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혀끝의 남자]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혀끝의 남자
백민석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잔혹하게 다가왔던 <목화밭 엽기전> 이후 오랜만에 백민석의 소설을 읽었다. 이번 작품집에 실린 단편은 모두 아홉 편이다. 이 아홉 편 속에서 그의 자전적 모습을 많이 발견했다. 물론 그 지점을 정확하게 비교한다면 많은 부분에서 다른 점이 드러날 것이다. 하지만 이 건조한 문장 속에 담긴 이야기는 회고적이거나 관찰적이다. 날카로운 비판 의식이 드러난 대목도 있지만 이전에 읽은 작품 때문인지 조금은 밋밋하다. 그리고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부분도 상당하다. 단편은 불친절하니까.

 

아홉 편 중 신작은 단 두 편 <혀끝의 남자>와 <사랑과 증오의 이모티콘> 뿐이다. 나머지 일곱 편은 다시 고쳐 쓴 작품이다. 그래서인지 분위기가 다르다. 표제작인 <혀끝의 남자>는 인도 여행을 다루었는데 건조하고 어려웠다. 여행지에서 만난 남녀와 함께 한 순간을 중심으로 풀어내었는데 특별한 이벤트가 없다. 긴 여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그대로 나열한 느낌이다. 그런데 도입부와 마지막에 혀끝의 남자를 말하면서 고민에 빠지게 만든다. 나의 혀끝인지, 아니면 신의 혀끝인지. 그리고 불타는 머리를 가진 존재는 어떤 의미를 가진 것인지?

 

<사랑과 증오의 이모티콘>은 상당히 흥미 있다. 이모티콘을 소설 속에 사용한 것도 그렇지만 자신의 표정을 ∵으로 나타냈다. 이 이모티콘은 무표정이다. 그가 당혹스럽게 생각하는 것은 다양한 표현방식이다. 그것에 어떻게 이모티콘으로 답해야 하는지 어려워한다. 이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작가가 이 단편집을 내게 된 것과 글쓰기에 대한 사랑을 되찾았다고 말하는 부분이다. 이모티콘으로는 결코 표현할 수 없었던 저급한 생각들이 뭔지 궁금하지만 작가들이란 이런 식으로 자신의 감정을 정리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눈길이 간다.

 

사실 다른 일곱 편은 이전에 읽은 적이 없어 어디가 변한 것인지 모른다. 70년대 서울 산동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폭력의 기원>이나 현실에 대한 비판을 다룬 <연옥 일기>나 지금도 수많은 드라마와 영화 등에서 새롭게 써지고 있는 신데렐라 이야기를 다룬 <신데렐라 게임을 아세요?>나 산책길에 갑자기 나타나기 시작한 일천구백팔십 년대식 장치들을 보여주는 <일천구백팔십 년대식 바리케이드>나 채권추심업자인 듯한 남자의 어색한 취미가 재채기와 이어진 <재채기>나 예비군 훈련 장면을 반전으로 바꾼 <항구적이며 정당하고 포괄적인 평화>나 글쓰기 떠나기 직전의 풍경을 보여주는 것 같은 <시속 팔백 킬로미터> 등이 바로 새롭게 고쳐 쓴 단편들이다.

 

이 글을 쓰기 전 긴 해설을 읽고 쓰자는 생각이 있었다. 그러다 먼저 다른 서평을 읽었다. 그들의 글을 읽고 해설을 포기했다. 나의 느낌이 아닌 해설자의 것이 이 글을 대신할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다. 그리고 언제나 문제가 되었던 주례사 비평도 생각이 났다. 한국 소설에 경우 한동안 해설을 읽지 않은 적이 있었다. 이런 저런 생각이 오가면서 지금 이 순간 떠오르는 느낌에 손을 맡긴다. 한 가지 의문이 있다. 그는 왜 일곱 편을 다시 써야했을까? 이 작품들이 선택된 것은 왜일까? 어쨌든 그가 다시 돌아온 것은 반갑다.

 

* 알라딘 공식 신간평가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된 우수 도서를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