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명한 영화감독 스티븐 스필버그가 만든 영화 쥬라기 공원을 본 사람이라면 이 공룡의 존재를 알 것이다. 바로 벨로시렙터(벨로키랍토르)다.


벨로시렙터의 화석이 발견된 것은 20세기 초다. 1923년 몽골의 고비 사막에서 미국 뉴욕 자연사 박물관에서 파견한 미국인 화석 탐사대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1924년 미국의 공룡학자 헨리 F 오즈번 박사에 의해 지금의 이름이 명명되었다.

벨로시렙터는 백악기 후기에 서식하던 종으로 현재의 몽골과 중국 지역에서 서식했다. 크기도 굉장히 작았다. 현재 인간보다 훨씬 작으며, 크기만 봐선 애완용으로도 적당할 것이다. 사실 이 공룡이 유명해진 건 바로 1971년 몽골 고비 사막에서 폴란드 탐사팀에 의해 프로토케라톱스와 싸우다 죽은 화석을 통해서였다.

처음에 발견되었을 당시 프로토케라톱스가 벨로키랍토르의 앞다리를 물고, 벨로키랍토르는 프로토케라톱스의 목에 두 번째 발가락 발톱을 박은 상태 그대로 화석이 되었는데 이는 벨로키랍토르가 프로토케라톱스(초식공룡)를 사냥하던 중 둘이 물고 싸우다가 모래더미나 돌 무더기에 산 채로 파묻혀서 그리 된 것이었다.

그러나 발견된 화석하고는 달리 영화에서는 2m가 넘는 육식 공룡으로 나온다. 그래서인지 영화를 본 사람들은 벨로시렙터가 마치 거대한 공룡으로 티라노사우루스와도 대적할만한 존재로 인식하기도 한다.

사실 영화에서 묘사된 벨로시렙터는 백악기 시절에 살았던 유타랍토르나 데이노니쿠스를 모티브로 한 것이다. 그래서 그 정도의 크기로 묘사된 것. 한편 쥬라기 공원은 1편에서 공룡들에게 털을 안덮혀서 그런지, 2022년 판에서도 털 덮인 공룡들이 거의 나오질 않는다.

벨로시렙터 또한 최근 연구에 따르면 깃털 공룡인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기존 영화에 대한 고정관념 때문인지는 몰라도 여기서 나온 렙터는 털이 없다.

참고로 쥬라기 공원에 나온 대다수 공룡들은 백악기 시절의 공룡들이며, 쥬라기 시절 공룡들은 거의 없고, 트라이아스기 공룡은 더더욱 없다. 최근 영화에서는 고생대 시절 포식자 디메트로돈이 나왔는데, 공룡은 아니다.

오랜만에 쥬라기 공원 공룡관련 잡썰을 풀어봤다. 무튼 영화에 나온 벨로시렙터는 유타랍토르나 데이노니쿠스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newdvs117 2023-06-29 2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룡과 관련된 흥미로운 글이네요!
 

공룡 연구에서 최신 연구가 중요한 이유?

공룡관련 연구들을 보면, 정말 흥미로운 점이 있다. 고생물학은 기본적으로 발굴한 화석을 바탕으로 하는 연구이기 때문에, 학계의 입장이 주기적으로 자주 바뀌는 편이다. 물론 이점이야 어느 학계든 간에 공통적인 분모일 수는 있지만, 고생물학 연구에서 특히 공룡 연구는 더욱 그러한 것 같다.

2001년작 쥬라기 공원3에서 전편에 등장했던 티라노사우루스 만큼의 위엄을 보여주었던, 스피노사우루스만 하더라도 2족보행이다 혹은 4족보행이다를 놓고, 학자들 간의 논박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2018년에는 스피노사우루스가 기본적으로 수중생활에 적합한 꼬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학자들에 의해 밝혀졌다. 심지어 현생 악어가 가지고 있는 비슷한 꼬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에 따라 학자들 간의 논쟁도 치열하다. 앞에서 말한 스피노사우루스의 2족보행설과 4족보행설 그리고 반수생 생활까지 여러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중이다. 스피노사우루스의 예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공룡들도 주기적으로 학설이 바꼈으며, 또 변형되고 있는 중이다.

백악기 시절 서식했던 대표적인 초식 공룡인 이구아노돈을 보자. 이구아노돈은 현재 우리들에게 친숙한 공룡의 존재를 알린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구아노돈은 영국의 치과의사인 멘텔 박사에 의해 발견된 이래 영국의 오언 박사나 프랑스의 조르주 퀴비에 박사 등 저명한 학자들에 의해 논란의 한가운데에 서기도 했다.

1820년대 이구아노돈 복원도를 보면, 코뿔소의 뿔을 가지고, 4족 보행을 하며, 도마뱀 처럼 긴 꼬리를 가진 파충류처럼 묘사됐다. 당시 공룡들은 파충류의 종류로서 간주되었으며, 현재도 그러한 경향을 완벽히 벗어나지는 못했다. 발견 초창기 이구아노돈은 코뿔소의 뿔을 가진 도마뱅처렁 묘사됐다.

그러나 나중에 학자들은 이것이 이구아노돈의 본 모습이 아닌 것을 밝혀냈다. 사실 이구아노돈의 뿔로 묘사됐던 펴는 이구아노돈의 엄지 발가락이었다. 그 이후 연구와 검증을 거치며, 이구아노돈은 앞다리보다 뒷다리가 더 긴 것을 보고 두 발로 설 수 있는 공룡으로 밝혀졌다.

이구아노돈 외에도 대다수의 공룡들은 연구와 검증을 통해 이러한 과정들을 거친다. 목이 긴 공룡으로 알려진 브라키오사우루스는 과거에는 물에서 사는 공룡으로 묘사됐다. 이는 1940년 디즈니에서 제작한 만화 판타지아(Fantasia)에서도 잘 묘사된다. 그러나 고생물 학자들은 브라키오사우루스의 골격이 수중생활과는 연관이 없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최근들어 브라키오사우루스에 대해선 흥미로운 학설이 나왔다. 1993년 스티븐 스필버그의 작품 쥬라기 공원에서 공룡의 거대함을 상징적으로 보여줬던 브라키오사우루스에게는 현재 코끼리와 비슷한 모양의 코를 가지고 있었다는 학설이 나오기도 한다. 물론 이것도 논박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 같다.

그외에도 공룡으로 판단했다 포유류임이 밝혀진 종도 있다. 대표적으로 바실로사우루스가 그러하다. 19세기 당시 바실로사우루스를 발견한 학자는 군주 도마뱀이라는 이름을 붙혀 자신이 발견한 화석을 바실로사우루스라 이름 붙혔다. 그러나 나중에 밝혀진 결과, 바실로사우루스는 중생대 해양 파충류가 아닌 신생대 에오세 당시에 서식했던 고래과 포유류였다. 현생 고래들의 먼 조상님이었던 것이다.

이처럼 공룡 학계의 학설은 최신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1999년에 제작된 BBC의 공룡 대탐험 시리즈 중 하나인 공룡 대탐험에선 남극 공룡을 다루며, 백악기 남극 지역에 알로사우루스가 있었던 것으로 나온다. 그러나 그 육식 공룡은 현재 알로사우루스가 아닌 아우스트랄로베나토르로 불린다.

여러 예시가 보여주듯이, 공룡 학계의 최신 연구들은 공룡의 명칭과 습성 그리고 묘사도까지 손쉽게 바뀌기도 한다. 그리고 아직도 그러한 연구를 통해 검증을 거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공룡 학계의 최신 연구는 다른 학문들에 비해 최신 연구의 영향력이 막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필자가 초등학생과 중학교 1학년 당시 즐겨보던 다큐멘터리 하나가 있었다. 그 다큐멘터리의 이름은 바다 괴물들(Sea Monsters)였는데, 동물학자(이자 고생물 학자)인 나이젤 마빈이 고생대와 중생대 그리고 신생대를 돌아다니며 위험한 바다 동물들을 만난다는 내용이었다. 주인공 나이젤 마빈이 마지막으로 간 곳은 지금으로부터 약 7500만년 전인 백악기 후기였다.

 

백악기 후기 바닷가에 도착한 주인공은 주인공보다 조금 더 큰 새들의 무리 속에 있었다. 그 새의 이름이 바로 헤스페로르니스(Hesperornis)였다. 다큐멘터리에 따르면 이들은 날지못하는 새였는데, 이 대목에서 필자는 현존하는 생물인 펭귄을 떠올렸다. 물론 외형상 펭귄하고는 엄연한 차이가 있었지만, 날지 못하는 것과 바다에서 주로 생활하는 모습은 펭귄을 떠올릴만한 대목이었다. 생각해보니 필자 또한 지난 미국 여행에서 워싱턴 DC에 있는 스미소니언 자연사 박물관을 방문했을 때, 헤스페로르니스를 보았던 것 같다. 그래서 그런지 뭔가 흥미가 생긴 것일지도 모르겠다.

 

헤스페르로니스는 중생대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와 유라시아 일대에 서식한 원시 조류로써 미국 중서부의 켄자스 주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1871년 미국 켄자스 주 서부 일대에서 백악기 당시 서식하던 익룡인 프테라노돈을 발굴하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고, 발견한 학자들은 이 동물이 펭귄과 같이 날지 못하며 수중 생활에 익숙한 새일 것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흥미로운 사실은 이 녀석에겐 이빨이 달려있었다는 것인데, 이 때문에 조류가 파충류와 뿌리를 공유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생물학적 증거라는 학계의 평가도 있었다. 현재 이 녀석은 백악기 후기에 살았던 일군의 반수생 조류들을 아우르는 분류군인 헤스페로르니스류의 대표격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당초 레스토르니스(Lestornis)라는 별도의 속명을 부여받고 모식종과 함께 학계에 소개된 크라시페스종(H. crassipes)을 비롯해 산하에 거느린 종의 수가 대략 10여 종에 이른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화석 자료를 토대로 이들의 서식 범위는 북아메리카 일대에 국한되어 있었지만 러시아 볼고그라드 주(한때는 차리첸 혹은 스탈린그라드라 불렸던 곳)와 스웨덴 스코네 주에서 같은 종의 화석이 발굴된 덕분에 지금은 서식 범위가 유라시아 일대라고 고생물 학자들은 결론내리고 있다.

 

헤스페로르니스는 주로 해안가에 살면서 물고기나 오징어 등의 해양 생물들을 잡아먹으며 살았을 것이고, 상어나 모사사우루스 그리고 크시팍티누스(몸길이가 대략 5m 되는 물고기다)와 같은 것들이 아마 헤스페로르니스의 천적이었을 것이다. 현존하는 바다생태계에 적용해보자면 아마도 범고래나 북금곰 혹은 상어의 먹잇감인 펭귄하고 비슷하다. 이들은 백악기 후기까지 서식하다 6500만 년 전 대멸종 시기에 멸종된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삼엽충 - 고생대 3억 년을 누빈 진화의 산증인 오파비니아 4
리처드 포티 지음, 이한음 옮김 / 뿌리와이파리 / 2007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엽충 서평>

최초의 인간 오스트랄로피테쿠스가 탄생하기 아주 먼 옛날을 가리키는 단어가 있다. 선캄브리아기부터 페름기까지인 고생대가 있고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까지를 나타낸 시기인 중생대가 있다. 우리가 다 아는 공룡은 트라이아스기부터 백악기까지 약 1억 6천만년동안 서식했고 자취를 감췄다. 그러나 지금까지 발견된 고생물 중에는 공룡이 서식했던 시대보다 2배나 더 지구에 존재했던 생물이 있다. 바로 삼엽충이다.

여기서 내 얘기를 좀 더 해볼까 한다. 초등학교 시절 나의 꿈은 동물학자 사육사 혹은 고생물학자였다. 초등학생 시절 고생물에 관심을 많이 가졌던 나는 BBC공룡대탐험과 같은 공룡 다큐들을 매일 같이 봤고 매우 많은 공룡이름을 외우고 있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BBC에서 했던 ‘바다괴물들’이라는 다큐를 우연히 텔레비전에서 보았는데 그 다큐에서 아주 잠깐이지만 오르도비스기 장면에서 삼엽충이 포식자 바다전갈의 먹이로 나온걸 봤었다. 물론 그전부터 어린이용 고생물 책들을 봤기에 삼엽충의 존재를 알고 있었지만 어디까지나 고생대 초반기에만 서식한줄 알았었다.

시간이 흘러 난 대학생이 되었고 전공을 역사과를 선택했지만 공룡과 고생물에 대한 흥미를 버리지 않았다. 전공까지는 아니더라도 취미차원에서 관심을 가졌고 간혹 공룡 관련한 다큐나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정도였다. 최근 역사책 독서에 빠져있던 내게 눈에 들어오는 책이 있었다. 리처드 포터의 ‘삼엽충’이었다.

공룡보다 더 오랜기간동안 지구에 서식했던 삼엽충에 대해 흥미를 느낀 나는 알라딘에서 구매했고 2주에 걸쳐서 끝까지 다 읽었다. 과거 난 삼엽충의 존재를 단순히 현재 생존하는 쥐며느리의 조상정도로 치부하고 있었다. 그 편향된 관점은 이 책을 읽으면서 깨졌다. 삼엽충의 후손에 가장 가까운 동물이 투구게라는 사실에는 생김새와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공감이 갔지만 전갈하고는 도저히 매칭되지 않았다. 책에서 안 또 하나의 사실은 삼엽충도 진화를 했고 그 종류가 수백 가지라는 사실이다.

책에는 저자의 인생스토리와 수십 년간 삼엽충 연구를 하며 느꼈던 감정서술이 대단히 잘 되어있다. 해외 여러곳을 다니며 삼엽충을 연구했던 저자의 노력도 책에 매우 잘 드러난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중국이나 일본의 고생물연구나 삼엽충에대해선 책에서 적잖게 나오지만 한국의 삼엽충과 고생물 연구에 대해선 일언반구조차 없다. 우리나라 고생물학 연구가 그만큼 부족하다는 증거일 것이다. 번역된 삼엽충 서적을 읽을 수 있어서 매우 흥미로웠다. 고생물을 연구하거나 진로를 그쪽으로 선택한 이들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기를 추천한다. 3억년이라는 매우 긴 세월에 가려진 삼엽충의 진실은 매우 많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바람이 있다면 단순히 삼엽충 뿐만 아니라 고대에 살았던 악어 데이노수쿠스, 수장룡 엘라스모사우루스. 다이어트한 고래 바실로사우루스와 같은 여러 고생물들을 다룬 영문책들이 국내에 번역되어 공룡학자를 꿈꾸는 이들의 지식을 높여주어 한국의 고생물 연구가 지금 보다 더 발전하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