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상황일 때 사랑에 빠진다. 그래서, ‘빠진다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사랑은 계획적으로 할 수 없다. ‘사랑하고 싶다라는 의지를 품을 수는 있지만, 의지가 강할수록 오히려 사랑을 시작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사랑의 의지가 강한 두 사람이 만남의 기회를 만들어 데이트를 시작한다고 해도 그 관계는 오래가지 않는다”-<Markus Gabriel VS>(마르쿠스 가브리엘,사유와공감)

 

살아 있으면서 죽은 척하는 것이 어떻게 행복이겠는가. 그러니 다시 감정을 살려내야 한다. 이것은 삶의 본능이자 삶의 의무이기 때문이다...감정은 그것이 어떤 것이든지 신적이다,, 한 개인이 의식적으로 선택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감정수업>(강신주,민음사)

 

사랑은 하는 것인가? 빠지는 것인가? 강신주는 변덕스럽다는 이미지와 달리 감정이 오히려 일관적이라고 한다. 바흐를 한번 좋아하기 시작하면 대체로 끝까지 좋아하게 된다는 거다. 이 때 감정은 고유한 자신같은 의미를 띈다. 이런 가정하에서 중요한 것은 자신의 고유한 감정을 직시하고, 외부의 압력에 굴하지 않고 지키는 것이 된다. 하지만, 반대의 입장도 있다.

 

“..감정을 형성하는 것은 행동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랑의 감정은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사랑의 행위를 하는데 따르는 결과인 것이다. 이런 개념을 받아들이면 사랑에 대한 진부한 관념들-즉 부모는 자기 자식을 무조건 사랑한다 든가, 남자와 여자는 자신의 의지나 선택과 상관없이 저절로 사랑에 빠진다든가, 이성을 너무 사랑하게 되면 열정의 포로가 된 나머지 상대를 죽일 수도 있다든가 하는 것들-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 깨닫게 된다. 사랑은 실제로 행할 때 존재한다는 사실을...”-<올 어바웃 러브>(벨훅스, 책읽는수요일)

 

여기서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하나의 태도나 결단이다. 이런 태도는-비약하면- 니체의 아모르 파티를 떠올리게도 한다. 마치 학교에서 전공선택할 때 적성이냐 장래가능성이냐 따지는 것 같기도 하다. 감정은 여기서 필요조건이 아니다. 재밌게도 커리어 개발관련 서적에도 비슷한 관점이 있다. 예를 들어 칼 뉴포트의 <열정의 배신>에서 저자는 중요한 것은 열정(감정)이 아니라 일을 대하는 장인마인드셋’(태도)이라고 말한다. 일에서 자유를 얻는 방법은 변덕스런 열정을 좇아가는 것이 아니라 지금 서 있는 자리에서 장인이 돼서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이라는 논지다.

둘 중의 어떤 것이 진실일까? 감정의 위치가 인간 안에서 어디인가를 정확히 하는 것이 답을 줄 것 같다. 감정은 하늘의 구름처럼 실체가 없고 일시적인 것인가? 아니면 자신만의 고유한 삶을 가능케 하는 방향타인가? 흔히 말하는 로맨스와 인류애 같은 다른 사랑을 구분하는 것이 두 입장을 중재하는 타협점이 될까? 사랑은 투명한 빈 용기 같다. 무엇을 담느냐에 따라 빛깔은 계속 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