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에스프레소의 마력
서준원 지음, 이유경 그림 / 바움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에스프레소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마자 서가에서 발견한 책, "에스프레소의 마력"
두껍지도 않은 책이 가격이 1만2천원이나 한다.

게다가 에스프레소라니....원하는 사람만 보라는 이야기인가. 도서관이 있어서 다행이다.

에스프레소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중간 중간 픽션의 스타일로 적은 몇몇 글이 나를 즐겁게 했다.

".... 그 두렵고 아쉽기 짝이 없는 한두 번 만의 키스, 애정에 굶주린 당신에게는 너무나 감질날 것 같고, ........그래서 당신은 키큰 우윳빛 잔에 따뜻한 담자색으로 물결치는 창녀처럼 쉬운 아메리칸 커피에 지폐를 올리고 싸구려 키스를 수없이 해대다가 카페의 문을 나서곤 했다. 때때로 지폐 한장을 더 얹으면 벌겋게 화장을 한 헤즐넛 커피의 진한 분냄새도 살수 있다........."

"당신이 큰 엉덩이를 펴고 탁자를 차지하고 있는 아메리칸과 만나는 동안 그녀석는 에스프레소를 마시고 있을 것이다. 잘록한 허리로 교태를 부리며 앙증맞게 앉아 있을 그녀석의 파트너를 생각하면 소름이 끼친다. 당신은 그것이 겉멋이 아닐까 수없이 의심해왔다. 에스프레소는 서양사람들이나 마시는 독하기 이를 대 없는 커피 인데 그거 마시고 맛있다고 할 한국사람은 정말 없다. 그게 맛있다고 하는 말은 분명 겉멋에서 나온 거짓말이다."

한 없이 나를 웃게 만드는 대목들이다.

저자가 얼마나 에스프레소를 사랑하는 지 알것 같다. 에스프레소를 좋아하는 사람을 이해 못하고 겉멋이라고 치부하는 사람들에게도 할말이 있지만 그리고 맛없는 에스프레소를 만들어 파는 그런 집들에 대한 뼈아픈(?) 불만도 너무나 이해가 간다.

그러나 끝으로 가면서 저자가 중국의 고전에 나온 붕(鵬)과 산비둘기를 비교하면서 언급한 부분은 조금은 나의 눈쌀을 찌프리게 했다.(내가 이 부분에서 저자의 의도를 잘못 이해하고 있기를 바란다.)

에스프레소 뿐만아니라 모든 음식은 개인의 기호이다. 식성은 무척이나 주관적인 부분이다.  특히 기호품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그리고  그 나라의 일반적인 다이어트와도 관련이 있다.

식물성의 음식이 많고 자극성이 강한 우리나라의 음식에는 프랑스에서 높히 평가받는 와인이 어룰리지 않는 경우가 많고 에스프레소도 많이 그렇다.

지구 저편의 입맛과 기호품 생활습관들이 세계화라는 시류의 덕분에 가까이에서 구하기 쉬워졌다는 것은 우리의 선택이 넓어졌다는 이야기이지 우리가 꼭 그들과 같이 먹고 입어야 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가끔 가다 까페나 커피 전문점에서 호기심에서 에스프레소를 한번 시켜 보고는 옆의 친구에게 "써, 맛없어." 라고 말하는 젊은 친구들을 본다. 나는 그들이 에스프레소를 맛보았다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본다.

한번쯤은 해보는 것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것을 골라 먹을 수 있는 것. 이것이 진정 우리가 누리는 세계화의 의의가 아닐까?

그리고 나와 입맛이 다른 사람들을 인정하기. "넌 이게 맛있냐, 너 입맛도 특이하나." 라고 자신을 방어하지 않기를 바라는 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접시 위에 놓인 이야기 5
헬렌 니어링 지음, 공경희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01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에 차려진 음식을은 우리가 흔히 보는 곡물이나 야채가 아니다. 왜냐면 그녀가 살았던 미국 버본트나 메인에서 주로 나는 작물이며 그녀와 스코트가 그들의 밭에 길렀거나 아니면 주위에서 흔히 채취할 수 있었던 것들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이 책을 새로운 요리법을 개발하고자 하는 사람이 찾지는 않을 것이다. 내가 이용하는 도서관에 이책의 색인을 찾아봤을때 이책이 그녀의 다른 서적들과 같이 문학쪽이 아닌 요리책들 사이에 있는 것이 의아하게 느껴지기 까지 했다. 그러나 엄밀히 따지지자면 도서관이 옳았다. 이책은 요리법에 관한 책이다. 그리고 더 넓게는 삶을 어떻게 조리하느냐에 관한 책이다.

이 책의 요리법중에 우리가 바로 써먹을 수 있는 것은 그리 많지 않다. 생소한 이름의 야채들 허브들이 우리를 혼란하게한다. 그리고 수적으로 적지않은 요리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요리들에 쓰인 재료는 거의 공통된 5가지 정도에 국한 되어있다.

그녀의 요리법에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마도 건강한 식탁을 꾸미는 몇가지 기본적이 지표들일 것이다. 신선한 재료를 빨리 조리하여 가능항 영양소를 파괴하지않고 자극적인 향신료는 적게 사용하며 소금의 양도 줄인다. 그녀 자신이 이름 붙인것 같이 그들의 식사는 거의 '말먹이'의 수준이다. 그들의 식사를 몸에 좋을 것이라고 무작정 따라한다면 자극적인 음식에 길들여있는 우리들은 아마 3일을 못버틸것이다.

이런 조리법을 이용하면 물론 자연에 가까운 형태로 섭취하기 때문에 건강에 좋은 것은 말할 것도 없겠지만 그 이외의 효용도 있다. 일단 돈이 덜든다. 많은 재료가 들지 않기 때문이다. 시간이 덜든다 재료를 다듬는 시간, 조리하는 시간 모두에서 그렇다. 자극적인 맛으로 입맛을 돗구지 않기 때문에 사실 불필요하게 많이 먹지 않게된다. 맛이 없는 것은 어떡하냐구? 맛이란 상당히 상대적이다.

예를 들면 나는 셀러드에 드레싱을 치지 않는 다. 헬렌 니어링 조차도 올리브 오일과 식초 또는 레몬즙을 첨가하지만 나는 전쳐 아무것도 넣지 않는 다. 누가 시켜서 그런 것은 아니었고 야채의 신선한 맛, 각각의 맛이 드레싱에 의해서 뭉그러지는 것이 싫어서였다. 몇번 그렇게 먹어보니 그게 더 맛있었다. 나는 종종 비빔밥이나 회덮밥에도 고추장을 넣지 않거나 조금만 넣는 다. 옆사람이 빨갛게 비며놓은 것을 보면 어중띤 색깔의 내 밥그릇은 영 맛있어 보이지 않는 다. 그러나 고추장이 들어가기 이전에도 벌써 나물은 충분히 간이 되있어서 결코 싱겁지도 않을 뿐더러 고추장에 비비면 이건 고추장 맛에 먹는 것이지 그이외에는 아무 맛도 나지 않는 다. 대부부의 생선 매운탕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식당에서는 지리의 형태로 나오는 것이 매운탕 보다는 신선할 확률이 놓다.

우리의 삶은 점점 복잡해지고 비용도 많이든다고들 한다. 살기가 점점 어려워지는 것에는 누구나 동의 한다. 세상에 많은 것들이 나의 제어 밖에 있다. 이런중에 먹거리는 그중 내가 스스로 선택할수 있는 몇가지 중에 하나이다. 간단히 먹는 것이 단지 인스탄트식품이나 맛없는 음식일 필요는 없다. 반찬이 없어서 간단히 라면으로 요기를 할량이면 그냥 맨밥 한공기를 먹으면 어떤가? 왜 밥은 반찬이 있어야 먹나? 라면 하나 끓이는 시간이면 밥한공기도 익는 다. 흰밥 한그릇은 맛없어서 못먹어도 현미 찹쌀 밥한그릇은 달고 맛있다.

이 책에서는 요리법을 배우기 보다는 생각의 전환을 배우기 바란다. 조금 씩 새로운 삶의 방식을 시도해 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