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빗나간 내 인생
주세페 쿨리키아 지음, 이현경 옮김 / 낭기열라 / 2005년 11월
평점 :
절판
낯선 이탈리아 작가의 소설책을 한 권 샀다.
나의 어설펐던 지난날을 반추해 보고 싶은 마음에 뭐 마땅한 성장소설 없을까 어슬렁 거리던 중에 발견한 책이었다.
요즘 정말로 어설픈 것들에 시선이 간다.
시청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해 근래의 드라마들에서 차용하는 상품 가치로서의 어설픔, 그야말로 어설프기 짝이 없는 어설픔이 아니라 진정한 어설픔 말이다.
완벽에 가까워지고 싶고 근사한 성공도 꿈꾸지만 어디서부터 핀트가 어긋나 버렸는지 그런 이상향과는 자꾸만 멀어지게 되는 삶, 그러한 삶에 기초한 어설픔 말이다.
이를테면 호밀밭의 파수꾼의 홀든, 데미안의 싱클레어, 이 소설의 발테르 같은 인물에게서 뿜어져 나오는 어설픔이 그것이다.
감수성 예민하고 삼라만상에 관한 호기심이 발달한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한 번 쯤 자신의 성장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거치게 되는 어설픈 시기가 있다.
아이처럼 순진하지도 않고 그렇다고 어른으로 대접받기엔 사회적 능력들이 부족한, 여러 모로 어정쩡한 시기에 이 세상은 나와 내가 아닌 사람들, 이렇게 두 부류만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기에 한없이 고독하고 무한정 방황한다.
이 소설의 발테르 역시 그러한 시기를 겪게 되는데 더군다나 그는 돈도 없고 그렇다고 든든한 뒷백을 가진 부모가 있는 것도 아니고 그나마 대학이라도 보내주는 집안 분위기도 아닌 악조건 속에서 대학의 청강생으로, 공익근무요원으로, 섹스광인 여학생의 남자친구로, 무료하고 의미 없는 나날을 계속한다.
그 자신 책 속에서 말한 것처럼 그에게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자유 밖에는 없었던 것이다.
살고자 하는 의욕은 있지만 없는 마음을 짐짓 있는 것처럼 가장할만큼은 아니고 즐겁고자 하는 의욕도 있지만 그것이 무엇인가에 탐닉하다가 자기 자신을 잃어버릴만큼은 아니다.
이십대 중반의 경계에 있지만 나도 만약 여차저차하여 직업을 갖지 않았거나 직업을 구하지 못했다면 사회의 부담스런 시선 속에서 한껏 냉소적일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이르렀을 지도 모른다.
냉소란 '쌀쌀한 태도로 비웃는 것'이라고 사전에는 지극히 냉소적으로 나와 있지만 사실 치기 어린 시절의 냉소란 그 이유야 어찌 되었든 다수가 따라가는 대세에 따르지 못할 때 취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방어 자세가 아닐까 싶다.
그래? 그렇단 말이지? 그러면서 한껏 비웃어 주되 그 모습이 실상은 무척 쓸쓸하고 공허하다는 것이다.
삶을 지속하기 위한 긴장들에 대하여, 남들과 같은 평범한 삶에 편입하기 위한 안간힘들에 대하여, 나는 저렇게는 살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삶이란 원래 형이상학적인 것 못지 않게 형이하학적인 것들로 움직이는 비루하기 짝이 없는 시스템 아니던가.
어제 뉴스에 이십대 취업률이 전체 취업률의 17 퍼센트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는 보도가 있었다.
그 보도를 들으며 나와 비슷한 또래들이 겪어야 하는 고민 속에서 나는 일찌감치 해방될 수 있었다는 행운에 안도했다.
사회에 나와서 간혹 정말 이렇게는 살고 싶지 않다는 생각이 문득문득 떠오를 때도 있지만 그야말로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자유 밖에는 없었던 그 시절로 돌아가라면 정말 그렇게는 살고 싶지 않다고 말할 것 같다.
발테르처럼 방황하던 그 때를 떠올리면 초가을의 어느 날, 대학 근처 초등학교 등나무 아래 벤치에서 아이스크림을 먹던 내 모습이 잔영처럼 남아 있다.
복학을 해서 마치 여자 예비역같은 기분으로 생활해오던 그 때, 연애도 공부도 꿈도 죄다 내 기대치와 어긋나 버리고 고작해야 아이스크림의 달콤함에 위안 받고 있었던 그 때, 운동장에서 뛰노는 꼬마들을 보면서 예쁘다는 느낌보다는 어른이 되고 취업을 하고 결혼을 할거라는 점에서 무척 딱하다는 느낌부터 앞섰던 그 때, 나는 세상을 아직 반에 반도 몰랐던 풋내기였다.
모르기 때문에 마음껏 냉소하고 마음껏 웃어제끼고 마음껏 시름에 잠기고 마음껏 과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 소설은 그 당시의 어설펐던 나를 떠올리게 했다.
물론 나는 지금도 어설프고 어지럽고 어안을 벙벙하게 만드는 바보지만 세상이 내 마음에 들고, 안 들고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으로 담담하게 살아가고 있다.
가끔 사람이나 현상에 대해 비판을 가할 때도 있고 화가 날 때도 있고 종이처럼 꼬깃꼬깃 구겨서 던져 버리고 싶은 것들과 마주할 때도 있지만 대개는 성격 드러내봤자 이익이 될리 없다는 계산, 그리고 상대방이 나를 알아줄 것도 아니란 체념에 대충 넘기고 집에 와서는 공연히 튀지 않길 잘했다는 자족감으로 하루를 마감한다.
나는 지금이야말로 내가 최고조의 냉소, 진정한 냉소의 지점에 이른게 아닌가 하는 씁쓸한 느낌이 든다.
뫼르소처럼 완벽한 이방인이 된 기분 말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발퇴르의 냉소에서 뫼르소의 냉소로 化 해가는 것이 성장은 아닐까 생각해 봤다.
그리고 겉으론 빗나간 것처럼 보이지만 발퇴르의 시간이 사실은 내 생에 가장 빛나는 시간이었음을 인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