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위의 작업실>을 리뷰해주세요
지구 위의 작업실
김갑수 지음, 김상민 그림, 김선규 사진 / 푸른숲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실 이 책에 대한 아무런 정보도 없이 책을 읽게 됐다. 물론 저자인 김갑수 씨에 대해서도 전혀 아는 바가 없었다. 책을 읽으면서 저자가 무슨 일을 하는 사람인지, 그리고 이 책이 김갑수 작가의 작업실인 “줄라이홀”에 관계된 에세이라는 걸 알게 됐다.

마포의 모처 지하에 자신만의 아지트를 꾸몄다는 작가의 말에 선뜻 부러움이 피어올랐다. 자신의 서식지보다 두 번째 거처라고 할 수 있는 아지트가 작가의 주요 활동무대가 된 본말전도의 상황. 게다가 작업실에서 무슨 작업을 하느냐고 묻지 말란다. 그 내용은 책을 읽으면 낱낱이 밝혀질 테니까 말이다.

일단 그는 방송 진행, 강의 그리고 원고 집필로 밥벌이를 한다고 한다. 대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해서 성공적이면서도 충분한 밥벌이를 하기가 어려워지는 세태에 자신이 좋아하는 커피를 마음껏 사발째 들이키고, 3만 장이나 되는 레코드들을 원 없이 들으면서 자신만의 아지트에 틀어 박혀 자신이 자처한 고독을 즐기기도 하고, 또 때로는 지기들과의 떠들썩한 파티 타임을 오가는 그의 삶에 어찌 부럽다는 말을 하지 않을 수 있으리오.

어려서 LP를 모으던 시절이 있었다. 작가는 돈이 생기는 대로 자신이 좋아하는 커피 생두와 LP를 모은다고 하는데, 나에게도 어린 시절에 라이선스도 아닌 빽판을 죽어라 모았다. 정말 나중에 가치도 없는 그런 빽판을 말이다. 그러다가 언젠가 CD가 LP를 대신하기 시작했고, 나중에 그 CD마저 지구상에서 자취를 감춰 가고 있는 중이다. 이런 와중에, LP만세를 외치면서 이제는 이름마저도 생소한 턴테이블에, 상당한 가격임에 틀림없을 스피커 유닛과 앰프 타령을 해대는 지은이의 글은 독자를 소외시키는 느낌마저 들었다.

솔직하게 고백하건대, 음반-커피 그리고 오디오파일 이야기 중에서 맨 끝의 오디오파일 부분이 가장 지루했다. 왜냐구? 개인적으로 이제는 더 이상 관심도 없고, 앞으로도 플라스틱 음반을 들을 기회가 손으로 꼽을 정도기 때문이다. 좀 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작가가 말하는 그런 장비들을 갖출 경제력이 없으니깐. 이건 그냥 돈 몇 푼 더 주고 커피 필터 사는 차원의 문제가 아니지 않은가 말이다.

뭐 그래도 커피 이야기와 음반 이야기는 읽는데 쏠쏠한 재미가 있었다. 아쉽게도 개인적으로 커피를 즐기지 않기 때문에 커피 생두를 가는 그라인더와 일본 모회사에서 만들어내는 커피 용품 일체에 대한 이야기가 참으로 생소하기만 했다. 그래도 상대적으로 오디오파일의 삶보다는 비용이 좀 적게 들지 않을까?

역시 가장 공감이 가는 이야기는 바로 음반 이야기다. 물론 작가처럼 그런 어마어마한 컬렉션을 꿈꿀 수는 없지만, 그래도 군대 시절에 처음으로 클라우디오 아라우가 연주한 리스트의 <사랑의 꿈 3번>을 듣고 나서 클래식의 세계에 입문하게 됐다. 물론 그전에는 팝송, 그 중에서도 헤비메틀을 즐겨 들었었다. 이제 나이가 드니, 스트레스해소용으로 듣던 헤비메틀이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곤 한다. <디아파송>이니 <부루의 뜨락> 같은 클래식 전문점들을 찾던 시절이 생각난다.

물론 문명의 이기에 완전하게 투항해 버린 나는 LP 대신 CD를 대체 미디엄으로 잡았고, 한동안 지난 세기의 명연주자들과 명지휘자들이 직접 연주하고 지휘한 복각CD들을 한참 찾아 듣곤 했다. 물론 지글거리는 잡음은 기본이었지만, 사라사테가 직접 연주한 <찌고이네르바이젠>이나 베를린 필의 초대 상임지휘자 한스 폰 뷜로우의 베토벤 교향곡 연주 그리고 마지막 카스트라토의 소름끼치는 육성들은 아직도 잊을 수가 없다.

오늘 서점에 갔다가 내가 클래식 음악의 세계에서 허우적거리던 시절에 책으로 지표가 되어 주었던 안동림 씨가 새로 펴낸 <안동림의 불멸의 지휘자>란 책을 슬쩍 펴보았다. 즐겨 듣던 세르지우 첼리비다케,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그리고 카를로스 클라이버 같은 이름이 아주 반가웠다. 아, 작가가 말한 스비야토슬라브 리히터의 <리흐테르>를 찾아 보았는데 그 책이 국내에 출간돼 있었다! 카라얀과 리히터가 협연한 차이코프스키 피아노협주곡 1번의 웅대하면서도 장엄한 오프니은 정말 감동 그 자체였다.

김갑수 작가의 아날로그 음반과 커피 그리고 오디오 예찬에 태클을 걸 눈곱만큼도 없다. 하지만 그 취미생활들이 누구나 다 손쉽게 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작가에게는 줄라이홀이 자신이 꿈꾸는 도피안의 세계로의 초대장일지 모르겠지만, 보통 사람들에게는 어쩌면 도저히 닿을 수 없는 차안의 세계처럼 그렇게 멀게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말이 필요없다, 어쨌든 부럽다는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