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에서 얻은 것 중 하나는 커피 맛을 알았다는 것이다. 그 전까지 나는 정신의 예민함을 위해 될

수 있으면 정신을 자극하는 커피나 담배, 알콜 등은 피하려고 노력했었다. 게다가 그런 것에 중독된다는 것은 이 미로 같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또 하나의 연을 쌓는 것이고, 그것은 내가 지향하는 심플 라이프에 반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나는 될수록 커피를 멀리 했었다. 하지만, 여행 중에는 어쩔 수 없이 커피를 마셔야 했는데 그 곳에서는 커피가 너무 일상적이었기 때문이다. (바에서 물을 달라고 하면 앤 뭐니? 하는 뚱한 시선을 마주쳐야 했다)

결국 귀국 후에는 한동안 보카디요스와 커피콘레체의 조합을 떠올리며 입맛을 다셔야 했다. 하지만, 내 안에서는 여전히 커피는 인간을 미혹시키는 해로운 물질이라는 관념이 있었기에 나는 내 행동을 결정하기 위해 커피에 관한 자료를 접하기로 결정했다.

커피와 연관되는 단어를 쭉 적어보자 각성, 원기회복, 향정신성물질, 강화물질, 수면장애, 경기력 향샹...” 커피의 유해성 논란은 카페인으로 압축된다. 커피의 중추는 카페인이기 때문이다. “ 카페인 권하는 사회”(머리 카펜터,중앙북스)는 우리 주변 카페인의 여러 모습을 추적한 책이다. 저자가 포커스하는 카테고리는 커피보다 에너지음료, 탄산음료, 카페인제제,껌 등인데 커피는 카페인 섭취의 첨병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양반처럼 그려진다. 우리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섭취하는 카페인 음료가 훨씬 많은 것이다. (콜라에 카페인이 들어있는지는 알고 있었는데 선키스트에도 카페인이 들어가는지는 처음 알았다.) 그럼 커피는 과연 유해한 것인가? 이 책에서 어떤 과학적 사실을 확정적으로 주장하지는 않는다. 아마 “10년 전에 암을 유발하는 것이 지금은 암을 치료하는 것으로 바뀐다든가 그 반대의 결과가 나오는 경우를 우리는 너무 자주 듣기 때문”(“커피, 만인을 위한 철학”(스콧.F파커,따비) 일 것이다. 하지만, 두 책에서 은근히 확신하는 과학적 팩트는 커피음용이 안정적이고 규칙적인 형태의 약물 자가 투여 행동”(카페 인권하는 사회)이라는 것이다. “커피는 약물인가? 그렇다.”(커피,만인을 위한 철학)

동시에 두 책 다 모든 문화권에서 고유의 카페인 음용이 있었으며 어떤 문화권에서도 이를 약물남용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마약과 카페인의 차이점은 뭘까? 카페인은 4~5시간 후에 분해되며 체내에서 배출되고, 마약 같은 반사회적 행동을 일으키지 않는 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경기력향상을 위해 선수들은 카페인을 복용한다. 그럼 경기 전의 커피한잔은 도핑인가? “커피, 만인을 위한 철학에 따르면 답은 그렇다이다. 그럼 이 두 책의 저자들은 커피를 마실까? 아주 행복하게 마신다고 한다. 커피가 진한, 지독하게 쓴 흙탕물인지 신을 믿는 사람들의 음료인지의 논쟁은 영원히 계속될 것이라고 약을 올리면서 말이다.

커피옹호론을 노골적으로 펼치는 책에는 커피가 죄가 되지 않는 101가지 이유”( 로잔느 산토스, 다르시 리마, 가갸날) 가 있다. 어디어디 박사라는 두 분이 쓴 책인데 일단 이런 책은 업계의 사주가 없는지부터 봐야한다. 색안경은 쓰지 않고 이 책을 읽을 때 드는 생각. 커피의 어느 성분이 그렇게 좋다면 왜 그걸 꼭 커피를 통해서 얻어야 할까?. 왜 에너지음료와 커피를 비교해서 커피옹호론을 펼칠까? (당연히 합성 카페인이 들어간 에너지음료보다 커피가 더 좋겠지) 어느부분에서는 에너지 음료보다 카페인이 적다고(카페인이 나쁘다는 소리다) 하면서도 어느 부분에서는 카페인의 어디가 좋다고 설명한다. (그럼 카페인 많은 에너지음료를 마시지) 옹호론을 펼칠 거면 두려움이나 죄책감은 확 날려버리도록 제대로 펼칠 것이지 이래저래 실망이다.

 

그럼 난 커피를 마셔도 되는 걸까? 의외로 나는 그 대답 비슷한 것을 커피와 담배”(짐 자무시) 라는 영화에서 찾았다. 흑백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배우들의 디테일한 연기 때문인지 지루하다는 느낌이 전혀 들지 않는다. 11개의 단편으로 이루어진 영화인데 어찌 보면 허무개그 같고 어찌 보면 넌센스 같은 상황이 펼쳐진다. 물론 커피와 담배가 놓인 식탁 앞에서다. 사람들은 커피와 담배를 나누면서 진료를 두려워하는 상대방 대신 치과에 가기도 하고 만담 같은 대화를 주고받기도 한다. 재미있는 것은 사람들이 그 와중에 상대방에게 형식적으로라도 악의를 감추고 예의를 지키려고 노력한다는 것이다. 애기를 나누면서 서로 움찔, 짜증을 주고 받으면서도 끝까지 악수를 나누고 포옹을 한다. 딱 한번 홍차가 등장하는데 그 때는 서로 얄짤없다. (“제가 너무 속보였나요?”,“” ) 솔직하다면 솔직하지만 어째 좀 야박하다는 느낌도 든다. 영화에서 커피와 담배는 그렇게 이미 삶의 일부처럼 느껴진다. 성질 나쁜 오래된 친구처럼 나쁜 걸 알지만 내치기에는 너무 익숙해져 버린 것이다. 끊을 수는 없지만 모르는데 굳이 알 필요 까지는 없는 친구. 영화에는 로베르토 베니니부터 빌 머레이,케이트 블란쳇 등등, 팔색조의 배우들을 보는 재미도 쏠쏠하다.(이기라고 하는데 알고 보니 이기 팝이었다!) 영화에서처럼

커피와 담배는 소품처럼 내 인생 주변에 존재하지 않을까. 난 거기에 관심을 주기도 하고 무시하기도 할 것이다. 다만 그걸 접할 때는 신을 믿는 사람들이 되기를 원할 뿐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Forgettable. 2017-12-27 21: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오 스페인에 오셨었나보군요! ㅎㅎ 커피는 향이 더 좋죠. 전 심장이 두근거려서 자주는 못마시지만 스페인 커피 맛있습니다. 하지만 이탈리아 커피 맛보시면 그 때부턴 스페인 커피 눈에도 안차실듯.. 암튼 언급하신 영화에서처럼 이 사람들에게는 커피나 담배가 ‘필요’에 의한거라기 보단 그냥 일상, 기호, 소품에 더 가까운 것 같아요. ㅎㅎ
한국에서 그란데 혹은 밴티 사이즈로 커피 들이붓는 건 거의 약에 가까운 것 같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