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이 온다]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소년이 온다 - 2024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한강 지음 / 창비 / 2014년 5월
평점 :
한강의 장편소설을 좋아한다. 한강이란 작가를 모를 때 읽은 <그대의 차가운 손>과 <검은 사슴>을 읽고 반했다. 그 후 단편집을 읽었다. 장편과 다른 호흡과 너무 어둡고 암울해 읽기가 힘들었다. 다시 읽게 된다면 어떤 느낌일지 늘 궁금하지만 왠지 손이 쉽게 나가지 않는다. 반면에 몇 권 읽은 장편은 나를 깊은 곳까지 빨아들인다. 이번 소설도 그렇다. 80년 5월 광주로 나를 데리고 간 후 현실로 다시 돌아와 가슴 한 곳을 뒤흔들고 눈물을 쏟게 만든다. 살아남은 자들의 애절한 외침에 나도 모르게 먹먹해지고 눈물이 흐른다. 아!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이 이제는 한 세대가 지났다. 그 시간이 흐른 후 많은 것들이 희석되었다. 일부 사이트에서는 그날을 폄하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왜곡까지 한다. 언론도 이런 왜곡에 은연중에 동참하고 있다. 그날의 기억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이것보다 더 큰 고통은 없다. 자식을, 부모를, 친구를, 동료를 잃은 사람들에게 그날 이후의 삶은 완전히 다르다. 물론 그들도 평범한 사람처럼 먹고 싸고 울고 웃고 사랑하면서 살고 있다. 하지만 기억의 저편에서 그날은 강한 어둠을 품고 그들의 기억과 추억을 하나씩 갉아먹고 있다. 그것이 가장 잘 나타나는 것이 마지막 장이다. 살아남은 자들의 처절한 외침과 애절한 방황은 문장을 넘어 가슴 속에 와 박히다. 아픔보다 먼저 눈물이 나는 것은 왜일까?
80년 5월 광주 도청에서 한 소년이 친구를 찾는다. 그 소년의 이름은 동호, 친구는 정대다. 정대는 누나와 함께 동호의 집에서 월세로 살고 있다. 이 어린 친구들이 시위대와 함께 걷다가 헤어진다. 아니 정확하게 말하면 정대가 군인의 총에 맞아 죽는다. 자국민을 지켜야 하는 군인이 시민을 향해 총을 쏜 것이다. 쓰러진 사람을 구하러 간 시민도 총에 맞는다. 어린 소년이 할 수 있는 것은 없다. 이후 동호는 병원과 도청으로 그때 헤어진 친구를 찾아다닌다. 도청에서 군대의 총칼에 난도질당한 시체를 수습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 이야기는 바로 이 순간에 시작한다.
군대의 총격에 친구를 두고 달아난 동호는 정대가 죽었다는 것을 안다. 하지만 죄책감과 혹시나 하는 마음에 도청에 머문다. 이때 도청을 지키는 사람들을 만난다. 그들은 은숙 누나, 선주 누나, 진수 형 등이다. 첫 장이 동호를 보여준다면 두 번째 이야기에서는 죽은 정대를, 세 번째는 은숙 누나를, 네 번째는 진수 형을, 다섯 번째는 선주 누나를, 여섯 번째는 동호의 엄마를 보여준다. 이들은 각각 다른 시간과 다른 이야기 방식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풀어내면서 자연스럽게 동호로 이어진다. 각자의 이야기를 읽다 보면 80년 5월 광주와 그 후의 삶들이 하나씩 역사 속으로 스며든다. 나의 가슴 속으로도 스며든다.
그 당시 광주에 살았던 사람들 중에 그날의 아픔과 고통을 모르는 사람도 상당히 많다. 현재를 살아가야만 하기에, 사람들의 강한 생명력 때문에 잊고 살아가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평생 그 기억을 잊지 못하고 살아가는 사람도 많다. 죽은 자보다 오히려 산 사람들이 더 고통을 받는다. 고문과 인격적 모독과 성추행 등으로 평생 어둠 속에서 산 사람도 적지 않다. 이 소설은 그들 중 극히 일부만 다룰 뿐이다. 만약 그들 모두를 다룬다면 소설이 아닌 역사의 증언서가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더 많은 기억과 아픔을 담을 수 있을지 모르지만 가슴 깊은 곳까지 다가가지는 못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은 잔혹한 학살과 참상을 정면에서 바라보게 한다. 특히 어떻게 동호가 죽게 되었는지 설명해줄 때 그 장면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충격을 받았다. 인간의 잔혹함이 어디까지 갈 수 있는지 그 단면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앞의 이야기들이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면서 머릿속으로 이해하게 만들었다면 뒤의 두 장은 가슴으로 바로 들어왔다. 가장 감상적인 이야기지만 그들의 아픔이 그대로 전해져왔다. 갑자기 문장을 읽다가 눈물이 나왔고, 가슴에서 아픔이 치솟았다. 살아남은 엄마의 이야기는 회한과 고통으로 가득하다. 작가의 개인적 경험에서 시작한 이야기는 담담하지만 전두환의 광주 방문과 함께 벌어진 사건들은 다시 눈물을 쏟게 한다. 겨우 그들의 마음 한 자락이 전해져 왔을 뿐인데 말이다. 많지 않은 분량이지만 한 소년에서 시작한 광주 이야기는 그 어떤 이야기보다 강한 울림을 전해준다. 일독을 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