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미술은 부처가 35세에 성도한 후 최초로 건축한 불찰(불교사찰)인 기원정사나 죽림정사의 성립과 동시에 발생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부처가 생존해 있던 당시에 불상이 제작되었다는 전설도 있지만 어디 까지나 그것은 시원적인 또는 전설적인것에 불과하다고 할수 있습니다. 따라서 불교도들에 의해 참다운 조형활동이 시작된 것은 부처가 열반에 든 이후였다고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한 견해일 것입니다. 그것은 부처가 열반에 든 직후에 세워진 8탑의 건립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부처가 쿠시나가라에서 80세로 연반하자 당시 독실하게 불교를 믿던 8국의 왕들이 서로 사리를 가져가겠다는 사리분쟁이 일어났는데 도로나 바라문의 현명한 중재로 여덟나라에 공평하게 나누어 동시에 탑을 세우게 한것이 근본 8탑이 되었습니다. 탑은 불교건축에서는 가장 중요하고 필요불가결한 것이며 불교에만 있는 건축형식으로서 불탑에 대한 숭배사상은 시대가 지날수록 더욱 성황을 이루어 수많은 탑들이 조성되었습니다. 인도의 아쇼카왕이 8만4천탑을 건립했다는 전설은 이러한 상황을 단적으로 말해주고 있습니다. 다시말해서 탑은 절의 중심이가 불교도의 주 예배대상이고 불교미술의 주류였던 것입니다.

   이렇듯 탑이 불교신앙의 중심이 되었던 시대에는 아직 불상이 나타나지 않은 시기였다고 보는것이 정설입니다. 그후 기원후 1세기경이 되면 이전에는 보이지 않던 붓다의 모습이 등장하기 시작합니다. 본생도나 불전도 등에 붓다가 표현되기 시작하였으며 불상만 단독으로 만들어지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언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대체로 기원후 1세기 경 불교 자체의 교리적인 화와 외래의 영향등으로 불상이 제작되었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불상의 발상지는 대개 두곳이 거론되고 있는데 하나는 인도 갠지스강의 중북부에 위치한 마투라 지방이고 또다른 하나는 인도인도서북부 아프카니스탄쪽이 있는 간다라 지방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마투라 지방은 인도의 상업과 정치의 중심지로서 전통이 강한 곳이었으므로 고대신상조각의 전통이 불교교리의 변화에 따라 발상되어 불상으로 나타났다고 보여지며 간다라 지방은  중근동 혹은 중앙아시아와 인도를 연결하는 관문이였기 때문에 외래적인 요소가 강하게 작용하였고 기원후 1세기를 전후해서는 헬레니즘문화의 영향을 받아 간다라지방의 불상이 제작되어지기 시작했다고 판단되어 집니다.

   마투라. 간다라 이 두 계통의 불상 발생에 대해서는 논의가 분분하지만 불상제작의 엄격한 규제가 풀리게 된 것은 불교교리에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보는것이 일반적입니다. 당시에는 간다라 지방이건 마투라 지방이건 유부계통의 불교가 지배적이였지만 신생 대중부 계통도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던 때 였습니다. 대중부는 불교의 대중화운동을 가장 중요시했던 대승불교의 전신으로 대중을 제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은 부처님의 형상을 만들어 그 위대성을 직접 눈으로 볼 수 있게 하는 시청각적인 교화의 수단이었던 것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불상은 삽시간에 예배의 주된 대상으로 되면서 사원의 중심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절의 중심이 탑에서 불상으로 바뀌게 되자 불교미술의 주역도 불상이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로써 새로운 불교미술 시대가 열리게 되었던 것입니다. 이때가 바로 불상이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시기로 佛像時代라고 하고 불상이 없고 탑만 있었던 기원전 시기를 無佛像 時代라고 한답니다. 불상시대를 불교식으로는 像法時代라고도 합니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04-03-18 22:24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누아 2004-03-19 0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상이 나타나기 전에 그림에서는 부처님의 실제 모습을 그대로 그리는 것이 불경스럽게 느껴졌던지 보리수나 부처님의 발(가섭에게 보여주셨던)을 부처님 자리에 그렸다고 하더군요. 지금도 어떤 절에는 녹야원에서 부처님이 다섯 비구에게 설법하시는 장면에서 부처님 자리에 법륜이 그려져 있는 걸 본 적이 있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수련 2004-03-19 17: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관심있게 읽어 주시니 감사합니다.
부처님의 모습을 실재로 그리는 것이 불경스러웠다는 것 보다는 반야심경에 보면 색즉시공 공즉시색 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모든것이 공이라는 뜻이죠. 일시무일시 석삼극 무진본...이런 말도 있죠~~ 초기 무불상 시대는 공사상 때문에 불상이 없었던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또한 부처님은 그림으로 나타내기는 너무 신성한 존재였던것이지요(그렇게 보면 실재 모습을 표현한다는 것 자체가 불경스러웠다는 것과도 상통하겠군요) 하지만 불상의 출현은 분명 주변 여러나라와의 문화교류로 인한 영향때문이었던 것으로 사료됩니다.


조선인 2004-10-21 11: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실 전 불화를 기다리고 있는데, 아직 말씀이 없으시네요. 언제쯤 다시 이어주실 지.

수련 2004-10-21 21: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에고...이 게으름을 알아차리셨군요.
불화는 차츰 정리해서 올리겠습니다.
요즈음 여러가지 일이 복잡하게 돌아가는 바람에..
죄송합니다.

조선인 2004-10-21 21: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죄송하다뇨. 그 무슨 말도 안 되는. 그저 은근히 기다린다는 정도의 뜻이었습니다. 저같은 문외한이 보기엔 기존 책들이 전문용어가 많아서요. 미술용어도 그렇고, 불교용어도 그렇고. 그에 비해 님의 글이 술술 읽혀서. 혹시 책을 추천해주셔도 좋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