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평가단 마지막 리뷰도서
[책 읽기 좋은 날]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책읽기 좋은 날 - 씨네21 이다혜 기자의 전망 없는 밤을 위한 명랑독서기
이다혜 지음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책의 느낌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에쿠우스를 닮은 엄숙주의가 좌회전을 하는 사이 가볍게 통통 튀는 낙천주의가 텅빈 도로를 질주하는 듯한 느낌이었다. 마치 풍선을 매단 카트라이더가 거칠 것 없이 내달리듯이. 북칼럼니스트 이다헤가 들려주는 책과 관련한 수다는 끝이 없어 보인다. 성인 독서 모임에서 우연히 만난 수다쟁이 아줌마처럼, 게임 오버가 되더라도 무한반복할 수 있는 아케이드 게임처럼 어느 순간 '이제 그만!'이라고 외치지 않는다면 내 삶이 끝나는 순간에도 다음 날 읽어야 할 책 목록을 받아들 것처럼 말이다.
김현의 <행복한 책읽기>나 <장정일의 독서일기>, 또는 정헤윤 PD의 <삶을 바꾸는 책읽기> 이후 이렇게 재밌는 서평집을 읽은 적이 있을까? 나는 가끔 꿈속에서도 책을 읽는 꿈을 꾸곤 한다. 그럴 때마다 드는 생각은 내가 정말로 책을 좋아하긴 하는가 보다,는 것인데, 단 한 번도 같은 책을 읽고 서로의 생각을 나누는 꿈을 꾸어본 적은 없었다. 왜 그랬을까? 자신이 없어서? 읽은 책이 몇 권 되지 않아서? 내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기에 딱히 이렇다 할 이유도 댈 수 없지만 궁금한 건 군금한 거다. 현실에서도 나는 내 생각을 들려주는 것보다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듣는 쪽을 택한다. 가만가만 듣고 있노라면 내 생각과 일치하는 순간이 찾아오고 그때 느끼는 희열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그렇다고 매번 그럴 수는 없는 일. 때로는 처음 듣는 작가의 생경한 이야기도 듣게 되고, 그 때문에 주눅이 들기도 하지만 그것은 또 그 나름의 기쁨이 있다. "아, 이런 책도 있었구나!'하고 무릎을 칠 때면 어렸을 때 소풍가서 하던 보물찾기 놀이가 떠오르곤 한다.
작가 이다혜는 자신의 생각을 심각하게 말하지 않아서 좋다. 작가가 이 책에서 언급한 120여권의 책중에 내가 읽었던 책은 3분의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런 상황일 때, 그동안 내가 취했던 행동은 작가가 언급한 책을 대충이라도 다 읽고나서야 서평집을 펼치는 것이었다. 일종의 결벽증인데, 그도 그렇게만 치부할 것도 아닌 것이 대개의 서평집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자신이 직접 그 책을 읽어보지 않고서는 달리 방도가 없다는 데 있다. 더구나 수시로 튀어나오는 전문용어의 방해를 받지 않으려면 평론에 관련된 전문서적을 적어도 서너 권쯤은 읽어야 한다. 그러므로 평론에 재미를 붙이지 못한 일반독자가 이런 수고를 감내하며 서평집을 끝까지 읽어낸다는 것은 생각하기 어렵다.
그러나 작가 이다혜의 책은 달랐다. 마치 무뚝뚝한 남자 친구의 무료함을 달래주는 애교 만점의 여자처럼 맛깔나는 입담으로 이야기를 펼쳐낸다. 그녀의 이야기는 처음 들어보는 작가의 작품도 전혀 낯설지 않게 만드는 마력이 있다. 책의 전반에 흐르는 구술적 표현이 무미건조한 활자의 느낌을 확 날려버리는 까닭에 400쪽에 가까운 책의 볼륨에도 독자로서의 지루함은 묻어나지 않는다.
"이성을 볼 때 어디부터 보는가? 남자라면 여자의 눈(이라고 쓰고 가슴으로 읽는다)-가슴-다리(라고 쓰고 가슴이라고 읽는 사람도 있다)가 가장 일반적인 루트인 것 같다. 여자들은 남자의 얼굴, 엉덩이, 손 등 산발적인 부위에, 목소리나 체취를 더해 공감각적(!)으로 느끼는 일이 많다. 그렇다면 책을 고를 때는 어떨까? 책의 어디가 당신을 유혹하는가? " (P.311)
글쎄? 책의 어디가 나를 유혹하고 있을까? 저자의 얼굴(이라고 쓰고 가슴이라고 읽어야 하나?)이라 말하면 오해의 소지가 있을 듯하다. 아무튼 이런 식의 가벼운 터치는 독자의 긴장감을 풀어준다. 우리는 비록 오늘 처음 만난 사이지만 당신이 원한다면 멀리 함께 여행이라도 떠날 수 있어요, 라고 속삭이는 듯하다.
언젠가 나는 이런 종류의 책을 경계해야 한다고 쓴 적이 있다. 내가 그렇게 말한 까닭은 책장에는 아직 읽지 못한 책이 가득한데도 또 다시 많은 책을 새로 구입할 소지가 크기 때문이다. 이번이라고 다르지 않았다. 구매 리스트에는 새로 추가된 목록들로 가득하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지름신이 강림하면 나는 생각도 없이 주문 버튼을 누르고야 말 것이다.
"사람들은 나를 '브이아이피(VIP)'라 하고 가족들은 나를 '폐지장수'라 부른다. 서재를 따로 둘 여유가 없는데 책은 점점 쌓여간다. 여러 식구의 책이 뒤섞인 채 짐만 되고 있다. 어디에 무슨 책이 있는지 못 찾아서 두 권 산 책이 있다. 읽은 책인데 기억이 안 난다. 책 정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엄두가 안 난다." (P.395) 이런 사람들을 위한 책 정리 노하우가 부록에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나는 그저 읽기만 했을 뿐 실천은 장담하지 못하겠다. 혹시 모른다. 우렁각시가 '짠'하고 나타난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