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일 때 사랑에 빠진다. 그래서, ‘빠진다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사랑은 계획적으로 할 수 없다. ‘사랑하고 싶다라는 의지를 품을 수는 있지만, 의지가 강할수록 오히려 사랑을 시작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사랑의 의지가 강한 두 사람이 만남의 기회를 만들어 데이트를 시작한다고 해도 그 관계는 오래가지 않는다”-<Markus Gabriel VS>(마르쿠스 가브리엘,사유와공감)

 

살아 있으면서 죽은 척하는 것이 어떻게 행복이겠는가. 그러니 다시 감정을 살려내야 한다. 이것은 삶의 본능이자 삶의 의무이기 때문이다...감정은 그것이 어떤 것이든지 신적이다,, 한 개인이 의식적으로 선택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감정수업>(강신주,민음사)

 

사랑은 하는 것인가? 빠지는 것인가? 강신주는 변덕스럽다는 이미지와 달리 감정이 오히려 일관적이라고 한다. 바흐를 한번 좋아하기 시작하면 대체로 끝까지 좋아하게 된다는 거다. 이 때 감정은 고유한 자신같은 의미를 띈다. 이런 가정하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고유한 감정을 직시하고, 외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지키는 것이 된다. 하지만, 반대의 입장도 있다.

 

“..감정을 형성하는 것은 행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랑의 감정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랑의 행위를 하는데 따르는 결과인 것이다. 이런 개념을 받아들이면 사랑에 대한 진부한 관념들-즉 부모는 자기 자식을 무조건 사랑한다 든가, 남자와 여자는 자신의 의지나 선택과 상관없이 저절로 사랑에 빠진다든가, 이성을 너무 사랑하게 되면 열정의 포로가 된 나머지 상대를 죽일 수도 있다든가 하는 것들-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깨닫게 된다. 사랑은 실제로 행할 때 존재한다는 사실을...”-<올 어바웃 러브>(벨훅스, 책읽는수요일)

 

여기서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하나의 태도나 결단이다. 이런 태도는-비약하면- 니체의 아모르 파티를 떠올리게도 한다. 마치 학교에서 전공선택할 때 적성이냐 장래가능성이냐 따지는 것 같기도 하다. 감정은 여기서 필요조건이 아니다. 재밌게도 커리어 개발관련 서적에도 비슷한 관점이 있다. 예를 들어 칼 뉴포트의 <열정의 배신>에서 저자는 중요한 것은 열정(감정)이 아니라 일을 대하는 장인마인드셋’(태도)이라고 말한다. 일에서 자유를 얻는 방법은 변덕스런 열정을 좇아가는 것이 아니라 지금 서 있는 자리에서 장인이 돼서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이라는 논지다.

둘 중의 어떤 것이 진실일까? 감정의 위치가 인간 안에서 어디인가를 정확히 하는 것이 답을 줄 것 같다. 감정은 하늘의 구름처럼 실체가 없고 일시적인 것인가? 아니면 자신만의 고유한 삶을 가능케 하는 방향타인가? 흔히 말하는 로맨스와 인류애 같은 다른 사랑을 구분하는 것이 두 입장을 중재하는 타협점이 될까? 사랑은 투명한 빈 용기 같다.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빛깔은 계속 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가명 > [100자평] 니모나

니모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한국에서 박사하기 - 젊은 연구자 8인이 말하는 대학원의 현실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84
강수영 외 지음 / 스리체어스 / 2022년 12월
평점 :
품절


일단 이제 대학원생이라고 하면 '미생' 이미지에 교수의 전횡에 휘둘리는 불쌍한 이미지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같다.  저자들이 묘사하는 대학원생은 그림자노동에 시달리는 노동자이면서, 공부의 방향성과 효율적인 연구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자이다. 현재 전체 대학원생이 30만정도 된다고 하는데, 이들이 고민하는 것은 어떻게 하면 학내와 학계의 주체적인 구성원이 될 것인가? 혹은 특히 인문계의 경우는, 대학원 졸업 후의  진로 문제로 압축될 것 같다. 재밌는 것은 이제 신진 연구자들은 이제 본인이 교수가 될 것이라는 기대 자체가 별로 없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대학원은 시스템이라기보다 교수 중심의 도제식으로 운영되고 있고, 자원과 권력이 사기업 못지 않게 경쟁과 위계로 배분되고 있다. 이들이 생각하는 것은 구성원들 간의 연대와 소통, 학계 밖으로의 외연 확대 등이다.  대학원 교육도 이제는 대중화되었다고 한다.  읽다보면 인문학 지원자들은 한숨이 나올 수도 있겠다. 불안정한 미래와 감이 잡히지 않은 공부 등을 감수하면서도 인문학을 택하는 이들, 마치 스스로 자신의 머리에 총구를 겨누는 셈 아닌가. 정말, 요즘은 공부를 하려면 거의 수도승의 마음가짐이 필요한 것 같다. 거의 반쯤 미친 상태로 자폭하는 기분으로 말이다.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지 않는 이들은 자신의 존재이유를 시민사회에 설명해야 하는 부담을 진다. bts니 케이팝이니 하는데 돈이 안된다는 이유로 이들은 홀대받는다. 7,80년대의 존경받던 지식인의 아우라는 사라졌다. 먹고살기 좋아졌다는 말이 이런 거 보면 허구 아닐까.  <일하지 않고 배불리 먹고 싶다>(구리하라 야스시, 서유재)...  추상적인 단어가 많아 가독성은 약간 떨어지는 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깻잎 투쟁기 - 캄보디아 이주노동자들과 함께한 1500일
우춘희 지음 / 교양인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민국 사람들은 이주노동자의 값싼 노동력에 기대어 살고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고 난 뒤 알게 된 것: 이주노동자에 대한 혐오나 차별이 일부 몰상식한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국가가 그들을 바라보는 근본적인 관점이 '급할 때 쓰고 버리는 사람들'이라는 식이고 그런 관점위에 구축된 제도가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그런 토양을 바탕으로 해서 착취와 억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니 오히려 불법체류자가 자신의 인권을 지키기가 더 수월해지는 역설적인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미 농촌은 이주노동자가 없으면 아예 돌아가지 않는 상황이라고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집중력 설계자들 - 몰입의 고수들이 전하는 방해받지 않는 마음, 흔들리지 않는 태도
제이미 크라이너 지음, 박미경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만 보면 요즘 나오는 집중력 높이기와 관련한 자기계발서 같은데, 실상은 집중력이라는 키워드로 본 중세 수도원의 역사와 수도자들의 삶 정도 된다. 우리 식으로 표현한다면 '스님들은 참선과 해탈을 위해 어떻게 노력했는가' 정도의 책이 나올 것 같다. <장미의 이름> 같은 분위기의 책을 좋아한다면 재미있는 역사교양 정도로 읽을 수 있다. 물론 이 책에서 소개되는 여러 키워드들로부터 현대의 집중력 높이기와 관련한 영감을 얻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문장은 쉽고 내용은 난해하지 않다. 하지만, 감독이 투톱을 세울 것인지, 원톱을 세울 것인지 전술을 명확하게 하지 않는다고나 할까, 읽다보면 분명 이해는 되는데 그래서 결론이 뭘까 하는 막연함이 느껴진다. 학교에 한 두 명씩 있는 합리적이고 , 박식하며 강의도 잘 하지만,  살짝 지루한 교수님의 수업을 듣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