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위기에 닥치면 가장 먼저 드는 기분은 두려움과 공포다. 시간이 서서히 지나면서 원인도 찾고 해결방법도 알아본다. 그리고 알게 된다.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구나.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고통을 당한 지도 1년이 넘었다. 문제는 언제 사라질지 모른다. 심지어 과학자들조차. 그렇다고 해서 손 놓고 있을 수는 없다. 백신 개발을 보라. 사실 특정 질병이 발발한 지 365일 안에 백신을 만들어내는 건 초인적인 일이다. 그만큼 전 인류가 괴롭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과연 백신이 정답일까? 과학에 백퍼센트는 없다. 다만 치료확률이 높을 뿐이다. 에이, 그렇다면 안 맞고 말지? 부작용도 생기고 사망자도 나오는데. 물론 그렇게 생각할 수 있다. 그런 분들께는 살 처분을 권한다. 곧 자신이 죽어 없어져야 비로서 해소된다. 무슨 그런 끔찍한 말을 하냐고 할 지 모르겠지만 조류 인플루엔자나 아프리카돼지열병, 광우병은 어떻게 했는가? 죽여 없앴다. 병에 걸리지 않은 동물들조차 대규모로. 끔찍하지만 더 큰 규모의 집단발병을 막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조치였다. 사람이라고 다르겠는가? 다만 살 처분을 할 수 없으니 대안으로 백신을 맞아 집단면역을 높이려는 것이다. 만약 백신이 정 싫다면 또 다른 방법이 있기는 하다. 코로나가 사라질 때까지 격리당하는 것이다. 영원히. 백신은 어쩔 수 없는 선택이다.


덧붙이는 말


이 글을 쓰는 데는 <수학으로 생각하는 힘>의 도움을 크게 받았다. 이 책은 최근 읽은 도서들 가운데 으뜸이다. 특히 ‘7장, 팬데믹 시대, 수학은 어떻게 무기가 되는가’는 지금의 위기를 극복하는 지침이나 다름없다. 다들 자기 차례가 오면 백신 맞으시고 평소 손 씻기, 거리두기, 마스크 끼기 꼭꼭 실천해 주시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존 엘리엇 가디너 베토벤 전집

혹시 이 음반을 가지고 계시거나 발견하신 분들은 연락 주시기를


일반 합창과는 차원이 다른 거침없는 롤로코스터


클래시컬 음악을 즐겨 들은 지 꽤 오래되었다. 중학교 때부터 용돈을 모아 당시 성음에서 나온 카세트 테이프를 사 모으곤 했다. 특히 세일을 하는 날을 기다려 한꺼번에 구입한 기억이 여전히 또렷하게 남아 있다. 성인이 되어 제대로 감상하자는 생각에 오디오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 때 알았다. 자칫 잘못하다는 거덜 나겠구나. 그만큼 가격 차이가 천차만별이고 부르는 게 값이었다. 어차피 필수품은 아니니까. 나는 음반으로 방향을 틀었다. 좋은 판단이었다, 라고 확신하지만 살짝 아쉬움은 있다. 물론 싸구려라고는 해도 앰프와 튜너, 스피커를 따로 갖추기는 했지만. 우퍼까지 더해.


여전히 음반들을 사기는 하지만 집중해서 듣지는 못했다. 바쁘다는 건 핑계다. 게을러졌다가 정답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몸이 퇴화하니 당연히 귀의 섬세함도 떨어진 탓이다. 좋은 음악을 구별하는 능력이 사라지니 자연스레 관심도 즐어든다. 그러다 존 엘리엇 가디너를 만났다. 바흐 스페셜리스트라는 걸 익히 알기에 관련 음반은 자주 들었다. 그러나 베토벤은 좀 의외였다. 그는 고악기 전문 연주 지휘자인데?


라디오 방송에서 베토벤 교향곡 9번 전 곡을 듣고 나서 생각이 완전히 바뀌었다. 정직하게 말해 1, 2악장을 들을 때만 해도 평소 알고 있던 전개와 달라 당황스러웠다. 잔잔하다 못해 구렸다. 고악기를 쓰고 편성이 작다는 것을 감안하더라도. 합창하면 떠올리는 웅장한 사운드와는 거리가 멀었다. 3악장이 시작되면서 판세는 완전히 바뀐다. 그야말로 낭만과 혁명이 뒤섞인다. 조금씩 조금씩 고조되다가 빠르게 협곡을 지나가는 소리들의 향연이 펼쳐진다. 드디어 4악장의 클라이맥스. 이미 붙은 속도를 줄이기는 커녕 논스톱으로 결말로 치닫는다. 일부러 질질 끌며 극적인 순간을 도모하는 일반 합창과는 차원이 다른 거침없는 롤로코스터다. 결국 음악은 끝이 나고 급하게 인터넷 쇼핑몰을 뒤졌지만 이미 품절. 중고가격이 정가보다 높아 잠시 흔들리는 사이 그만 그마저도. 딱 7천 원 차이였는데 이 바보 멍청이. 누군가 나처럼 가디너의 합창을 함께 듣고 감동한 사람이 있었구나.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성준 2021-05-23 22: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제가 이 음반을 가지고 있는데요.

카이지 2021-05-23 2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외주문했습니다. 감사합니다.
 

3월이 시작되었다고 해서 곧바로 기다렸다는 듯 봄이다라고 외치는 건 아니다. 사실 4월 초까지도 날씨는 쌀쌀하다. 심지어는 지역에 따라 다르겠지만 눈이 오기도 한다. 그럼에도 몸과 마음에 느껴지는 기운은 다르다. 내게는 이불의 무게가 달라진다. 희한하게 3월 1일부터 두텁게 느껴진다. 불과 며칠 전까지만 해도 엷은 홑이불을 겹쳐 덮어도 전혀 무게감을 전달받지 못했는데. 그만큼 공기의 기운이 바뀌었다는 말이다. 여전히 아침, 저녁으로는 쌀쌀하고 잘 때는 보일러를 켜두어야 하지만 봄은 봄이다. 유난히 춥고 눈도 잦았던 올겨울에 대해 좋은 기억은 거의 없지만 새로운 계절의 설렘을 안겨 준 것만으로도 박수를 받을 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점차 사라진다?


기독교는 원죄를 바탕으로 한 종교다. 곧 인간은 본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죄를 짓고 있다. 기원은 이브가 선악과로 알려진 사과를 따 먹으면서 시작되었다. 구원은 오로지 신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크리스천이 아니기에 이 논리에 전적으로 동의하는 건 아니다. 그러나 꽤 오래 살아보니 자신의 생각과 관련 없이 죄를 범하는 경우가 많음을 알게 된다. 굳이 범죄가 되어 법적인 처분을 받지 않더라도.


이다영 이재영 자매가 쏘아 올린 미투 운동이 지저분한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초등학교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 성폭력 피해를 호소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역설적이게도 피해당사자는 또 다른 가해자이기도 하다. 서로가 서로에게 죄로 묶여 있는 셈이다. 자세한 상황은 모르지만 한 가지 분명한 건 기억속의 피해에는 공소시효가 없다. 정직하게 말해 마땅한 해결방법도 없다. 직접 만나서 사과를 받는다고 해서 없었던 일이 되는 건 아니니까. 개인적으로 가장 좋은 탈출구는 부딪치지 않는 거다. 영어 속담처럼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점차 사라진다Out of site, out of mind.


문제는 상대방이 유명인일 경우다. 연예인이든 스포츠스타든 티브이나 인터넷을 켜면 자주 등장하는. 아무리 기를 쓰고 보지 않으려고 해도 그렇게 되지 않는다. 속된 말로 늘 신경이 쓰인다. 게다가 스스로의 처지가 초라하다면 더욱 더 비참해진다. 실제로 한 때 좋아했던 연예인이 있었는데 어떤 계기로 싫어지게 되었다. 그 때부터 그 사람만 등장하면 채널을 돌리기 바빴다. 급기야는 인터넷의 연예란을 한동안 얼씬도 하지 않았다. 악플을 달 용기는 없었다.


그렇다고 기독교 교리대로 하나님께 의지하라고 할 수도 없고, 폭로한다고 해서 내 상황이 나아지는 것도 아니고 진퇴양난이 따로 없다. 그럴 때 난 글을 쓰라고 권하고 싶다. 당신의 악마성을 모두 토해내보세요. 복수는 그런 다음에 합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또다시 미투운동이 거세다. 이번엔 운동선수와 연예인이다. 어렸을 적 이런 저런 괴롭힘을 당한 자들이 가해자를 대상으로 폭로전에 나선 것이다. 그 중에는 진실도 있고 거짓도 존재한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한 건 과거와는 완전히 달라진 양상이다. 곧 을들이 더 이상 참지 않는다. 사실 폭로가 연이어 일어나는 건 법적 책임을 묻기 어려운 측면도 있다. 아무리 중범죄라도 공소시효가 지난 이상 벌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창 떠들썩했던 배우 성추행 사건들을 보라. 거론된 인물들 가운데 감옥에 간 사람은 거의 드물다. 물론 명백한 범죄에 해당하고 공소기한이 남아 있는 경우는 예외다. 곧 죄를 묻지는 못하지만 도덕적 책임을 따지겠다는 뜻이다. 


시실 대중의 인기를 먹고 사는 스타들에게는 법적 단죄보다 더 무서운 게 바로 평판이다, 사람들이 보기 싫어지는 순간 바로 퇴출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진짜 피해자들에게 이런 저런 오퍼가 들어갔을 가능성도 있다. 눈 감는 대가로 뭔가를 건네는. 설령 그런 제안이 없었더라도 본인에게 득되는 건 아무 것도 없는데. 도리어 본인의 피해가 드러남으로써 쓸데없는 구설수에 오를 수도 있는데. 그럼에도 역 소송에도 불구하고 증명을 하기 어려운데도 법정에 세울 수 없음에도 이들이 나서는 이유는, 다시 말해 눈앞의 이익을 포기하고 복수를 선택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일까? 단 한마다의 사과 말을 듣기 위해서? 글쎄, 인간은 미스터리 그 자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