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의 서재]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마흔의 서재
장석주 지음 / 한빛비즈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 이 책은 '마흔'과 '서재'로 이루어진 한 채의 '소슬한 집'이다." ( 책의 서문 중에서)
'마흔'이란 나이가 가지는 의미는 무엇읽까?
인생에 있어서의 한 고비라고 할 수 있는 나이인 '스물', '서른', '마흔', '쉰' .... 등은 그 나이마다 가지는 큰 의미가 있다. 그래서 이 나이대가 책제목으로 많이 등장한다.
'마흔'은 요즘 백세 시대라고 하기는 하나, 나이에 있어서의 정점에 해당하는 시기가 아닐까 한다. 삶의 이정표에서 절반쯤에 해당하는 나이.
그래서 마흔을 불혹(不惑), 즉 미혹이 없다고 한다. 다시 말하자면 흔들림이 없다는 뜻인데, 이 나이에 도달하면 세상의 이치를 꿰고 삶의 근본에 대한 통찰이 깊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인생의 1막은 끝나고 새로운 인생의 2막을 시작해야 할 시기인 것이다.
가정적으로도 어느 정도 안정적이고, 직장에서도 중간쯤의 위치에 도달했을테니, 마흔이 되면 우리의 삶을 되돌아 보면서 재정립을 해야 할 시기가 된 것이다.
하루로 치면 오후가 시작되고, 계절로는 가을이 되는 시기라고도 할 수 있다.
이 책의 저자인 장석주는 젊은 날의 방황 속에 시립도서관에서 손에 닿는대로 책을 읽어 나가던 시절도 있었고, 스무살에는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이십 대 후반에는 이미 출판사를 창업하여 성공가도를 걸었고, 삼십 대 초반에는 큰 집과 3천 권에 달하는 책이 있는 서재를 가지기도 했다.
시인, 소설가, 문학비평가, 출판기획자, 방송진행자, 대학교수, 북 칼럼니스트 등 책과 관련된 일을 일관되게 해 오던 그가 어느날 홀연히 자연을 벗삼아 살기로 하고 서울을 떠나 시골에 정착하게 된다.
지금 그곳에는 약 3만 권이 넘는 책들이 있는 서재가 있으니, 저자는 그 누구보다 행복한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n/e/netsgo85/20130115120041188020.jpg)
" 현재의 나를 단속하며
내일의 나를 앞당겨 보게 하는, 책.
책이 편안한 친구이다. " ( 책 속의 글 중에서)
워낙 독서가로 잘 알려진 저자이기에 그가 '마흔의 서재'에 어떤 책들을 올려 놓았고, 그 책 속에서 어떤 이야기를 끄집어 낼 것인지 궁금했다.
역시 이 책 속에는 장르가 다양한 책들이 약 90여 권이 올려져 있다. 항상 책을 끼고 산다고 생각했던 나로서는 그 중의 몇 권 밖에 읽지를 못했으니 저자가 그 책 속의 문장들을 소개해 줄 때마다 관심있게 책 속으로 빠져들 수 밖에 없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n/e/netsgo85/20130115120043102469.jpg)
시인의 서재, 시인의 독서 편력기는 책 속에서 우리가 무엇을 얻을 수 있는가를 말해 준다.
자연과 벗삼아 사유하고 창작활동을 하는 저자의 삶이 그 누구보다도 행복하고 편안해 보인다. 그가 가진 3만 권의 장서는 한없이 부럽기만 하다.
노자, 장자를 비롯한 고전들에서 풍기는 향기는 그에게 지금의 삶을 살도록 부채질한 장본인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n/e/netsgo85/20130115120042457342.jpg)
그에게 행복은 한때 잘나가는 출판사의 성공에서 누렸던 것들이 아닌 아주 사소함에서 오는 것이다. 햇빛 한 줄기, 메아리, 솔 숲의 향기, 물의 반짝임....
행복이 그에게 이런 것이라면, 그의 생활도 역시 가장 적은 것으로 이루어지는 '단순하게 살아라'이다.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n/e/netsgo85/20130115120041154211.jpg)
" 서재는 '최적의 지적 공간'이다. 꼭 정독해야만 할 책이라면 도서관이나 남에게 빌려 읽지 말고 반드시 사라. 책을 한 권 한 권 사모아 자신만의 서재를 만들어라. " (p. 112)
서재를 보면 그 사람의 영혼의 품격과 깊이를 고스란히 알 수 있다고 하지 않던가.
이쯤에서 나의 서재에 있는 책들을 둘러 본다. 저자에 비하면 한없이 초라한 책들.
저자는 1년에 약 1.000 권의 책을 구입한다고 하니, 그의 삶은 책을 빼놓고는 생각할 수 조차 없는 것이리라.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n/e/netsgo85/20130115120042974390.jpg)
" 책들의 대양에서 내가 읽은 책들이라고 해 봤자 티스푼 하나 정도나 될 것인가!" (p. 126)
그렇다면 나는 그 많은 책 중에서 얼마만큼의 책을 읽었을까?
티끌이라고나 할 수 있을까?
![](http://image.yes24.com/blogimage/blog/n/e/netsgo85/20130115120044438933.jpg)
<마흔의 서재>를 읽으면서 책 속의 또다른 책 90권의 한 부분들을 읽을 수 있었다.
그리고, 나의 책읽기에 대해서 좀더 깊이 생각할 수 있었던 기회가 주어지기도 했다. 책과 함께 있기에 즐겁고 행복할 수 있었던 나를 되돌아 볼 수도 있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3/0111/pimg_715370143815333.gi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