 많이 해주면 되자나 ^^

클레어 2005-10-27 22: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즘 도통 짬이 안나네요. 직장에서는 인터넷 사용하기 어렵고(원장 샘이 들락거리는데 딱 걸린 적이 있었거든요.-_-) 요즘 중국어 학원 다니느라 저녁에도 시간이 별로 없네요.

딸기 2005-11-08 21: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새 중국어 배우니?
근데 너 왜 딸기말에 잘 안들어와 요새
 

오늘 잠시 만난 분이 내 눈을 지긋이 쳐다보며 "깡통이 반이다."라는 말을 해주셨다.

 난 그 분께 "반쪽짜리 말은 잘 알아듣지 못한답니다."라고 말했다.

 서운해 하시는 그 분의 표정은 내 몫이 아니었다.

어짜피 오늘 처음 뵌 분이었기 때문에...

같이 계시던 분께서 그 이야기를 들으시더니, 그 그릇의 크기에 따라서 담을 수 있는 것들이

달라지니 그릇의 크기가 담을 수 있는 것을 경계짓는 '반'을 이미 만드는 것이 아니겠냐? 라는

이야기를 해주셨다.

 "쳇~ 그걸 간파하다니."라고 퉁퉁거리는 소리를 했다.

 내 깡통의 크기가 그 분에게 보이셨던 걸까?

 그 분께 돌려드리고 싶은 말이 생겼다.

 "밀폐된 통조림이 음식을 상하지 않게 한답니다."

 담긴 것이 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큰 그릇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이 아닐런지요..

흐흐~

전 담는 것보다 내어주기 위해 만들어진 녀석이라니깐요..

 


댓글(4)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비로그인 2005-10-21 11: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너무 어렵사옵니다 -_ㅠ

2005-10-21 11:35   URL
비밀 댓글입니다.

파란여우 2005-10-21 1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왕이면 유통기한 오래도록^^

클레어 2005-10-24 01: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시장미님/ 님을 위해 페이퍼 올려놓았습니다. :)

내 귓가에 맴도는 목소리님께/ 제 글과 님의 글에는 약간 입장차이가 있는 듯합니다.
그 이야기도 페이퍼를 통해 하도록 하겠습니다. :)

파란여우님/ 그게 참 어려운 일이군요. 내용물의 신선함을 유지한다는 것이 말입니다. 흐흐~
 


 

 La Strada(길)-Gelsomina

 

을 나서자마자

길이 1천 갈래 1만 갈래니,

만약 자기 자신에게

주재(主宰)하는 마음이 없다면

어떻게 올바른 길을

갈 수 있겠는가?

 

- 주자, <선인들의 공부법>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5-10-06 23: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클레어 2005-10-06 23: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따뜻하게 하고 가시길..목 잘 싸시고요.
바다...저도 보러가고 싶네요. 님의 눈동자에 담긴 바다로 만족해야 할까요?
흣~(가을이 되니까 점점 느끼해져가는 나, 어쩜 좋아? 하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