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의 조건 - 융 심리학으로 보는 친밀한 관계의 심층심리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22년 7월
평점 :
“자신을 사랑할 수 없는 사람이 어떻게 타인을 사랑할 수 있겠습니까?” 처음 이 말을 듣고 음, 그런가, 했지만 다시 돌이켜보고 그냥 겉만 번드르한 레토릭 아닌가 하고 생각했다. 대체 자신을 정말로 사랑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자신의 죽음을 정말로 실감하는 사람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그리고, 자신을 사랑하는 것과 타인을 사랑하는 것이 무슨 연관인가. 하지만, 저자에 따르면 이 말은 진리다. ‘투사’라는 메커니즘 때문이다. 이 메커니즘 때문에 우리는 사랑을 반복해서 실패한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심리학의 관점 중 하나가 ‘우리는 매번 같은 패턴을 반복하며 살아간다’는 관점이다. 이런 걸 습관이나 운명이라고 부르는지 모르겠지만, 저자에 따르면 이 패턴은 어릴 적 부모 같은 타자와의 관계에서 형성된다. 갓 태어난, 한없이 무력한 아기는 분리를 통해 에덴동산에서 추방된 듯한 상실감, 주변 환경에 대한 무력감과 두려움, 공포 등의 패턴을 가지게 된다. 저자는 이걸 방어하는 여러 방어기제도 소개하고 있는데 가장 인상깊은 것은 스톡홀름 증후군으로 대표되는 ‘강자와의 동일시’다. 예상외로 이 방어기제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이 많지 않을까?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광화문 탄핵반대 집회에서 자기를 죽이려고 했던 최고 권력자의 모상 옆에서 손을 잡는 시늉을 하고 기념촬영을 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또 다른 강력한 아버지를 찾는 방어기제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 유대감의 부족에 따른 방어기제도 눈에 띈다. 유대감이 부족한 상황의 아이는 ‘내가 하는 만큼만 대우받는다’라는 방어기제를 발전시킨다. 취업 못 하면 명절에 집에 안 가는 게 자연스러운 이유가 이런 방어기제 때문 아닐까.
어쨌든 우리가 지금 말하는 사랑의 대부분은 자기 안의 구겨지고, 상처받은 콤플렉스를 타자에게 투사하는 과정이라고 저자는 주장한다. 즉 우리는 타자를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에게 비치는 나를 사랑하는 것이다. 이는 자기 삶의 책임, 자기 콤플렉스를 스스로 극복하지 못하는 책임을 떠넘기는 것이기도 하다. ‘눈에 씌인 콩깍지가 벗겨지는’ 과정은 나의 투사와 관계없이 타자는 완전히 나와 다르다는 것, 그 혹은 그녀가 나의 기대와 전혀 상관없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아가는 과정이다. 대신 저자가 말하는 것은 ‘영웅적 사랑’이다. 상대방의 다름을 받아들이는 고통을 감수하고, 상대방이 자신의 삶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자유롭게 해주는 것. 어째 연인이라기보다는 동반자나 도반 같은 단어가 더 어울릴 것 같긴 한데, 저자는 자신이 사랑의 환상을 깬다는 비난을 자주 받는다고 고충을 토로한다. 저자에 따르면 투사는 가장 기본적인 정신역동 중 하나이다. ‘내 눈안의 들보’,‘내가 나무를 보기 때문에 나무가 존재한다.’라는 명제가 연상되는데, 자신과 맺는 관계의 질이 타인과 맺는 관계의 질을 결정할 것이라고 저자는 단언한다. 책의 결말에서는 투사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신이라는 ‘절대타자’와의 관계도 짚어본다. 프로이트가 말한 것처럼 종교는 유아 심리의 투사일 뿐일까? 저자는 프로이트가 옳지만 일부만 옳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는- 동의하지 않는 사람이 많겠지만-, ‘영적 직관’이다.
홀리스의 다른 책처럼 이 책도 추상적인 단어가 많고 각 문장마다 무게가 있다. 한 번에 처음과 끝을 주파하는 독서 스타일은 책의 전개가 답답할 수 있다. 번역은 홀리스의 다른 책에 비해 그럭저럭 괜찮은 것 같다. 실증주의, 물질주의 경향의 독자도 ‘영혼’과 ‘소명’을 언급하는 저자의 조감도가 뜨악할 것이다. 하지만, 투사라는 정신역동으로 사랑을 설명하는 로직은 진실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 아닐까. 저자의 이야기는 라캉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라캉은 주체가 상징계(사회,제도, 문명같은 뉘앙스다)에 진입하면서 탄생한다고 하는데, 그 과정에서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을 입는다고 한다. 태어난 아기가 살아남기 위해, 제도에 편입되기 위해 입장료로 손모가지 하나는 바치는 식이다. 이후 주체는 자신의 결핍을 채우기 위해 끊임없이 무언가를-라캉은 이를 대상a라고 표현한다.- 찾아 헤매는데 이 과정에서 결핍이 완벽히 채워지는 경우는 없기 때문에 무한반복이 이어진다. 융심리학 관점에 빗대 말해 보자면 우리가 해야 할 것은 투사를 통해 낭만적 연인, 대상a를 찾는 것을 그만두고 스스로를 성찰해서 ‘개성화’(자신만의 심리적 현실을 의식적으로 깨닫는 것)와 전일성을 획득하는 것이다. 그런 과제를 완수할 때 나 자신이 타자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 될 것이다.
내가 들은 사랑에 관한 가장 현실적인 정의는 아트앤스터디에서 강신주가 말한 “사랑은 타자가 곁에 있으면 내가 즐겁기 때문에 타자를 계속 내 곁에 붙잡아 두기 위해 잘 해주는 것” 이라는 정의다. (강신주는 궁극적으로는 인류애 쪽으로 가야 할지 모르지만 적어도 지금의 주제는 아니다,라고 부연했다.) 이 책에도 제법 현실적인 정의가 나온다. “사랑은 청년일 때는 성적 흥분, 중년일 때는 뻔한 익숙함, 노년일 때는 상호의존에 갖다 붙이는 말이다.”(미국 시인 존 시아디.) 저자가 말하는 ‘영웅적 사랑’이 김빠진 콜라처럼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기억나는 것이 사랑에 관한 이런 저런 담론을 기웃거리다 들은 “현대인들은 사랑에 너무 큰 기대를 하는 것 아닌가 ”라는 말이다.어쩌면 저자가 말하는 사랑은 맛은 좀 떨어지지만 영양은 풍부한 유기농 음식같은 느낌일지도 모르겠다. 융심리학에 동의하지 않더라도 자기 자신을 성찰하는 하나의 툴을 얻게 해 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