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고독에서 벗어나시옵소서. 이제서야 그대의 작품을 만나게 되어서 미안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젊은 이들이 죽어가고 있는 요즘 시대에, 이 세 명의 여성 작가는 현대인의 소외와 고독,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소통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 소통의 방식은 바로 젊음 자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 동안 박스 안에 모셔두었던 빚들을 청산하고자 한다. 이 청산은 구입을 위한 청산이 아니라, 기억과 자기 만족을 위한 정리 정돈이다.

 

 

 50개의 사물에 대한 이야기. 언더그라운드 팝아티스트들이 화자로 등장해 사물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사물에 관해 탐구하는 것, 특히 구체적인 탐구는 나를 언제나 설레게 한다. 한 권의 극장에 50개의 연극이 상영되는구나.

 

 『아틀라스』에 대한 각별한 관심. 2700쪽에 가까운 페이지이지만 난 겁먹지 않는다. 거인은 원래 크기 때문이다. 거인을 소인으로 만드려는 시도는 작품을 망칠 뿐이다. 때로는 아주 긴 것이 필요하다. I am John Galt, Altas is shrugging. 움츠려드는 아틀라스는 무엇을 상징하는가? 몰락하는 미국 자본주의인가? 아니면 그것을 상징하는 인물, 존 골트인가? 누군가는 무너진다. 누군가는 떠오른다.

 

 

『작가란 무엇인가』와 <파리 리뷰>지는 존재만으로도 우리에게 많은 깨달음을 전해준다. 작가란 존재가 얼마나 위대한 존재이고, 존중받아야 하는지, 한 세계를 창조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을 해야하는지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작가 역시 한 명의 인격체이고, 따라서 작가는 정의할 수 없는 무엇이다. 센델이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정의를 정의했는가? 마찬가지로, 소설가, 작가가 무엇인지 질문해도 결코 답은 얻을 수 없다. 단지 그 과정에 의의가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사건이 아니라 의식이다. 빅토르의 의식이 곧 소설의 내용이자 주제이다. 사건의 전개는 그저 표상일 뿐이다. 상당히 어려워 보이지만, 또 다른 기회가 될지도 모르겠다. 『내일 전쟁터에서 나를 생각하라』, 나에게 그 이유를 가르쳐주시오.

 

 요즘 이윤기가 쓴 『하늘의 문』과 이윤기와 딸 이다희가 번역한 『플루타르코스 영웅전』을 읽고 있다. 그의 스타일은 깊고 매력 있다. 모든 내용이 눈에 들어오는데, 그 내용이 합쳐지면 이윤기가 쌓은 지혜가 보인다. 이윤기, 하면 떠오르는 작품은 단연 『그리스인 조르바』. 이윤기의 번역은 이미 확인한 바 있다. 글 역시 읽고 있다. 난 그의 태도를 존경한다. 과시가 아닌 소통, 바로 그것이다. 내가 하고 싶었던 것.

 

 일상적인 질문들에 대한 과학적인 대답. 우리가 잘 몰랐던 것들을 안다는 것, 그것이 얼마나 고귀한 일인지 나는 몰랐다. 시간이 뒤로 가면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고 싶지 않나?

 

 

 

 베케트에 관한 두 가지 책. 내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작가는 실비아 플라스이다. 언젠가 그녀의 소설과 시 전집을 읽어보고 싶다.

 

 

  아무리 그녀의 삶이 유명하다 하지만, 결국 그녀를 입증시키는 것은 다름 아닌 시와 소설이 아닌가? 더 찾아보니, 그녀의 일기와 드로잉집도 있는데 이것 역시 관심이 간다.

 

 인생을 글로 치유하는 법. 글쟁이로서 당연한 소유욕 아닌가?

 

 

 

 

 

 

 

 

 

 

 

 

 빚 다 갚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저는 그 동안 성경을 5~6번 읽었는데, 얻은 것은 별로 없었습니다. 그 이유는 제가 집중해서 읽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통독을 하는 건 좋지만, 한 구절 한 구절을 묵상하면서 읽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성경은 정말 방대해서 열심히 읽어도 기억나는 게 별로 없을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적어도 성경을 읽음으로써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아가고, 하나님을 위한 삶을 살 수 있길 소망합니다..... 제 현재 통독 방법은 구약, 신약을 1장씩 읽으며 묵상하는 방법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외국소설을 즐겨보는 나에게도, 그것보다 더 읽을 가치가 있는 한국작가의 한국소설이 있다. <별을 스치는 바람>을 쓴 이정명이 바로 그 사람이다. 그의 소설은 `한국`의 것이다. 한국인의 정서, 한국인의 설움, 그리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희망을 제시하는 것이 그의 소설의 주제이다. 특히, <별을 스치는 바람>은 시대적 탄압 속에서도 빛나는 시인의 저항 정신과 그들이 쓴 문학의 위대함을 우리에게 보여주기 충분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