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선진국, 쿠바가 옳았다 - 반反성장 복지국가는 어떻게 가능한가?
요시다 타로 지음, 송제훈 옮김 / 서해문집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이상세계를 꿈꾼다. 이상세계를 꿈꾸기에 많은 사회철학부터 정치철학이 존재했다. 그러나 이상세계는 무릉도원이라든지, 유토피아라든지, 파라다이스 또는 엘도라도처럼 우리 곁에는 없는 우리가 추구해야만 해야 할 그 무엇이었다.

 

그래서 이상세계란 말 대신 다른 말을 쓰고자 한다. 예전에 녹색평론에서 출판되었던 '오래된 미래'란 말이다. 그 책은 "오래된 미래 라다크로부터 배운다"였는데, 그 때 이 오래된 미래란 말이 참 마음에 와 닿았다. 이미 오래전부터 존재해왔는데, 우리가 인식을 하지 못했던, 그런 사회.

 

오래된 미래는 그래서 저 멀리서 찾으면 안 된다. 바로 나 자신부터, 내 곁부터 찾기 시작해야 한다. 이 책의 저자는 책의 말미에서 그리운 미래라고 하였는데, 나는 오래된 미래라는 말이 더 어울린다고 생각을 한다.

 

쿠바하면 여러 생각이 드는데,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인물은 체 게바라, 그리고 피델 카스트로, 다음은 관타나모 형무소, 그리고 유기농.

 

쿠바 혁명이 성공한 뒤, 게바라는 볼리비아에서 죽고, 카스트로는 쿠바의 지도자로 지금까지도 쿠바를 이끌어왔는데, 지금은 건강이 좋지 않아, 그 동생인 라울에게 물려주고 있는 상태고, 관타나모 형무소는 악명높은 형무소로 유명하니...

 

여기에 어울리지 않게 유기농이라니... 소련이 붕괴한 뒤, 석유공급이 끊긴 쿠바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취한 조치가 바로 자급자족하는 농업 아니었던가.

자급자족하는 농업을 하기 위해서는 석유에 의존하는 농업을 포기해야만 한다. 석유라는 자원은 이미 해외의존이라는 전제를 깔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석유의존 농업을 포기한다는 얘기는 화학농업을 포기하고, 단일농업을 포기한다는 얘기다.

 

화학약품들은 석유에 의존하는 약품이고, 또 단일농업은 그러한 사회구조에서 취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쿠바는 이러한 농업에서 유기농업으로, 그리고 다작농업, 종자를 다양하게 살리는 농업으로 나아간다. 

 

그 결과가 쿠바를 유기농업의 나라로 인식하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여기에 더해 이 책은 쿠바의 장점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쿠바의 어두운 면도 다루고 있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쿠바는 이상세계라고 하는 착각에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러한 어두운 면을 껴안고 더욱 긍정적인 면으로 나아가는 점에서 쿠바는 그리운 미래이고, 오래된 미래라 할 수 있다.

 

여러가지 면을 들어 쿠바를 이야기하고 있는데, 저자의 다른 책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들녘출판사)을 먼저 읽은 독자라면 이 책이 더욱 실감나게 다가오리라.

 

특히 내 마음에 와닿은 부분은 재해에 대처하는 쿠바인들의 자세였고, 이들은 그렇게 허리케인이 일년에 두 번씩이나 늘 오는데도, 사망자가 거의 없는 대처방식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 그것도 중앙정부 차원이 아니라, 바로 지역차원에서 그러한 대처방법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이 바로 우리들이 지니고 있었던 오래된 미래의 방식, 마을 공동체에서 삶을 살아가는 방식이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다.

 

여기에 의료체계, 문화에 대한 관심, 그리고 자신들의 역사를 기억하려는 자세 등이 마음에 남아 있다.

 

500년이 넘은 고도를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옛것이라는 볼 수 없게 만들어놓은 서울을 보면, 관광객들에게 기껏해야 궁들과 종묘와 묘들밖에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 이 서울을 생각하면, 아바나를 역사도시로 가꾸어가는 그들의 모습은 우리가 반드시 배워야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 쿠바도 완전하지는 않다. 아니, 인간의 사회에서 완전을 추구하면 그것은 닫힌 체계로 나아가는 지름길이 된다. 불완전한 사회, 그러나 그 불완전을 인정하고, 그 바탕 위에서 조금이라도 좋은 쪽으로 나아가려고 하는 사회, 그래서 사람과 사람이 함께 어울리는 사회...

그것이 바로 우리의 오래된 미래가 아니겠는가.

 

쿠바는 이렇다, 왜 우리는 안될까 하는 생각만 해서는 안된다. 이 책이 우리에게 의미가 있으려면 이는 우리의 경우는 쿠바의 경우에서 어떤 점을 따올 수 있을까, 우리는 우리 사회에 맞게 어떤 점을 고쳐야 하는가를 고민해야 한다.

 

아직도 원자력이라는 생태파괴적인 에너지로 발전을 하려는 우리나라, 한 번 보라, 쿠바가 어떻게 에너지 위기를 극복해가고 있는지... 원자력보다 더 훌륭하게 에너지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단 사실을 바로 이 쿠바가 보여주고 있는데... 이런 점부터 고쳐나가야 한다.

 

 

덧말

 

224쪽. 칼럼 5에서 식량위기가 발생했을 때 1. 자기 가족 외에는 절대 식량을 나누지 않는다. 2. 가구에서 남는 식량을 이웃에게 나누어준다. 3. 마을 안에서 식량을 공동으로 이용한다 하는 세 가지 경우로 나누어 어느 것이 가장 유리한지 컴퓨터로 시물레이션을 해보았다. 그 결과 50년 평균으로 1의 경우는 45.5%,  2의 경우는 92%,  3의 경우는 2.5%의 생존율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로 되어 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또 뒷부분을 읽어보면 3의 경우가 2.5%의 생존율이라는 부분은 오타라는 생각이 든다. 92.5%정도가 아닐까 하는데... 출판사가 원고 확인을 한 번 해봐야 하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