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리 기자의 영화야 미안해
김혜리 지음 / 강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보다 평론을, 영화보다 영화평을 더 즐기는 내게 김혜리의 책은 조금씩 아껴 먹어야 할 희귀한 쿠키 같았다. 금방 질리는 단맛이 아니다. 귀찮은 부스러기도 없다. 왼쪽 서랍 속에 넣어두고는 두 개씩만 꺼내서 묽게 탄 커피 한잔과 함께 먹고픈 담백한 쿠키. 책 속에서 그녀가 소개하고 있는 영화의 1/3이나 다 보았을까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혜리의 글을 읽고 보려던 영화를 취소한 적도 있었다는 작가 윤성희의 말처럼 이것으로 충분한 느낌. 건조한 해석에 그치는 따분한 평론이 아니었다. 글쓰기의 재능과 철저한 조탁 과정이 조화를 이룬, 그녀만의 스타일로 재창조한 근사한 에세이였다. 이동진의 글이 하얀색 쵸콜릿이라면 김혜리의 글은 다갈색 쿠키다. 고소하면서도 매우 성실한 맛. 

 '비포 선라이즈'의 시간은 바닥 없는 잔에 찰랑이는 와인과 같았으나 '비포 선셋'의 시간은 일초 일초 우리의 심장 위를 저벅저벅 지나간다. 줄리 델피와 에단 호크의 연기는 연기 같지도 않아서 어디선가 연기상을 준다면 모욕으로 느껴질 정도다. 5분이 넘는 롱테이크와 잦은 오버랩을 감당하는 대사의 완벽한 구현은 기교를 떠난 집중력과 신뢰의 산물이다. -p.123 이건 내가 하고 싶었던 말이잖아. 남의 글을 읽으며 무릎을 치며 환희를 느끼는 순간이 많지 않다. 시간의 풍화작용과 함께 사그라드는 영상과, 잦은 리뷰청탁을 감당하는 평론의 완벽한 구현은 기교를 떠난 그녀의 집중력과 신뢰의 산물이리라.

 '디 아워스'는 과거와 현재이면서 동시에 미래일 수 있는 시간을 질투하는 영화다. 그리고 질투를 통해 삶에 대한 사랑을 고백한다. 그것은 아주 깊이 가라앉아 기도와 비슷해진 사랑이다. 자기를 버리고 눈을 감아 빛을 버리고 좁은 우물의 바닥 같은 평화를 대가로 얻는. -p.196 '버지니아 울프'의 니콜 키드만, '로라'의 줄리언 무어, '클래리사'의 메릴 스트립은 제각기 뭔가에 사로잡히거나 호소하려는 듯한 독특한 눈빛으로 나를 매혹시켰다. 사실 나는 이 영화에서 '여성' 또는 '인생'이라는 두리뭉실한 거대 화두 밖에 캐취하지 못했는데 그녀는 세 여인에게서 구도자의 사랑을 봄으로써 영화를 한 단계 더 승화된 차원으로 끌어올렸다.

 사색의 표정이 고인 여윈 얼굴로 조용히 움직이는 그는 여성의 존경심과 모성애를 동시에 자극했다. ... '애수'의 로버트 테일러는 결코 여자를 울리거나 배신하지 않을 것처럼 보이는 온화한 미남자의 이미지를 스크린 안팎에서 체현하면서 1930, 40년대 여성 스타들이 선호하는 '무난한' 상대역으로 상종가를 누렸다. -p.247 게리 쿠퍼와 로버트 테일러에 대한 그녀의 평이다. 헐리웃 꽃미남 스타들의 계보와 변천사를 읊으며 우리가 디카프리오 때문에 '타이타닉'을 두 번 보거나 장동건에게 반해 '인정사정 볼 것 없다'를 봤다고 말하는 것이 결코 부끄러운 일이 아님을 옹호해주는 멋진 그녀. 우리 엄마가 찰슨 브론슨의 시니컬한 콧수염에 여태 열광하는 것도 영화의 가장 마술적인 모멘트에 동참하는 것이라며 이해해주는 미더운 그녀. 아! 용솟음치는 무한공감이여.

 리버 피닉스의 생애는 패딩턴의 북극 탐험기에 나오는 아이로니컬한 이야기를 상기시킨다. 이글루 안에 갇힌 한 남자가 내쉬는 숨마다 입김이 얼어붙어 결국 점점 다가든 벽에 갇혀 죽었다는 일화. ... 리버 피닉스는 그저 못다 핀 배우였고 착하고 총명했으나 치명적인 실수를 피하지 못한 젊은이였을 뿐이다. -p.332 '아이다호'의 아름다운 청년, 리버 피닉스를 향한 연민 어린 따듯한 시선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그가 변덕스런 반항아에 마약중독자였다는 사실은 '배우'라는 타이틀에 비추었을 때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각고의 노력으로 만들어지는 배우가 있는가 하면 타고난 아우라로 관객을 사로잡는 배우가 있다. 리버 피닉스는 누구와도 비견될 수 없는 청순한 아우라에, 안타까운 요절이 플러스 됨으로써 못다 핀 청춘으로 영원히 신화화 되었다. 가장 아름다운 나이에서 침묵해 버린 그는, 삶의 전후로 경쟁자가 전무한 배우다. 김혜리가 리버 피닉스를 놓치지 않았다는 점이 반가웠다.

 이밖에도 도무지 미워할 수 없는 휴 그랜트의 매력을 '게으름뱅이', '세속적 이기주의자', '회의주의자', '네추럴형의 유혹자'라는 네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페이지도 흥미로웠고 샤를리즈 테론과 제레미 아이언스의 숨은 가치에 대해 짚어주는 대목도 관심있게 읽었다. 이 책에 소개되고 있는 배우들이나 감독들을 모두 다 아는 것은 아니지만, 앞서 말했듯 그녀의 글은 그 자체로 재미있고 성실해서 이름들의 낯설음을 무마하고도 남더라는. '영화야 미안해'라는 책 제목처럼 친절하고도 겸손한 글이다. 편견 없이 마음을 열고 활자를 따라가다 보면, 날카로운 예지의 향을 품고 있는 따끈한 쿠키 같은 리뷰를 만날 수 있다. 바삭바삭 음미하며 한번 더 읽어보고픈 책이다.


댓글(21)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8-01-18 23:44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8-01-18 23:57   URL
비밀 댓글입니다.

웽스북스 2008-01-18 23: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김혜리의 글을 많이 읽어보지는 않았지만, 읽을 때마다 참 많이 공감했던 것 같아요- 밀양 리뷰도 흥미롭게 읽었던 기억이 나네요
이 책도 읽어보고 싶었는데 깐따삐야님 덕에 맛을 봤네요 흐흐

깐따삐야 2008-01-19 00:00   좋아요 0 | URL
아무래두 영화의 전체적인 실루엣을 잡아가는 건 이동진이 더 탁월한 것 같은데 반짝이는 직관이나 성실한 글쓰기 면에서는 김혜리가 좀더 나은 것도 같아요. 남녀의 차이일까요? ^^;
재미도 있고 예상 외의 정보도 많은 좋은 책이었어요.

웽스북스 2008-01-19 00:31   좋아요 0 | URL
어, 어, 나 계속 알라딘 들어왔었어요 ㅋㅋㅋ 덧글 달 마음의 여유가 없었나? 흠흠 ㅋㅋㅋ

라로 2008-01-19 01: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이책 다음달에 주문하려고 찜했는데~.
다들 넘 좋다고 해서,,,역쉬~.^^

깐따삐야 2008-01-19 01:29   좋아요 0 | URL
이동진&김혜리의 메신저 토크라는 걸 종종 재미있게 읽었거든요.
그때 이름을 알게 됐는데 이 책 읽으면서 제가 못 보고 지나쳤거나, 미처 생각도 못 했던 것을 짚어내는 데에 감탄했어요.^^

비로그인 2008-01-19 08: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리버 피닉스의 비유가 충격적이네요.
저는 마약하는 사람은 어떤 직업이건 용서하지 않는데 이 책을 읽어보고 싶게 하는군요.
거기가 제가 별로 좋아하지 않는,사람들이 왜 좋아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 휴그랜트에 대한 분류도 은근히 끌리는군요.
리뷰,잘 읽고 갑니다.
더불어 추천도...

깐따삐야 2008-01-20 22:29   좋아요 0 | URL
호흡하는 동시에 죽어가는 남자. 참으로 적확한 비유죠?
리버 피닉스는 마약중독자였고 휴 그랜트는 희대의 바람둥이라지만 저는 어쩐지 두 배우를 미워할 수가 없어요.
'아이다호'의 리버 피닉스는 너무 아름다웠고 '어바웃 어 보이'의 휴 그랜트는 너무 귀여웠어요.^^

비로그인 2008-01-19 08: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재 브리핑에 왼쪽 서랍 속의 쿠키라는 제목을 보고 또 들어왔어요.
오른쪽 서랍에는 뭐가 들었을까 궁금해서요.

깐따삐야 2008-01-20 22:30   좋아요 0 | URL
오른쪽 서랍엔 달콤하고 예쁘장한 손님용 쿠키가 들어있지 않을까요? ^^

순오기 2008-01-21 02: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알라딘에는 영화매니아들이 많아서 참 좋아요. 아마도 책읽기와 마찬가지로 정적인 취향과 어울려서 그럴까 생각되지만. 이 책과 이동진 책 보관함에 담아요. 구입은 2월에~ㅎㅎ

깐따삐야 2008-01-20 22:33   좋아요 0 | URL
근데 책을 읽거나 영화를 볼 때 몸은 가만히 있지만 머리하고 가슴은 아주 역동적으로 움직이잖아요! ^^

Mephistopheles 2008-01-20 00: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 읽는 속도가 굉장히 빠르다고 밖에는..^^

웽스북스 2008-01-20 21:52   좋아요 0 | URL
나두나두 여기 한표 ㅋㅋ
우리 깐따삐야님, 주말에 또 어디 놀러가신 거에요~~~
(어린아이처럼 깐따삐야님만 사라지면 보채는 웬디 ㅋㅋ)

Mephistopheles 2008-01-20 22:31   좋아요 0 | URL
사실 웬디양님이 없어져도 깐따삐야님이 보채긴 합니다.

깐따삐야 2008-01-20 22:35   좋아요 0 | URL
메피님- 이 책 재밌어서 후다닥 읽어버렸어요. 다시 한번 감사드려요.^^

웬디양님- 이젠 웬디가 '왠지'처럼 일상어가 된 것 같아요. ㅋㅋ

프레이야 2008-01-20 22: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평론을 잘 읽지 않지만 읽어보고 싶은 책이에요.
님의 표현을 빌어, 겸손하고 고소한 쿠키 같은 글이에요.
마구 읽어보고파져요.^^
전 제레미 아이언스의 매력을 잊지 못해요. 특히 롤리타,에서..
그리고 '토탈이클립스'에서의 디카프리오를요.. 홍홍.. 그래도 되는거군요.
김혜리의 글에서 깐따님이 느낀 것처럼요.^^

깐따삐야 2008-01-20 22:41   좋아요 0 | URL
이동진의 글처럼 유려하진 않은데 좀더 촘촘한 매력이 있어서 좋았어요.
제레미 아이언스는 '데미지'란 영화에서 처음 보고 예사롭지 않은 배우라고 생각했어요.
오... '토탈 이클립스'에서 디카프리오는 너무도 완벽한 랭보였어요. 권총으로 손바닥에 구멍 내는 장면 등에선 조금 버거웠는데 그래도 다시 보고픈 영화 중 하나에요.^^

혜성 2008-01-27 18: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전 이동진의 글보다 김혜리의 글을 좀 더 좋아해요.^^ 이번에 클로버필드 쓴 것 보니까 더욱...ㅋㅋ 특히 김혜리는 허진호감독에 대해선 우리나라 최고의 눈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해요. <행복> 리뷰는 어쩜 그리도... 그나저나 책 나온 줄 모르고 있었는데 감사해요^^

깐따삐야 2008-01-27 22:57   좋아요 0 | URL
김혜리의 글을 좋아하신다면 이 책도 재미있게 읽으시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