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불 5
최명희 지음 / 매안 / 200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해에 보름달이 뜨는 건 열두번에서 열세번일까. 가끔 윤년이 있고 음력이 두번일 때도 있지 않은가. 평소에는 별로 생각하지 않는 거다. 달이 보이면 달이 떴구나 할 때가 많다. 그런 나도 보름달 생각할 때가 있기도 하다. 정월 보름과 한가위다. 두번밖에 안 되다니. 지금도 설이나 한가위는 큰 명절이지만 정월 보름은 명절이 아니구나. 그밖에 옛사람은 절기마다 이런저런 날을 보내기도 했는데, 이제는 그런 게 많이 사라졌다. 시대가 바뀐 것도 있지만, 일제 강점기 영향도 있지 않을까 싶다. 일제 강점기에는 설을 음력이 아닌 양력으로 하라는 압박 있었겠지. 일제 강점기가 지나가고도 왔다 갔다 했던가. 설이나 한가위(추석)가 아주 사라지지 않아서 다행이다. 일본은 양력으로 하지만.


 이번에 만난 《혼불》 5권은 3부 아소, 님하다. ‘혼불’은 5부까지고 두권씩이다. 1부는 시간이 좀 흐르기도 했는데, 2부에서 청암부인이 죽고는 시간이 천천히 흐른다. 그렇다고 그때 일만 말하지 않는다. 청암부인이 살았을 때 이야기도 나오고 창례식 이야기도 나왔다. 3부에서는 해가 바뀐다. 이때는 몇 년일지, 1944년 같기도 한데 분명하지 않다. 1943년일지도(그보다 앞일지도). 정월 풍습을 이야기 한다. 한해 마지막 날엔 잠을 자면 안 된다거나 신발을 숨겨둬야 한다는 말이 있지 않은가. 옛날 이야기. 그런 건 오랫동안 이어져 오기도 하다니 신기하기도 하구나. 매안 종가에서는 집을 떠난 강모가 오지 않으려나 했다. 명절이니. 한사람 더 강실이도 강모를 기다렸다. 강모가 온다고 달라질 일은 없을 것 같은데. 강실이는 강모가 자신을 어디론가 데리고 가길 바라는 건지.


 잠시 만주 봉천에 간 강모와 강태 이야기가 나왔다. 강태는 겉모습은 가까이 하기 어려워도 한번 친해지면 괜찮고 마음도 좋았다. 만주에 오래 산 조선 사람 김씨(김성직)는 강태를 의지하고 함께 일 해 보지 않겠느냐고 한다. 함께 일한다기보다 도와달라고 한 거구나. 강모는 그저 그런 말을 듣기만 했다. 오유키도 떼어 보내지 않았다. 강태는 오유키가 함께인 걸 못마땅하게 여겼다. 오유키 말은 없다. 아주 안 나오는 건 아니지만, 왜 오유키가 강모와 강태가 탄 기차에 있었는지 설명도 없다. 오유키는 있지만 거의 그림자 같기도 하다. 이건 오유키 마음과 같은 건가. 오유키는 자신이 강모한테 무엇인가 하는 생각을 하는데 오유키 자신도 잘 몰랐다.


 설이 지나고 정월 대보름이 찾아왔다. 예전에는 보름달을 가장 먼저 보는 사람이 ‘달 봤다’고 외쳤다. 옹구네는 거멍굴이 아닌 고리배미 마을에서 달집 태우는 걸 보려 했다. 그걸 보기 전에 주막에서 말을 했다. 강실이와 강모 이야기. 옹구네는 소문을 퍼뜨리기로 작정했구나. 춘복이는 달을 보고 빌었다. 강실이가 자기 아이를 낳게 해달라고. 지난번에 춘복이가 강실이를 좋아하는 것보다 신분상승하려는 것처럼 보인다고 했는데.



 조선 법으로 노비·승려·백정·무당·광대·상여꾼·기생·공장(工匠)을 팔천이다 하였는데, 이 여덟 가지 천민에서도 가장 수악한 것이 백정과 무당이었으니.  (275쪽)



 신분제도는 법으로 정해지고 바뀌지 않은 거였구나. 조선 말기에는 양반을 돈으로 사기도 했지만. 신분제도가 거의 사라진 1940년대에도 그게 남아 있었다. 사람 생각이 바뀌려면 시간이 걸리기는 하는구나. 매안과 그 둘레는 예전과 그리 달라지지 않은 것 같았다. 무당과 무부(무당 남편) 이야기가 나오고 아버지가 아들은 어쩔 수 없지만 손자라도 잘 살기를 바라고 죽으면서 자신을 투장해 달라고 했다. 명당에 무덤을 만들면 정말 후손이 잘 살까. 그런 이야기 앞에도 나오기는 했는데. 이번 5권에 또 나오고 양반 무덤에 몰래 묻어달라고 하다니. 죽으면 다 끝인데. 신분 때문에 서러웠던 사람은 어떻게든 자손만은 그런 서러움 겪지 않기를 바랐을지도. 무당 남편인 아들(만동)은 아버지 말을 따라 정월 대보름날 틈을 타서 아버지 뼈를 청암부인 무덤 한쪽에 묻는다. 아내인 무당 백단이도 함께 그걸 했다.


 달을 보고 달을 자기 안에 넣으려 한 춘복이는 매안 원뜸으로 가고 오류골댁을 살펴본다. 그때 강실이는 집에 혼자 있었다. 아버지는 달을 보러 가고 어머니 오류골댁은 다리를 밟으러 갔다. 예전에는 정월 대보름이 큰 명절이었구나. 연을 만들고 연을 날리고 그 연은 정월 대보름에 태웠다. 강실이 부모는 강실이 액막이 연을 만들었다. 풍습이지만 좋을 거다 믿었겠다. 강실이 걱정이구나. 조선 시대에는 여성을 보쌈하기도 했다. 지금 보면 그건 억지로 끌고 가는 거 아닌가.




희선





☆―


 고귀한 신분으로 태어나 갓난아기 때부터 향기로운 방령(芳齡)에 이르기까지, 어여쁘고 아름다워 부왕에게 귀애받고, 만사람들에게는 선망 칭송을 받던 공주가, 그 모든 것을 무참하게 빼앗긴 채 한순간에 더러운 죄인이 되어 내쫓기는 것은 오로지 다른 것 아닌 ‘음행’ 하였다는 ‘소문’ 때문이었다.


 소문은 연기와 같이 모양도 없는 것이 칼과 창 하나도 쓰지 않고, 장수와 재상과 임금을 점령하여 굴복시킬 수가 있었던 것이다.  (187쪽)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11-21 00:3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1-21 03: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지난 밤 꿈은

잠이 깨자마자 희미해지고

어디론가 사라져


가끔 기억이 떠오르기도 하지

꿈도 생각날 때 있지만

기억보다 뚜렷하지 않아


어떤 때는

기억인지

꿈인지

헷갈리기도 해


꿈과 기억은 조금 닮았네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처음과 마지막 사이엔

길이 있지요

그 길을 지나야

처음에서 마지막으로 가요


처음을 지나

마지막에 이르는 길을

즐겨요




희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96 나의 힐링푸드는?




 아쉽게도 없다. 이건 자주 먹는 거나 먹고 싶은 걸까. 아니면 어쩌다 한번 생각나는 걸까. 딱히 없다. 그냥 대충 먹으니.


 사람 몸이 건강하려면 잘 먹기는 해야 할 텐데. 잘 먹는다는 건 몸에 안 좋은 거 안 먹는 건가. 꼭 몸에 좋은 것만 먹는다고 건강한 건 아닌 것 같다. 자신이 좋아하는 거 즐겁게 먹는 것도 괜찮겠지. 그게 몸에 안 좋은 거면 어쩌다 한번 먹으면 되겠다.


 난 먹을 건 별로 할 말이 없다. 뭐는 할 말이 많나. 다 없으면서. 그렇구나. 내가 이렇게 재미가 없다.


 커피라고 하고 싶다.


​20231113








197 나는 어떤 일을 어려워하는 사람일까?




 어릴 때부터 생각한 건 바로 사람 사귀기 힘들다는 겁니다. 친구도 그렇고 그냥 사람 사귀는 게 힘들어요. 어떻게 하면 좋을지 여전히 모르겠어요. 오래 이어가는 것도 어렵고. 가만히 있는다고 친구가 생기는 것도 아니고 뭔가 한다고 해서 오래 친구로 지내는 것도 아닌 듯해요. 어떻게 하면 서로 생각할지. 생각만 하면 모르기도 하죠.


 저만 사람 사귀는 게 힘든 건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 지금은 많은 사람이 그렇다고 하더군요. 그러기는 해도 다 저보다는 나을 겁니다. 늘 그런 생각이 들어요.


20231114








198 지금까지 내가 내린 결정 중 가장 잘한 건 무엇일까?




 이 물음을 봤을 때 그런 거 없는데, 하는 생각이 가장 먼저 들었어. 요새 없다는 말만 하다니. 실제로 없어서. 내가 하는 건 대체 뭔가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는군. 하는 거 별로 없어.


 하나 생각났어. 책을 읽고 쓰기로 한 거. 책을 읽기 시작했을 때는 안 쓰고 그냥 읽기만 했어. 예전에 하루에 여러 권 보기도 했는데, 지금은 책 한권도 못 봐. 여러 권 본 건 동화였어. 동화는 두껍지 않아서 하루에 여러 권 보기도 했던 거고, 여러 권은 두 권이야. 지금도 책 그렇게 빨리 못 봐. 그런 것도 있고 시간을 많이 들이지 못하는 날이 많지.


 책을 읽고 쓰고 뭔가 달라진 게 있느냐 하면 없어. 아니 조금은 있는 것 같기도 해.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거. 여전히 좋은 생각은 못하지만. 생각을 안 하는 것보다는 하는 게 낫지 않아. 의문을 갖는 거. 의문보다 뭐든 싫다 의심하게 됐지만. 의심 좀 많이 하는 것 같기도 해. 어릴 때는 뭐든 다 믿었는데. 지금이라고 아주 아닌 건 아니지만, 조금 의심해.


​ 난 언제나 많은 쪽보다 적은 쪽이어서 그런지 그런 사람을 생각하기도 해. 이건 그렇게 자랑은 아니야. 그렇다고 해서 제대로 생각하는 건 아닌 것 같아. 좀 더 제대로 보려고 해야 할 텐데.


20231115








199 외롭다고 느끼는 순간은 언제야?




 나만 빠진 듯한 느낌이 들 때. 이건 늘 느끼는 거기는 하다. 그런가 보다 하면 될 텐데. 왜 나만 빠진 것 같은 생각을 하는 건지. 나도 그런 생각하는 내가 참 바보 같다 싶다.


 쓸데없는 생각 안 하는 게 좋겠다.


20231116








200 작정하고 돈을 모아 가장 먼저 산 물건은?




 오래전부터 노트북 컴퓨터 갖고 싶다면서 돈을 모으기는 했지만, 별로 모으지 못하고 한번은 모았지만 사지 못했습니다. 모은 돈 얼마 안 됐어요. 제가 사려는 건 비싼 게 아니고 싼 거였으니 괜찮지만. 그래도 모자라서 돈 다른 데서 더해야 했을 것 같아요.


 노트북 컴퓨터는 어떤 걸 골라야 할지 모르겠어요. 기본으로 된 걸 사는 게 좋을지, 조금 더 업그레이드해서 사야 할지. 이것 때문에 못 사기도 하는군요. 그렇다고 아주 좋은 걸 사려는 것도 아닌데. CPU나 메모리 그렇게 큰 건 없어도 될 것 같기는 한데.


 컴퓨터 하나만 쓰는 것보다 하나가 더 있으면 나을 것 같기도 합니다. 언젠가 살지, 저도 모르겠네요.


20231117






 쓰기 어려웠던 한주였다. 늘 그러는구나. 그러면서 다음엔 혼자 내가 산 일기장에 있는 걸 천천히 써 볼까 하는 생각을 했다. 다행하게도 그건 아주 잠깐이었다. 다른 걸 써야지. 쓸 게 떠오를지 모르겠지만. 이런 물음에 대답 쓰는 건 힘들다. 쓰고 싶지 않은 것도 있고. 없다고 쓰는 것도 어쩐지 미안하다.




희선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3-11-20 23: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1-21 03:5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제목이 좀 우습지만, 진짜 내 마음은 멋진 글 쓰고 싶다. 멋진 글은 어떤 거지. 읽기 편하고 재미있는 글. 난 재미있는 글을 못 쓰는구나. 거의 심심하지. 둘레에서 일어나는 일도 없고. 그래서 지어서 쓰고 싶은데 그건 잘 떠오르지 않는구나. 짓는 이야기여도 경험이 아주 없으면 안 될지. 꼭 그런 건 아닐 거다.


 어느 날 떠오르는 게 있지도 않고. 별거 아닌 거여도 잡고 쓰려고 하면 될지. 그런 것도 조금 쓰면 쓸 게 없다. 다 쓴 것 같아도 자꾸 생각하면 뭔가 떠오를지도 모르겠다. 끈기가 없어서 못 쓴 걸지도. 그래, 그렇구나.


 일기는 쓸 게 없어도 아무 말이나 쓴다. 아무 말이나 쓰는 걸 많이 안 해서 쓸 게 더 생각나지 않는 걸까. 무언가를 보고 그걸 써 보는 것도 좋을 텐데, 보고 그냥 지나치는구나. 보는 게 별로 없다. 길에서 보는 건 차 사람 나무.


 걸으면서 생각하는 것도 별로 없다. 걷다 보면 이런저런 게 떠오르기도 한다. 뭔가 사러 갈 때, 뭘 사야지 하는 거. 이런 것밖에 없다니. 재미없구나. 재미있어야 하는 건 아니지만. 하루하루가 똑같다. 심심한 하루도 괜찮다. 큰일은 없는 거니. 그래도 아주 조금 우울하다. 일어나고 몸을 움직이면 우울함이 덜하다. 해가 지고 어두워지면 하루가 다 간 것 같아서 아쉽다. 이런 생활을 되풀이한다.


 거의 비슷비슷한 하루를 보내겠다. 그러다 조금 웃을 일이나 울 일 화나는 일이 일어나겠다. 사는 거 별거 없지만, 건강하게 즐겁게 사는 게 좋겠다. 자신이 하고 싶은 거 하면서. 그게 돈이 안 되면 어떤가. 이건 나 스스로한테 하는 말이기도 하다.


 멋진 글이 안 됐구나.




희선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꼬마요정 2023-11-17 10:48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희선 님 글, 저 좋아합니다. 분위기가 있어요. 마지막에 멋진 글이 안 됐구나 하시는데 뭔가 멋져짐... ㅎㅎ
희선 님 페이퍼 보면 잘 읽히고, 생각도 많아지구요. 생각하는 것도, 딱히 일어나는 일도 별로 없다고 하시지만, 그걸 또 이렇게 표현하시잖아요. 글의 힘은 대단한 것 같아요. 또 생각거리가 늘었어요. 멋진 글이 어떤 걸까 생각해봅니다.^^

희선 2023-11-20 00:00   좋아요 1 | URL
꼬마요정 님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 세상을 잘 보고 작은 거라도 놓치지 않으면 좋겠지만, 놓치고 사는 거 많네요 하루하루 같아도 거기에서 다른 걸 보고 싶기도 한데, 그런 것도 아주 가끔이라니... 가끔도 아니고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쓸데없는 생각에 빠질 때가 더 많아서 그럴지도... 그런 생각보다 좋은 생각을 하도록 해야겠어요 꼬마요정 님 감기 조심하시고 한주 즐겁게 시작하세요


희선

얄라알라 2023-11-17 12: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희선님
저는 감출 것도 없으면서 망또 겹 두르기하며 글 써온 저를 이곳 알라딘, 플친 님들 글에 감동 받으면서 바꾸려 노력했어요

희선님 글의 투명함이 큰 매력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글을 왜 써야하는지 같이 고민하면서
같이 읽고 글 나누어보아요!!^^

희선 2023-11-20 00:04   좋아요 2 | URL
뭔가 쓰고 싶다 해도 세상엔 글을 잘 쓰는 사람이 많구나 합니다 여기 알라딘도 다르지 않네요 잘 못 써도 쓰는군요

얄라알라 님 고맙습니다 좋게 봐주셔서... 글은 자신을 생각하고 쓸 때가 많은 듯하네요 그게 다른 사람한테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지만, 그러지 않아도 괜찮다고 생각한다면 조금 편하게 쓸지도 모르겠네요

얄라알라 님 감기 조심하세요


희선

2023-11-17 15:2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1-20 00:12   URL
비밀 댓글입니다.

페크pek0501 2023-11-17 15:2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희선 님은 알라딘에서 인기 있는 분이십니다..^^

희선 2023-11-20 00:18   좋아요 0 | URL
저는 그런 생각 못했는데... 그렇게 생각하시다니... 조용한 서재죠


희선

페넬로페 2023-11-17 17:56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우리 모두 재미없는 글 쓰지 않나요?
책 읽고 진지한 생각들을 하니 그런 것 같아요.
희선님 글은 시적이라 느낌이 있어요.
저는 그런 글을 정말 못 써요.

희선 2023-11-20 00:27   좋아요 1 | URL
진지해도 읽는 맛이 있는 글이면 좋을 텐데... 그런 거 쓰려면 애써야 하는데 그러지도 않네요 책이라도 잘 봐야겠습니다 요새 별로 못 보는군요 죽기 전까지 만권 볼 수 있으려나, 이런 생각 가끔 하는군요 아주 잊어버리지 않아서 다행입니다

페넬로페 님 감기 조심하세요 이번 한주 좋은 한주이기를 바랍니다


희선

새파랑 2023-11-17 18:18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희선님은 거의 매일 멋진 시를 쓰고 계십니다. 제가 멋진 글을 쓰고 싶습니다 ㅜㅜ 결론은 희선님 멋지심~!!

희선 2023-11-20 00:29   좋아요 2 | URL
새파랑 님 고맙습니다 유치하지만 멋지다고 해주셔서... 새파랑 님 지금도 멋진 글 쓰시잖아요 이번 한주 즐겁게 건강하게 지내세요


희선

2023-11-17 19:5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11-20 00:3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