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 연금술사 - 생각하는 대로 해내는
미야자키 신지 지음, 박수현 옮김 / 밀리언서재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람마다 능력, 외모, 재력 등 모든 것이 다르지만 같은 것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시간'입니다.
누구에게나 하루는 24시간이 주어집니다.
그래서 시간은 공평하다고 합니다.
정말 그럴까요?


이 책은 시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누구는 부족하다고 하고, 누구는 남아돈다고 하는 시간, 그 시간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은 할-혹은 하고 싶은- 일이 많습니다.
일도 해야 하고, 취미생활도 해야 하고, 여가도 누려야 합니다.
시간이 남는다는 사람은 반대로 하고 싶은 일도, 할 일도 없습니다.
어떤 상태가 더 좋아하나요?


저자가 말하는 시간의 개념이 너무 좋습니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지 않습니다.
같은 한 시간일지라도 누군가에게는 너무나 소중하게 느껴질 수 있고, 누군가에게는 낮잠으로 소일하는 시간일 수 있습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시간을 두가지 관점으로 봤습니다.
크로노스와 카이로스입니다.
하루 24시간은 크로노스 관점이고, 바쁘거나 한가로운 것은 카이로스 관점입니다.
‘시간은 존재하지 않는다. 상태의 변화만 존재할 뿐이다.’
이 말에 너무 공감합니다.
내가 어떤 변화를 만들어 내느냐에 따라 시간에 대한 생각이 바뀝니다.
마감을 앞둔 한 시간이 열 시간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보낸 열 시간은 한 시간처럼 느껴집니다.
내가 어떻게 시간을 보내느냐에 따라 느낌이 달라지죠.

“어린아이는 ‘크면'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그 아이는 크면 ‘어른이 되면'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어른이 되면 이번에는 ‘결혼하면'이라고 말한다.
그럼 결혼하면 어떻게 말할까?
‘은퇴하면'으로 바뀐다.”
캐나다 경제학자인 스티븐 리콕의 말이다.
혹시 위 글에 공감이 되나요?
지금이 제일 안 좋은 시기이고, 이 시가만 지나가면 모두 이룰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 안 좋은 시기는 시간이 지나면서 계속 최고가 경신되죠.
어쩌면 지금이 제일 좋은 시기일 수 있습니다.
‘지금 학생이라면, 사회 초년생이라면, 결혼 전이였다면’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다면 더더욱 그럴 것입니다.

‘지적 엥겔지수'란 ‘하기 싫지만 생계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해야 하는 일'을 하는 데 필요한 시간이 ‘하루 24시간에서 수면 시간을 뺀 시간'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득대비 식비 비율을 엥겔지수라고 하죠.
엥겔지수가 낮으면 경제적으로 풍족한 삶을 사는 것이고, 높으면 반대라고 합니다.
저자는 ‘지적 엥겔지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지적인 엥겔지수로 생계를 위해 일하는 시간의 비율을 말합니다.
낮으면 원하는 인생을 살고 있는 것이고, 높으면 그렇지 않은 것입니다.
나의 지적 엥겔지수를 계산해보니...이전보다 낮아졌다는 것에 만족해야 겠네요.

‘상태의 변화'라는 문구가 머리속에서 지워지지 않네요.
시간을 잘 쓴다는 것이 많은 일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나에게 유익한 시간을 많이 갖는 것이 잘 쓰는 것입니다.
오늘 하루는 어떤 시간이였나요?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이아몬드의 비밀, 부와 성공을 여는 열쇠
러셀 H. 콘웰 지음, 이주만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와 성공을 여는 열쇠는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보지 못한 것일 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이아몬드의 비밀, 부와 성공을 여는 열쇠
러셀 H. 콘웰 지음, 이주만 옮김 / 레인보우퍼블릭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와 성공을 여는 열쇠가 있다면 누구나 가지고 싶을 것이다.
그런데 그 열쇠는 누구나 가지고 있다.
다만 본인이 제대로 사용하고 있지 못할 뿐이다.



자극적인 제목과 달리 이 책의 저자는 목사이다.
‘부자가 천국에 들어가는 것은 낙타가 바늘 귀를 통과하는 것보다 어렵다’는 성경의 말씀을 기억한다면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다.
하지만 목사인 저자의 말은 인정할 수 밖에 없다.
교회를 운영하려고 하면 돈이 필요하고, 그래서 헌금을 많이 내는 것을 좋아한다.
그러면서 부자가 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왠지 앞뒤가 맞지 않는 것이 아닌가.

돈을 사람하는 것.
그것을 무엇을 일컫는가?
돈을 우상으로 섬기는 것이다.
돈을 숭배하는 행위는 성경에서도 우리 상식으로도 죄악시하는 일이다.
돈을 사람하는 것은 우상을 섬기는 것이으로 죄악이다.
돈을 사랑하지 말고 돈을 버는 행위를 사랑하라는 것이다.
그것도 적극적으로.

나는 여러분에게 부자가 되어야 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정직한 방법으로 부를 얻을 수 있다면, 그렇게 하는 것이 신성한 의무다.
정직한 삶을 살기 위해 궁핍하게 살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이는 극히 잘못된 생각이다.
가난한 사람이 천국에 가는 것이 아니라 남을 이용하고 해를 입히면서 부자가 된 사람들이 천국을 가지 못하는 것이다.
이런 부자들이 있기에 부자들에 대한 일반론으로 고착화됐다.
이제는 그렇지 않은 부자가 더 많은 세상을 만들어야 되지 않을까?

서두에서 말한 누구나 가지고 있는 열쇠, 그건 무엇일까?


바로 ‘관찰'이다.
우리가 많은 것을 보고, 듣고, 배우고 있지만 누군가 지시하고, 말하고, 가르치는 것에 대한 수동적인 자세일 뿐이다.
내가 보고 싶은 것이 아닌, 있는 그대로, 또는 그 속에 담긴 것을 제대로 보아야 한다.
이 책은 ‘관찰의 힘'을 강조하고 있다.
보던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시점의 관찰을 통해 보지 못했던 기회를 찾고, 그것을 실행으로 옮겨야 한다.
이것이 바로 저자가 말하는 부와 성공을 여는 열쇠이다.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실무에 바로 써먹는 UX 라이팅 - 따라만 하면 되는 마이크로카피 작성법
다카하시 시게코.도미나가 아쓰코 지음, 이은혜 옮김, 현호영 감수 / 유엑스리뷰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개 이상의 광고 문구를 만납니다.
호감이 가는 문구도 있고, 도통 이해가 되지 않는 문구도 있습니다.
분명 소비자에게 어필하게 쓴 글일텐데 왜 이런 차이가 생길까요?


이 책은 UX 라이팅을 친절하게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UX는 User eXperience의 약자로 ‘사용자 경험'을 뜻합니다.
‘사용자 경험 글쓰기’라고 직역하면 조금 어감이 이상하죠?
풀이하면 사용자에게 호감을 주고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글쓰기를 말합니다.

전문용어와 생산자 위주의 문장보다 심플하고 쉬운 단어와 사용자 입장에서의 문장이 좋습니다.
책에 나와 있듯이 ‘회원가입'이라는 기능 위주의 설명보다는 ‘바로 실행'과 같이 사용자 입장에서의 내용이 훨씬 직관적입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무엇이 불편한지를 알고 있으면서 생산자일때는 왜 고려하지 않는걸까요?

UX 라이팅은 주로 IT와 관련된 비즈니스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짧지만 임팩트 있는 글을 쓰고자 하는 분들이라면 알아두면 좋습니다.
한번 작성하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반응을 살펴 계속 변경하기도 합니다.

UX 라이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고객의 입장'입니다.
제품, 서비스 관점이 아니라 고객의 관점에서 알고 싶은 내용이 무엇인지, 전달해야 할 것이 무엇인지 찾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직접 고객을 만나 인터뷰도 하고, 기존의 라이팅에 대한 반응도 확인합니다.

이 책은 UX 라이팅에 적합한 단어나 문장 등을 추천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UX 라이팅이 무엇인지, 어떤 프로세스를 따르고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것만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면 최고의 UX 라이팅를 작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책을 보면서 넓은 의미의 UX 라이팅에 대해 생각해 보았습니다.
상대방에 대한 고려없이 내가 알고 있는 내용을 너무 편하게 쓰고 있는 것은 아닌가 반성해 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984 클래식 라이브러리 6
조지 오웰 지음, 배진희 옮김 / arte(아르테)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84’는 ‘동물농장'과 함께 조지 오웰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동물농장도 그렇지만 이 책 또한 정치적인 색채를 많이 띄고 있다.
그리고 이 책이 조금 더 농도가 짙다.

조지 오웰의 마지막 작품이기도 한 이 책은 1948년에 완성되었다.
당시에는 먼 미래의 시대를 조망하는 작품이였지만, 지금 시점에서 보면 과거이다.
하지만 작품에서 보여주는 세계는 우리가 살아가면서 늘 경계해야 하는 것이다.

인간성이 말살되고 빅 브라더가 지배하는 세상.
편리함에 그 지베를 당연하게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그 세상을 생각보다 일찍 마주할 가능성이 높다.
인간은 기계도 아니고, 동물도 아니다.
그것을 구분하는 것은 바로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자유'이다.

챗GPT를 위시한 첨단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지금 이 책을 보니 이전과 달리 보인다.
1984는 이미 지나가 버린 과거가 아니라 언제 닥칠지 모르는 미래일수도 있다.
우리가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하고, 행동하기를 포기하는 그 순간이 바로 1984의 세계일 것이다.

빅 브라더는 로봇, 인공지능과 같은 기술이 될 수도 있고, 사람들을 현혹시키는 인물일수도 있다.
이 둘이 결합된 모습으로 등장할 수도 있다.
중국, 북한은 이미 유의미한 빅 브라더가 존재한다고 봐도 되지 않을까?
국가가 아니더라도 회사나 가정에서는 이미 존재할 것이다.

작품도 좋지만 더 깊은 이해를 위해서 작가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좋다.
책 뒷부분의 해설과 작가 연보를 먼저 보고 작품을 본다면 작가가 이 책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이 무엇인지 조금 더 깊게 와 닿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