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게]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달과 게 - 제144회 나오키상 수상작
미치오 슈스케 지음, 김은모 옮김 / 북폴리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2011년 나오키 상 수상작이다. 이전까지 읽은 미치오 슈스케의 작품들은 모두 미스터리였다. 그래서 당연히 이번 소설도 미스터리로 생각했다. 책 소개를 읽으면서도 그런 선입견을 가지고 접근하다보니 심한 착각을 하게 되었다. 아마도 아버지를 죽음으로 몬 암이라는 병에서 게의 이미지를 떠올리고 집게발로 엄마의 애인을 해치는 상상을 하기도 한다는 문장에서 선입견이 만들어지지 않았나 생각한다. 이 선입견을 빨리 떨어내었어야 하는데 요즘 복잡한 마음과 피곤한 몸 때문에 계속 머릿속에 쥐고 있었다. 덕분에 이 책이 지닌 재미와 가치를 완전히 누리지 못했다. 빠르게 읽기는 했지만.

할아버지 쇼죠와 신이치가 밥상에 앉아 이야기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평범해 보이는 가정의 풍경이다. 그런데 아버지가 없다. 아버지는 일 년 전 암으로 죽었다. 이 풍경 뒤에 있는 엄마의 다른 모습을 신이치는 낮에 봤다. 다른 남자와 함께 차에 앉아 있었고, 키스를 하는 장면을 본 것이다. 겨우 일 년 전 아버지를 잃은 아이에게 이 장면은 너무 가혹하다. 한창 친구들과 어울려 놀아야 하는 아이에게 이런 환경은 적응하기 쉬운 일이 아니다. 거기에 아버지의 실직 때문에 이사를 하면서 제대로 친구도 사귀지 못하고 있다. 그와 비슷한 시기에 전학 온 하루야를 제외하면 말이다.

엄마의 밀애 장면을 보게 된 것도 하루야와 놀 던 중이었다. 둘은 바닷가에 조그마한 수제 통발을 놓아두고 여기에 잡힌 고기들을 가지고 논다. 작은 물고기, 조그만 새우, 게, 멸치 따위가 잡히는 통발이다. 그날 여기 잡힌 소라게를 보고 하루야가 말한다. 불로 지지자고. 그 당시는 단순한 놀이였다. 이 두 소년이 할아버지와 함께 신사를 다녀온 후 장난처럼 소라게를 소라검으로 부르고, 지지는 행위를 통해 소원을 빈다. 이 소원은 처음에는 아주 자그마한 바람이었다. 하지만 소원이 이루어지자 더 큰 바람을 가지게 된다. 이 소원은 아이들에게 가장 절실한 것들이다. 이 변화를 통해 소년들은 성장하고 그들이 가진 가장 큰 고민이 밖으로 드러난다.

신이치의 유일한 친구인 하루야의 가정은 평온하지 않다. 아버지는 폭력을 휘두르고, 엄마는 이것을 전혀 막으려고 하지 않는다. 하루야에게도 신이치는 아주 특별하다. 전학 왔다는 공통점도 있지만 감정적인 유대감으로 이어져 있는 유일한 존재다. 신이치가 첫 번째 소원 성취하고 즐거워할 때 같이 있어주었고, 신이치의 책상 속 이상한 편지에 대한 상담역을 자처하면서 고민들 들어준 것도 그다. 하지만 이 소년의 이런 행위는 불안감에서 비롯했다. 학교에서도 집에서도 그 어떤 평온을 가지지 못한 그였기에 신이치의 존재는 그 무엇보다 큰 것이다. 이 둘 사이에 나루미가 끼어들었을 때 그가 불안과 불편과 질투의 감정을 내비친 것도 바로 그 때문이다.

나루미는 학교에서 엄청 인기 있는 여자 아이다. 왕따 같은 존재인 신이치와 그녀가 우연히 밤에 함께 걷게 된다. 간단한 이야기가 오고 가는데 나루미의 가정사에는 한 가지 숨겨진 비밀이 있다. 그것은 할아버지 쇼조가 다리 하나를 잃은 사건과 관계있다. 그 사건 때 나루미의 엄마가 죽은 것이다. 비록 10년 전 사건이지만 엄마 없이 자라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하지만 밖으로 드러난 그녀의 행동과 태도는 나무랄 데 없이 평화롭고 뛰어나다. 그녀가 신이치 등과 어울리고, 자신의 감정을 조금씩 드러낼 때 아직 소녀임을 보여준다. 

이 세 아이들의 행동과 심리를 신이치 중심으로 풀어낸다. 그들의 현재와 과거가 밝은 미래를 낙관하기에는 너무 어둡다. 신이치와 나루미가 자신의 엄마, 아빠가 누군가를 사귄다는 사실을 알지만 숨기는 행동 속에 그들의 바람이 그대로 묻어난다. 이 바람이 더 과격한 것은 신이치다. 그것은 죽은 아버지와의 기억이 아직 생생하고, 성장기에 엄마가 지닌 무게가 다르기 때문일 것이다. 좀더 무리하게 이 소설 속 인연을 삼각관계로 해석할 수 있다. 신이치와 엄마와 엄마의 밀애 대상이자 나루미의 아버지와의 관계, 나루미와 아빠와 신이치 엄마와의 관계, 신이치와 나루미와 하루야의 관계 등으로 말이다. 이 관계 속에서 감정을 밖으로 드러내고 악의를 품는 존재는 세 아이들이다. 이 세 아이들이 점점 성장하는 과정을 담아낸 부분은 성장소설로 읽을 수 있고, 그들의 감정을 숨기고 비튼 부분은 한 편의 추리소설로도 볼 수 있다. 마지막에 신이치가 우는 장면은 이 모든 감정을 씻어내는 것이자 조금 성장했다는 증거가 아닐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