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반 고흐, 영혼의 편지
빈센트 반 고흐 지음, 신성림 옮김 / 예담 / 1999년 6월
평점 :
절판


그림에 문외한인 일반인에게 가장 지명도높고 인기많은 화가 중 하나가 바로 고흐다. 이 명성 때문에 그는 아이러닉하게도 오히려 그림보다 그림 외적인 면들로 훨씬 더 알려져 있다. 뭐라 해야 할까, 이미 신화화된 인물의 존재감이 오히려 퇴색해가는 아이러니라 해야 할까.

이 책은 초기작들부터 그가 죽기 전 그린 작품들까지 많은 그림 도판이 들어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동생이자 그의 그림의 최고의 후원자, 그리고 영혼의 동반자였던 테오에게 보낸 편지들을 모은 것이라 인간으로서의 고흐의 면모와 그의 영혼의 속내가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천재 화가' 쯤으로만 생각했던 그가 이십대 초반에 보여주는 불안과 혼란은 지구의 반대편에서 100년 후의 세계를 살아가는 한국의 젊은 청춘들과 그리 다를 바 없으며, 그가 직업화가의 길을 선택한 뒤 밤낮으로 그림을 그리며 스스로 가꿔나가는 화가로서의 정체성, 그림에 대한 열정, 예술과 그림의 본질에 대한 그의 고백들은 이 시대의 다양한 예술분야 종사자들에게도 똑같은 고민의 무게를 얹어준다.

지독하게 고집세고 소심하고 융통성없고 고지식하며 사회성없고 우울한 그의 면모가 그대로 드러나는 가운데, 우리는 역사책 귀퉁이에서 '인상주의 화가', 아니면 '괴팍했던 정신병자 화가'로뭉뚱그려 호칭되는 고흐가 아닌, 지극히 인간적인, 그리고 삶 자체가 고통이었던 자연인 고흐를 만나게 된다.

밀레에게서 영향받았으며, 거룩한 자연과 그 자연의 일부로서의 인간을 즐겨 그렸던 고흐, 그리고 '인간만이 나를 가장 직접적으로 감동시키는 존재'라고 고백했던 그의 그림철학은 소박함과 진솔함 그 자체였다. 후기작들에서 보이는 화려한 터치에도 불구하고 그 안에 들어있는 그의 그림철학의 소박함과 진솔함은 조금도 변함이 없다.

테오의 품에 안겨 죽기 전 마지막으로 남긴 그의 말은 '이 모든 것이 끝났으면 좋겠다'였다. 그리고 스스로 가슴에 총을 소기 몇 달전 요양소에 있을 무렵, 테오에게 '고통이 광기보다 강하다'라고 썼다.

나는 고통 그 자체였던 그의 삶이 너무나 눈물겹고, 가슴아프다. 비록 도판으로 보는 그림일지라도, 나는 방에 편히 앉아 그의 그림을 '구경하듯' 보는 것이 죄스럽다. 그의 그림에 감동하고 스스로도 이해할 수 없는 눈물을 흘리는 일백 년 후의 그의 그림의 팬은, 제발 그의 영혼은 지금 편히 쉬고 있기를, 간절하게 기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랙 다알리아 1
제임스 엘로이 지음 / 시공사 / 1996년 5월
평점 :
절판


제임스 엘로이의 이름이 한국에 대중적으로 소개가 된 것은 아무래도 그의 원작으로 영화화된 〈LA 컨피덴셜〉 때문일 것이다. 일반적인 통속소설--그 중에서도 범죄 소설과 그의 작품이 확연히 구분되는 가장 큰 점은, 그의 작품이 그려내는 사건과 등장인물들, 아울러 그 시대의 사회상이 생생하게 그려지면서 예술의 경지라고 감탄할 만큼 인간의 속성, 타락한 사회의 본질을 정곡으로 찌르며 묘사해내는 탁월한 문장력이 아닐까.

이 작품, <블랙 다알리아> 역시 〈LA 컨피덴셜〉과 마찬가지로 1940년대 미국 LA를 배경으로 한다. 역시나, 살인사건을 수사해 가는 두 명의 경관과 그 주변인물들을 통해 인간의 탐욕과 나약함, 어두운 본질이 고스란히, 너무나 생생하게 드러난다.

주인공들을 포함하여 아무도 영웅이 아니다. 주인공들은 정의나 소영웅주의가 아닌, 그다지 악하다곤 할 수 없는 개인적 동기와 이익에서 행동하고, 자신의 탐욕과 욕망, 집착, 나약한 본성 때문에 결국 추락한다.

제임스 엘로이의 최고 걸작이라 평가받는 이 작품 <블랙 다알리아>를 현재 미국에서 데이빗 핀처 감독이 영화화를 준비하고 있다고 하는데, 정말 기대가 된다. 고결하고 아름다운 인물들이 아닌, 우리의 약점과 나약함을 고스란히 가지고 있는 '못난' 주인공들이 내뿜는 그 치명적인 향기의 매력은, 나같은 삐딱이들을 충분히 가슴 설레게 만든다. 제임스 엘로이는 천재다.

ps. (06/07/2004 추가) 데이빗 핀처는 프로젝트에서 손을 뗐고, 마크 월버그, 조쉬 하트넷, 스칼렛 요한슨을 캐스팅하여 브라이언 드 팔마 감독이 이미 촬영에 들어갔다. 오마이갓! 이건 데이빗 핀쳐에게 딱인 소설이었다구... 이미 맛이 간 브라이언 드 팔마가,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긴 하지만 책 분위기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배우들을 가지고 도대체 무슨 엄한 짓거리를 하려는 거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니발 1
토머스 해리스 지음, 이창식 옮김 / 창해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크게 히트한 소설의 속편이 가지는 공통점은 스케일이 커지는 대신 약간 산만해진다는 것이 아닐까. 내가 이 글의 제목을 '속편은 속편이다'로 달았던 건 바로 그 때문이다. 억지로 삽입된 듯한 미샤라는 캐릭터, 그리고 어색한 독백들. 이 소설은 모모 소설의 속편입니다 라고 광고하는 듯한 느낌이다.

전편은 철저하게 클라리스 스탈링의 시점에서 한니발 렉터를 묘사했기 때문에 '식인종 한니발(Hannibal the Cannibal)'이라는 캐릭터는 신비로운 카리스마를 띨 수 있었다. 그 매력적인 캐릭터가 이번엔 주인공이다. 우리는 한니발의 무의식과 기억 저장소를 전지적인 작가 시점을 통해 고스란히 여행한다.

소설상에서뿐 아니라 영화에서도 가장 독특하고 매력적이었던 괴물(악당이 아니다!)이 인간화하는 대신 신비스러움을 댓가로 치르는 아이러니. 전편의 응축되고 단단했던, 그리고 신비로웠던 분위기가 걷히고 약간 산만하고 풀어진 듯한 느낌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스탈링의 컴플렉스, 그리고 주변 사람들과 맺었던 관계에서 드러나는 미묘한 갈등과 긴장, 이런 것들은 속편에 들어와 단순화되고 평면화됐다. 마치 헐리웃산의 블럭버스터 영화를 한편 보고 난 느낌이랄까. 전편의 '지적인 긴장감'은 사라졌다.

사실 <한니발>은, <양들의 침묵>의 속편이지만 동시에 전혀 다른 장르의 전혀 다른 소설이기도 하다. 전편과 연결지어 비교하는 게 어느 면에서는 부당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한니발>은 <한니발> 고유의 소설적 재미와 스케일을 가지고 있다. 막판에 벌어지는 향연은 강력하다.

그러나 이 소설이 매력만점이었던 클라리스 스탈링과 한니발 렉터라는 캐릭터, 그리고 그들과 그 주변인물들과의 관계에서 구축했던 다양한 긴장과 갈등이라는 전편의 장점을 그대로 사용한 이상, 이런 장점들이 새로운 방향으로 더욱 발전하지 못하고 퇴보한 것은 분명 아쉬운 일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딸기 2005-11-17 1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긴장은 확실히 떨어졌는데, 토머스 해리스만의 지적 현란함은 한니발에서 더 잘 나타났던 것 같아요.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