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의 서재]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마흔의 서재
장석주 지음 / 한빛비즈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 이 책은 '마흔'과 '서재'로 이루어진 한 채의 '소슬한 집'이다." ( 책의 서문 중에서)

 

'마흔'이란 나이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읽까?

 

인생에 있어서의 한 고비라고 할 수 있는 나이인 '스물', '서른', '마흔', '쉰' .... 등은 그 나이마다 가지는 큰 의미가 있다. 그래서 이 나이대가 책제목으로 많이 등장한다.

'마흔'은 요즘 백세 시대라고 하기는 하나, 나이에 있어서의 정점에 해당하는 시기가 아닐까 한다. 삶의 이정표에서 절반쯤에 해당하는 나이.

그래서 마흔을 불혹(不惑), 즉 미혹이 없다고 한다. 다시 말하자면 흔들림이 없다는 뜻인데, 이 나이에 도달하면 세상의 이치를 꿰고 삶의 근본에 대한 통찰이 깊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인생의 1막은 끝나고 새로운 인생의 2막을 시작해야 할 시기인 것이다.

가정적으로도 어느 정도 안정적이고, 직장에서도 중간쯤의 위치에 도달했을테니, 마흔이 되면 우리의 삶을 되돌아 보면서 재정립을 해야 할 시기가 된 것이다.

하루로 치면 오후가 시작되고, 계절로는 가을이 되는 시기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인 장석주는 젊은 날의 방황 속에 시립도서관에서 손에 닿는대로 책을 읽어 나가던 시절도 있었고, 스무살에는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이십 대 후반에는 이미 출판사를 창업하여 성공가도를 걸었고, 삼십 대 초반에는 큰 집과 3천 권에 달하는 책이 있는 서재를 가지기도 했다.

 

시인, 소설가, 문학비평가, 출판기획자, 방송진행자, 대학교수, 북 칼럼니스트 등 책과 관련된 일을 일관되게 해 오던 그가 어느날 홀연히 자연을 벗삼아 살기로 하고 서울을 떠나 시골에 정착하게 된다.

지금 그곳에는 약 3만 권이 넘는 책들이 있는 서재가 있으니, 저자는 그 누구보다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 현재의 나를 단속하며

내일의 나를 앞당겨 보게 하는, 책.

책이 편안한 친구이다. " ( 책 속의 글 중에서)

워낙 독서가로 잘 알려진 저자이기에 그가 '마흔의 서재'에 어떤 책들을 올려 놓았고, 그 책 속에서 어떤 이야기를 끄집어 낼 것인지 궁금했다.

역시 이 책 속에는 장르가 다양한 책들이 약 90여 권이 올려져 있다. 항상 책을 끼고 산다고 생각했던 나로서는 그 중의 몇 권 밖에 읽지를 못했으니 저자가 그 책 속의 문장들을 소개해 줄 때마다 관심있게 책 속으로 빠져들 수 밖에 없다.

시인의 서재, 시인의 독서 편력기는 책 속에서 우리가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를 말해 준다.

자연과 벗삼아 사유하고 창작활동을 하는 저자의 삶이 그 누구보다도 행복하고 편안해 보인다. 그가 가진 3만 권의 장서는 한없이 부럽기만 하다.

노자, 장자를 비롯한 고전들에서 풍기는 향기는 그에게 지금의 삶을 살도록 부채질한 장본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에게 행복은 한때 잘나가는 출판사의 성공에서 누렸던 것들이 아닌 아주 사소함에서 오는 것이다. 햇빛 한 줄기, 메아리, 솔 숲의 향기, 물의 반짝임....

행복이 그에게 이런 것이라면, 그의 생활도 역시 가장 적은 것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하게 살아라'이다.

 

 

" 서재는 '최적의 지적 공간'이다. 꼭 정독해야만 할 책이라면 도서관이나 남에게 빌려 읽지 말고 반드시 사라. 책을 한 권 한 권 사모아 자신만의 서재를 만들어라. " (p. 112)

 

서재를 보면 그 사람의 영혼의 품격과 깊이를 고스란히 알 수 있다고 하지 않던가.

이쯤에서 나의 서재에 있는 책들을 둘러 본다. 저자에 비하면 한없이 초라한 책들.

저자는 1년에 약 1.000 권의 책을 구입한다고 하니, 그의 삶은 책을 빼놓고는 생각할 수 조차 없는 것이리라.

" 책들의 대양에서 내가 읽은 책들이라고 해 봤자 티스푼 하나 정도나 될 것인가!" (p. 126)

그렇다면 나는 그 많은 책 중에서 얼마만큼의 책을 읽었을까?

티끌이라고나 할 수 있을까?

<마흔의 서재>를 읽으면서 책 속의 또다른 책 90권의 한 부분들을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나의 책읽기에 대해서 좀더 깊이 생각할 수 있었던 기회가 주어지기도 했다. 책과 함께 있기에 즐겁고 행복할 수 있었던 나를 되돌아 볼 수도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