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박사하기 - 젊은 연구자 8인이 말하는 대학원의 현실 북저널리즘 (Book Journalism) 84
강수영 외 지음 / 스리체어스 / 2022년 12월
평점 :
품절


일단 이제 대학원생이라고 하면 '미생' 이미지에 교수의 전횡에 휘둘리는 불쌍한 이미지쪽으로 기울어지는 것 같다.  저자들이 묘사하는 대학원생은 그림자노동에 시달리는 노동자이면서, 공부의 방향성과 효율적인 연구에 대해 고민하는 연구자이다. 현재 전체 대학원생이 30만정도 된다고 하는데, 이들이 고민하는 것은 어떻게 하면 학내와 학계의 주체적인 구성원이 될 것인가? 혹은 특히 인문계의 경우는, 대학원 졸업 후의  진로 문제로 압축될 것 같다. 재밌는 것은 이제 신진 연구자들은 이제 본인이 교수가 될 것이라는 기대 자체가 별로 없다고 한다. 하지만, 여전히 대학원은 시스템이라기보다 교수 중심의 도제식으로 운영되고 있고, 자원과 권력이 사기업 못지 않게 경쟁과 위계로 배분되고 있다. 이들이 생각하는 것은 구성원들 간의 연대와 소통, 학계 밖으로의 외연 확대 등이다.  대학원 교육도 이제는 대중화되었다고 한다.  읽다보면 인문학 지원자들은 한숨이 나올 수도 있겠다. 불안정한 미래와 감이 잡히지 않은 공부 등을 감수하면서도 인문학을 택하는 이들, 마치 스스로 자신의 머리에 총구를 겨누는 셈 아닌가. 정말, 요즘은 공부를 하려면 거의 수도승의 마음가짐이 필요한 것 같다. 거의 반쯤 미친 상태로 자폭하는 기분으로 말이다.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지 않는 이들은 자신의 존재이유를 시민사회에 설명해야 하는 부담을 진다. bts니 케이팝이니 하는데 돈이 안된다는 이유로 이들은 홀대받는다. 7,80년대의 존경받던 지식인의 아우라는 사라졌다. 먹고살기 좋아졌다는 말이 이런 거 보면 허구 아닐까.  <일하지 않고 배불리 먹고 싶다>(구리하라 야스시, 서유재)...  추상적인 단어가 많아 가독성은 약간 떨어지는 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