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불신지옥 아줌마랑 종종 벌어지는 대화.
하나님이 있긴 있어요?
성경에 다 나와 있어요.
성경을 어떻게 믿어요?
성경은 하나님 말씀을 써 놓은거라 다 맞아요.

업체 미팅서도 종종 벌어지는 대화.
원칙대로 하겠습니다.
원칙은 어디에 있나요?
우리 사규에 다 나와 있어요.

소원바위가 있다.
원칙은 간단하다.
소원을 빌고 바위를(? 돌?) 들어 올린다.
소원이 채택되면 바위를 들어 올릴 수 있고 아니면  들어 올릴 수 없다.
이 순박한 소원 바위 신령님을 간단히 혼란에 밀어 넣을 수 있으니...
바위를 들어 올릴 수 없게 해달라고 빌면 된다.
(소원이 채택되면 바위를 들어 올릴 수 없고 아니면  들어 올릴 수 있다.)

먼가 나타나서 소원 한가지를 들어 주겠다고 한다.
들어 준 소원보다  하나 더  소원을 들어 달라고 소원 해 보자.
 이쪽 업자 용어로는 이런 걸 소위 '메타'소원이라고 한다.
소원을 정의하는 소원,,,어렵다. 그냥 '구타를 유발하는' 쯤으로 이해 하면 되겠다. 

"수학적으로 증명되었다" 라고 그러면 왠지 절대 불변으로 들리지만...
수학적으로 증명한다는 것은 이미 증명된 것들을 꿰 맞추어 또 다른 것들을 증명한다는 말이고 
증명 밑에 증명 밑에 증명,,,,하다 보면 바닥에 무엇이 있을까?
오늘날의 수학 그 자체인 유클리드 기하학은 맨 밑바닥에 10개의 가정을 깔고 시작한다. 
(5개의 공준  5개의 공리. 
 공준은 머고 공리는 머냐?  둘 다 너무나 명확해서 증명 할 필요 없는, 정확히는 증명이 불가능한, 것 들인데 그 중에서 좀 불안하고 깨질것 같은 건 공준, 또는 요청이라고 해서 꼬리를 내린것이다.
처음부터 불안불안 했던 평행선 공준은 이미 깨져 버렸고 거기서 가지 쳐 나온 것이 비유클리드 기하학.)
그래서 수학하는 사람은 저 가정을 무조건 믿고 들어가야 된다. (불신자는 수학 못한다.)

나 보기에는 너무나도 분명한 원칙이란게     
그 원칙 관계자 제위분들의 확실한 합의에서 부터 시작된다는 점에서 
불신지옥 아줌마 부터  수학적 증명 까지 모두 동일한 케이스로 보인다.

합의가 안되어 있다면 (즉 불신자에게는) 불신지옥 아줌마가 지옥으로 가는게 당연한지도.

더 나쁜 케이스는, 미신이 과학의 탈을 쓰고 여전히 횡횡대는, 중세와 달라진게 아무것도 없다는 칼 세이건의 주장처럼
원칙이나 법칙이나 증명이나 등등 머 그럴싸한 포장을 씌운 자기 도취적 고집이 아니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호킹의 새 영화가 20일 영국에서 개봉하였다.

http://www.hawkingfilm.com/


이 영화 프리미어에서 한 호킹 이야기다. 

가디언에 어저께 실렸다. 


I think the brain is like a program in the mind, which is like a computer,
 so it's theoretically possible to copy the brain on to a computer and so provide a form of life after death.

뇌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같은 마음의 프로그램이다.

뇌를 컴퓨터에 카피해 넣어 죽은 뒤에 삶을 주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뼛속까지 유물론적 입장에서 본다면 (난 모태 유물론자)

영혼,정신,마음,지성,지능,이성,,,,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그 무엇, 그게 무엇인지는 모르지만, 역시 DNA 어딘가에 들어 있고   

전달될 것이기 때문에 찾아 내는 것은 방법론적 문제일 뿐이다. 시간문제란 말이다.


그런데 그 무엇, 공각기동대 식으로 고스트라고 해 보자.

고스트를 찾아 낸다는 일은 이제 절망적인가 보다.

고스트가 무엇인지도 모르니 당연한 결말.

그래서 고스트가 들어 있는 것으로 확실시 되는 뇌.

그 뇌와 똑 같은 기계를 만들어 놓으면 어떻게 되나 한번 보자 는 식으로 전환되어 버렸다. 

내가 보기엔 자포자기로 밖에 안보이지만.


10년동안 1조 5천억을 써서 만들어 본단다. 머 잘만 된다면 돈도 아니지만.

 ===> http://www.humanbrainproject.eu


최근 근황이다

 ===> http://techneedle.com/archives/11890


이게 제대로 작동한다면, 고스트가 짠 나타난다면, 고스트는 뇌와 같이 좀 복잡한 구조물의 필연적 부산물 이라는 결론이 된다.

아,, 그러나 심정적으로는 왠지 병에 썩은 고기를 넣어 놓고 구데기가 생기나 기다리는 것과 같아 보인다.

 


좋다. 잘 되어서 고스트를 만들었다고 치자.

그러나 새로운 고스트를 만드는 건 불멸과는 아무 상관도 없다.

이미 70억개의 고스트가 있는데 말이다.


요는 내 고스트를 죽지 않게 만들어야 한다.

고스트는 뇌 구조체에서만 존재 하기 때문에 뇌가 망가지면 사라진다.

다른 뇌에다 이 고스트를 옮겨야 한다. 카피해야 한다는 말이다.

뇌는 굳이 탄소화합물일 필요는 없다. 뇌와 똑 같은 기계면 더 좋다.

이제 불멸인가?


나를 나이게 하는 그 무엇, 정체성이라고 부른다. 

정체성의 정체는 '연속된 기억' 이라고 한다.

단기 기억은 뇌속의 전기적 신호, 장기 기억은 단백질 구조라고 알려져 있다.

OK. 이 정도 스캔해서 카피 하는데에는 아무  문제 없다. 이미 고스트를 만드는 기술 수준인데 머.

이제 불멸인가?


정체성을 복제하는 데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The 6th Day' 에서 스왈츠제네거가 온몸으로, 아주 이해하기 쉽게 보여 준다.

http://www.imdb.com/title/tt0216216/?ref_=sr_1


복제를 했다. 

원본도 남아 있다.

나의 정체성은 원본에 그대로 있는가? 아니면 복제본으로 넘어 갔는가?

누가 나인가?

'The 6th Day' 의 결론은 둘다 나이다.


이와 똑 같은 이야기가 'Oblivion' 에서 반복된다.

Tom Cruise는 죽었는데 그 와이프는 누구랑 살게 되는가?

탐 크루저 다.


자 여기서 정체성의 정체를 눈치 챌 수가 있다.

여기의 정체성은 타인의 시각이다.


진짜 나는 어디로 갔는가.

'The 6th Day' 에서 이 해답도 나와 있다.

복제된 쌩쌩한 인간을 쳐다 보면서 죽어 가는게 바로 나다.


호킹이 평생을 휠체어에서 보낸데에 원한을 품고 컴퓨터에 자신의 고스트를 복제하고 로봇을 수족으로 삼아 세계정복에 

나섰고 성공했다 치자. (이건 론머맨 이야기네)

세계를 정복한자가 호킹인가?

호킹이다.

복제해 주고 죽은자는?

호킹이다.


그럼 고스트를 복제하지 말고 이동하자고 주장 할 것인가?

이동 = 복제 + 삭제

삭제를 아주 빨리 하자고?

나를 아주 빨리 죽이자는 말이잖아.


아쉽게도 호킹의 염원대로 컴퓨터에 고스트를 복제하는 방식으로는 불멸이 될 수가 없다.

그냥 복제된 자기와 똑 같은 그 누군가를 보는 것 외는.

  

우습게도 자기를 복제해서 불멸이 되는 방법은 이미 아주 아주 오래전부터 행해져 오고 있었는데 

지금 70억이 그 결과물이다.




댓글(5)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ephistopheles 2013-09-23 08: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이 페이퍼의 50%이상 이해가능하다고 생각하는게 메피스토인가?
메피스토이다.
그렇다면 나머지 50%정도를 몰라도 퉁치고 이해했다고 우겨보는 것도 메피스토인가?
메피스토이다.

우와 2013-09-23 13: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혼자만 여전히 똑똑하다니. 흥.

paviana 2013-09-23 21: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뭔말인지 모르겠지만 레이님 격하게 반가와욧!!!

조선인 2013-09-24 10: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기본적으로 왜 내가 그토록 오래 살아야 하는지 그 지독한 자만이 혐오스러워요.

무해한모리군 2013-09-26 1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런 걸 볼때면 한 백년후를 타임캡슐을 타고 가보고 싶어요...
(미래에 대해 딱히 낙관은 없습니다만)
미래 사람들이 우리의 이런 고민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궁금해요...
흑인도 사람이냐? 같은 명제처럼 우스워질지..
 

오십을 훨 넘겨서도 

머리나 수염이나 저 모양을 하고서도  

(줌 땡기는데 솜털까지 보이는 저 맨 얼굴에 노뽀샵이라니)

남자가 저렇게나 멋 있을 수 있다는 건

나날이 늙어만 가는 남자에게도 

턱 없지만 가슴 뛰게하는 희망 이구나.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13-06-24 1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앞 가르마 단발 머리, 게다가 나이 쉰을 넘겼는데 여전히 섹시해요. 아휴, 꿈에도 나왔다니까요. 어찌나 마음이 왈랑거리던지...ㅎㅎㅎ

Mephistopheles 2013-06-24 14: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턱이 없다는 건 희망적인 겁니다. (이중)턱으로선 희망도 가질 수 없죠.

LAYLA 2013-06-24 18: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살고 있는 산골마을에 영화관이 없어요. 10시간 버스 타고 나가야 영화관이 있다는데...

라일라님 2013-06-25 09:22   좋아요 0 | 수정 | 삭제 | URL
그 "산골마을"의 이름을 알려 주세요. 그래야 8월 여정에 끼워 넣을 수 있습니다 :)

조선인 2013-06-25 0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메피스토님의 댓글에 절망합니다. 흑.
 

아마 10년은 더 쓴 것 같은데,

오늘 의사가 드디어 그 약 처방을 하지 않겠다고 하였다.

부작용이 많아서 이미 공단에서는 주의가 내려 와 있고 특별한 이유 없이 계속 처방하면 공단 심사에서 문제가 된다고 한다.

그 특별한 처방 사유난에 '환자가 요구해서' 라고 쓸 수는 없지 않느냐 라는게 그의 10분간이나 계속된 발언의 요지다.


부작용이란 말이 'side effect' 이고 '副作用' 인데 왜 '부정적인' 작용으로만 해석되는지가 약간의 의문이지만

이 약의 잘 알려진 대표적인(한둘이 아니라는 뜻이다. 최소 매뉴얼 두 페이지가 이 주제로 촘촘히 들어 차 있다.) 부작용 중 나쁜 쪽은

당뇨 유발, 콜레스테롤 상승 그리고 발기부전이다. (거의 화학적 거세 수준으로 알려져있다. 성분도 아마 같을 걸?)

그런데,,,

알만한 사람은 다 아는 이 약의 또 다른 부작용은, 좋은 쪽,나쁜쪽이 아니라서 그런지 매뉴얼의 부작용 항에는 나와 있지도 않은, 항스트레스 효과다.

그 효능이란....

이런걸 어떻게 이렇게 쉽게 구할 수 있는지, 어떻게 이렇게 다른 용도의 치료제로 판매되는지, 발기부전치료제를 심장약으로 팔고 있는 꼴이다.

(그렇지만 성기능 장애보다 심장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아니라고?

 심장을 지칭하여 '신체 주요부' 라고 하지는 않는 걸 보면 아닌가 보다.)


공단의 전문가분들이 이런 저런 부작용을 모를리 없건만 그래도 나쁜쪽이 더 크다라고 판단해서 처방을 제한한다고 이해하는 것이 객관적일 것이다.

알려지기에는 스트레스만땅인 내 직업군에서 해피하거나, 최소한 무감각하게 잘 지내온 것을 보면 항스트레스 효과는 분명하다고 보아야 하는데

그게 아니라면 난 스트레스프리한 특성을 가진 신인류 출현의 서막인가? 물론 그럴리는 없지.

그러면 당뇨,콜레스테롤,발기부전은 다 어디로 간것인가?

닥터도 이에 대해서는 버벅거리기만.

그래서 간결하고 친절하고 쉽게 설명을 해 주었다.

당뇨,콜레스테롤,발기부전은 스트레스가 원인입니다. 이 약은 항스트레스 약입니다. 그래서 그런 부작용이 없는 것입니다.

의사가 정신 못차리는 틈에 처방전은 받아 냈지만 다음에는 안 통할 것 같다.

내가 돌연변이인지도 모르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3-04-03 00:58   URL
비밀 댓글입니다.
 

내가 전전한 직업 콜랙션 중에는 반도체 설계도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반도체 설계 공포증에 걸린 업체를 위해 FPGA 시뮬레이션을 해 주는 것.

ASIC 샘플 하나 뽑아내는데에만  몇달의 시간에다 수십억을 잡아 먹는데,  그게 제대로 돌아가면 참 다행이지만 아니면 조그만 회사 하나 정도는 가볍게 넘아간다.

그래서 불안한 맘을 누르기 위해 별별 시뮬레이션을 다 해보는 데,  FPGA 는 거의 실증 수준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반드시 포함되는 단계이다.


FPGA 설계에서 종종 벌어지는 난해한 현상중에 하나가 인과 순서가 뒤바뀌는 경우이다.

설계치와 일치된 결과가 나오기는 하는데  데이타는 들어가지도 않았다는 것.

결과가 먼저 나오고 다음에 원인이 발생한다.

그러나 그 결과가 설계치와 같다는, 즉  예정된 것이라는 것은 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정확한 정보에 따른 입력이 있었다는 것이므로 우연이 될 수 없다.

미래의 일을 알 수 있다는 것은 그 미래의 일이 이미 벌어졌었으며 따라서 그 미래는 이미 과거이다.

 

이런 현상은 설계 복잡도가 매우 높고 또 매우 고속으로 동작시킬때 발생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는 설계자들은 설계 부하를 적절히 배분하여 이 문제를 깔끔히 해결해 버린다.

해결법을 알고 있다면 문제거리가 될 수 없으므로 이 이야기는 개발자들간의 잡담 정도로 끝나고 아무도 더 이상 심각하게 생각하지는 않는다.


어떤 친구는 이런 해석을 내 놓았다.


컴퓨터 CPU 와 같은 디지틀 시퀀스 설계에서는 클럭에 의해 시퀀스가 변경된다.

클럭이 바뀌기 전이 과거 즉 원인이고 클럭이 바뀐 다음이 현재 즉 결과가 된다. 현재의 결과는 당연히 미래의 원인이 된다.

그래서 클럭을 일반적으로 처리속도의 기준으로 보는 것이다.

클럭속도는 초당  바뀐 횟수로 나타나면 1GHz 이면 1,000,000,000 번 바뀐 것이다.


시간은 빛의 속도라는 한계를 갖고 있다.  

빛의 속도에서는 시간은 정지한다.

전자파는 파장의 길이 차이만 있는 빛이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기의 속도를 광속과 같다고 한다.


빛의 속도는 29만9792.458km/초 = 299,792,458 m/초


XILIX 제품중에 집적도가 가장 높고 가장 빠른 버텍스-7 의 경우 최대 데이타 레이트 클럭은 무려 28GHz


299,792,458m / 28,000,000,000 Hz = 0.0107068735 m /Hz


클럭이 한번 바뀔 동안 빛은 1.07 센티미터를 전진한다. 이렇게 보면 빛의 속도도 별 것 아닌것 같다.


버텍스-7 의 회로선폭은 28nm 이고

프로그래밍 가능한 게이트 수는 2,000,000 개. 모든 게이트를 직렬로 바이패스 되도록 프로그래밍한다면

모든 게이트의 최소 연결 거리는 28nm * 2,000,000 = 0.056 m (물론 실제 이렇게 짧을 수는 없다)


이제 빛의 속도를 전체 게이트 연결거리로 나누면 


 0.0107068735 m / 0.056 m = 0.19 


즉 클럭당 빛은 반도체 다이 전체면적의 19% 만 이동 할 수 있다.


이제 입력과 출력을 각기 첫번째 게이트와 마지막 게이트에 고정시켜 보자.

전기에 실린 정보가 19% 거리를 통과하면?  이 지점이 광속이다,  정보 전달의 관점에서 시간은 정지한다.

더 지나면? 시간은 역행한다.


인과관계는 정보가 원인발생 시점에서 출발하여 결과 시점으로 이동한 것이고 기준좌표는 시간이다.

첫번째 게이트에서 출발하여 마지막 게이트로 가는 정보는 절대 시간 좌표 상에 있지 않다. (더 이상 시간을 기준으로 할 수 없다)


설계 복잡도가 높을 수록 정보 경로의 길이는 길어지고  고속일수록 빛의 속도는 찌질한 것이 되어 가므로 결과적으로

원인과 결과의 시간상 위치는 뒤틀려 지기 시작하여 박봉에 주7일 근무하는 불쌍한 설계자들만 괴롭히고 있는 것이라는.


난 이 친구 생각이 맞지 않을까 한다.


종종 그런 생각이 드는데

우리가 절대시하는 인과 라는 것은 아주 특수한 경우이고 전우주적인 일반론으로서는 인과 같은 것 없다고.



댓글(8)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Joule 2012-10-25 02: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멋지네요.

조선인 2012-10-25 08: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헐, 끔찍한 얘기네요.

paviana 2012-10-25 09: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흠 저한텐 너무 어려운 이야기라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만, 어쨌든 반가워요. 이제야 봤어요. ㅎ ㅎ

Mephistopheles 2012-10-25 10: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좋은 얘기군요........

paviana 2012-10-25 11:04   좋아요 0 | URL
ㅋㅋ 정말이요?

Mephistopheles 2012-10-25 11:51   좋아요 0 | URL
네...아마도...

LAYLA 2012-10-25 19: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루퍼 보고 조셉고든레빗이 진짜 성형한줄 알고 충격의 2시간을 보냈어요ㅠㅠ 영화 끝나고 분장인걸 알고서야 안도..

뷰리풀말미잘 2012-11-03 13: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편의 SF소설이네요! 테드 창을 연상하면서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