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의 궁극 : 서평 잘 쓰는 법 - 읽는 독서에서 쓰는 독서로 더행의 독서의 궁극 시리즈 1
조현행 지음 / 생애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짧지만 알찬 최고의 서평 쓰기 이론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서의 궁극 : 서평 잘 쓰는 법 - 읽는 독서에서 쓰는 독서로 더행의 독서의 궁극 시리즈 1
조현행 지음 / 생애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에겐 ‘고작’ 다섯 번째, 어떤 이에겐 ‘벌써’ 다섯 번째>

종종 챙겨보는 유튜브 채널에 워런 버핏 영상이 올라왔다. 지인들이 버핏에 대해 이야기하고, 버핏 또한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에 대해 말해준다. 그는 영상에서 자신의 삶과 투자철학 기반에는 ‘책’이 있다고 강조한다. 

예전 같으면 영상을 보고 1일 1책을 했겠지만, 올해는 천천히 책을 음미(吟味)하며 서평을 쓴다. 그래서 독서량 자체는 줄었다. 책 한 권을 적게는 두 번, 많게는 3번 이상 읽으며 책의 주제를 찾고 질문에 답을 달며 서평을 써야 하기 때문이다.  

능숙해졌을 것 같지만, 첫 번째 서평(책 읽고 글쓰기,링크)이후 여전히 낯설고 어렵다. 그런 막막함을 뚫어 준 책이있다.


[독서의 궁극 : 서평 잘 쓰는 법]은 문학서평가이자 독서칼럼니스트인 조현행이 ‘서평 쓰기’에 관해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이다. 누구라도 하루 만에 볼 수 있는 분량이고, 읽고 나면 서평 쓰기에 대한 욕구가 샘솟는다. 

책은 프롤로그, 1~6부, 부록(서평 쓰기에 도움이 되는 책)으로 나뉘어 있고, 저자가 서평 쓰기를 강조하는 이유와 단계별로 고려해야 할 부분을 알려준다. 무엇보다, 다양한 예시가 등대처럼 시야를 밝혀준다.



<그 책? 그 영화 어때?>

누구나 한 번쯤 그런 경험이 있을 것이다. 지인들로부터 “이 책 나도 보려고 했는데 괜찮아?” “그 영화 벌써 봤어? 볼만해? 재밌어?”하는 질문을 받았을 때, 내용이나 감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고 “어. 괜찮아.” “응. 볼만해.”하고 대답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말이다. 

저자는 그래서 말한다. “읽은 책에 관해서 설명할 수 없다면 그 책을 읽었다고 말할 수 없다!”(13p) 극단적인 표현이지만, 10년 넘게 책을 ‘읽기’만 한 필자도 어느 정도 동의하는 부분이다. ‘과잉 기억 증후군(링크)’ 처럼 한 번 본 것을 절대 잊지 않는 것이 아니라면, 대부분의 독서는 기억에서 점점 흐려진다. 그러나 읽기와 쓰기를 병행하면 조금 더 선명하게 보관할 수 있다.좋은 추억은 오래 기억하고 싶은 법이다. 

다만 서평 쓰기는 시간과 품이 든다. 그럼에도 써야 한다. 우리가 책을 읽는 이유 중 하나는 미성숙한 인간이 더 나은 인간으로 나아가는 방법의 하나이고, 쓰기는 이러한 ‘나아감’을 가속 시키기 때문이다.

적어도 앞으로 누군가 “그 책? 그 영화 어때?”라고 했을 때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질문 質問 : 알고자 하는 바를 얻기 위해 물음(표준국어대사전)>

어떤 글을 쓰든 비슷한데, 서평도 쓰다 보면 할 말이 없어 난감한 경우가 많다. 책에서는 그에 대한 해결법으로 ‘질문’이란 도구를 제시한다. 

‘좋은 서평에는 서평가의 질문이 반드시 담겨있다. 따라서 서평 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책을 통해 문제를 설정하는 능력, 즉, 질문을 만들어내는 능력이다. 질문과 해석이 빠진 서평은 공허하다. 어떤 의미도 발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73p)

블로그나 온라인 서점의 책 리뷰, 서평을 보면 책에 대한 짧은 감상 혹은 내용 정리가 주를 이룬다. 필요에 따라 그런 글이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저자의 말처럼 ‘공허’한 느낌은 지울 수 없다. 독자가 왜 그 책을 읽어야 하는지, 책이 가지는 가치가 무엇인지, 주제가 무엇인지 등에 관한 질문이 빠졌기 때문이다. (필자가 이전 작성한 서평에도 그런 글이 보여 부끄럽다)

우리나라는 질문하지 않기로 유명하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수업시간에 질문을 던지는 학생은 눈총을 받는다. 그러한 분위기 속에 형성된 습관이 성인이 된 뒤에도 이어진다. 

하지만 책에게 던지는 질문은 누구에게도 핀잔받지 않는다. 오히려 환영받는다. 그러니 마음껏 질문을 던져보자. 글을 쓰는 사람은 물론, 읽는 사람도 생각의 지평을 열어줄 것이다.


……


서평 쓰기를 시작한 지 1달 정도 되었다. 이 글을 포함해 다섯 편의 서평을 썼지만, 여전히 키보드에 손이 가지 않고 중간중간 멈추기를 반복한다. 귀찮고 두렵다. 그래도 계속 써보려고 한다.

“명백한 사실은 이 모든 어려움을 딛고 써야만 한다는 것이다. 자꾸 써보면 진짜 쓸 수 있게 된다. 행복해도 쓰고, 슬퍼도 쓰고, 귀찮아도 쓰고, 열정이 넘칠 때도 쓰고 또 써라! 그리하여, 쓰는 자만이 맛볼 수 있는 자유의 세계로 넘어오라. 전혀 다른 세계가 펼쳐질 것이다.”(93p)

저자의 말을 스스로 증명해보고 싶기 때문이다. 많은 사람이 서평의 세계로 넘어오길 바라며 일독을 권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리를 쓰는 방법
미국추리작가협회 지음, 로렌스 트리트 엮음, 정찬형.오연희 옮김 / 모비딕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명 추리작가들이 차린 ‘글쓰기 비법’ 진수성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스터리를 쓰는 방법
미국추리작가협회 지음, 로렌스 트리트 엮음, 정찬형.오연희 옮김 / 모비딕 / 201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스터리/추리소설(이하, 큰 범주에서 보면 미스터리 소설이란 표현이 맞지만 익숙한 추리소설로 표기)에 관심있는 독자라면 책 홍보문구에  ‘에드거 상 수상’ 혹은 ‘후보’라는 단어를 많이 보았을 것이다. ‘에드거 상’은 ‘대거상’ ‘일본추리작가협회상’과 함께 전세계 대표적인 추리소설 문학상이다. 그중 에드거상은 1954년부터 시작되어 매년 4월 시상하며, ‘미국 추리작가 협회상’이라고도 불린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미국추리작가 협회에서 선정하며 ‘에드거 앨런 포’의 흉상을 수여한다. 역대 수상자로 애거서 크리스티(1955), 엘러리 퀸(1961), 존 딕슨카(1963), 조르주 심농(1966), 앨프리드 히치콕(1973), 스티븐 킹(2007) 등이 있다. 



<작가는 왜, 어떻게,언제 쓰는가?>

쓰고, 쓰고, 또 쓴다. 작가의 머릿속에 아무리 놀라운 아이디어가 있더라도 그걸 사려고 돈을 낼 사람은 없다. 시간이 있어서 책을 쓴 사람은 아무도 없다고 확신한다. (윌로 데이비스 로버츠) 281P 


[미스터리를 쓰는 방법](1976)은 미국추리작가협회(이하 MWA: Mystery Writers of America)에서 발간한 책이다. 창립(1954년) 멤버였던 로렌스 트리트는 MWA소속 작가들을 인터뷰하여 미스터리 쓰는 법에 관한 다양한 답변을 들었고 이를 편저하였다.  아쉽게도 국내에는 번역 된 책이 없어 읽어 볼 수 없지만, 대단한 작가임에는 틀림없다.

책은 크게 3부로 나눠져있고, 28장에 걸쳐 21명의 이야기를 담았다.(책 전체에 언급된 작가가 아닌 각 장 별, 중복 된 필자를 제외하고 카운팅했다) 안타까운 점은 출간 된지 45년이 넘은 책이라 소개 된 저자의 작품 대부분이 번역되지 않았다. 그나마 추리소설에 관심 있다면 알만한 렉스 스타우트, 스탠리 엘린, 헬렌 매클로이, 에드워드 D. 호크의 책은 번역 되었으니 한번쯤 읽어 보는 걸 추천한다.

독자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부분은 ‘왜 나는 글을 쓰는가?’이다. 현실적으로 돈을 벌기 위해 쓴 다는 작가도, 글쓰기가 자신의 삶이고, 숙명이라서 쓴 작가, 작가이기 때문에 쓴다고 말하는 작가도 있다. 어떤 책을 읽을 때 단편적인 감상이 아닌 ‘왜 작가가 이런 작품을 썼을까'에 대한 심연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라 흥미롭게 읽힌다.

또한 역사와 시대상을 알수 있다. 좋아하는 사람이 생겼을때 그 사람의 다양한 점을 알고 싶은 것 처럼, 추리소설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자연스럽게 작가들이 들려주는 생생한 목소리가 반갑게 느껴진다. 어떻게 추리소설이 발전했고, 어떠한 시대를 거쳐 변화되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왜 이렇게 나눴지?>

책이 3부로 나뉘어 있다고 했는데, 기준이 모호한 점은 아쉽다. 굳이 따지자면 1부는 소설쓰기의 기본요소, 2부가 글쓰기 및 추리소설의 큰 틀, 3부가 글쓰기 세부항목인데 좋게말하면 어느 부분부터 읽어도 이질감이 없다. 이는 독자의 기호에 따라 판단이 갈릴 것 같다.

또한 책에서 언급한 작품을 공부 하려면 원서(그나마 영어)를 봐야하고 작가들이 말하는 법률이나 문화상식 차이도 큰데, 번역본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할 부분이다. 

그래도 내용은 아주 알차다. 추리소설 쓰기에 고민인 사람이라면 어느 부분을 펼쳐도 도움 될 조언이 수두룩하다. 플롯, 서스펜스, 대화, 문체, 퇴고 등 추리소설을 쓰며 막히는 부분이 있다면 해당 장을 펼쳐보는 걸 권한다.



<최고급 뷔페라도 모든 음식을 먹을 순 없다>

책의 서두인 ‘시작하며’ 부분을 쓴 로렌스 트리트와 ‘역자후기’를 쓴 정찬영이 공통적으로 말한 것은 ‘책을 읽으면 여기저기에서 작가들의 상충되는 방법과 접근법을 주장한다’이다. 당연하다고 할까 완벽한 작가, 책을 쉽게 쓰는 방법 따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100명의 작가가 있으면 100명의 방법이 존재할 지도 모른다. 

중요한 것은 내게 어울리는, 도움이 될 법한 조언을 실천 해보는 것이다. 그리고 나에게 맞다면 체화한다. 반대의 경우, 하지 않으면 된다. 익숙해지면 또 책을 펼쳐 반복한다. 왕도는 없다. 갈림길만이 존재할 뿐이다. 선택은 당신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퓨처리스트 - 미래의 불안을 이겨내라, 원하는 미래를 설계하라
브라이언 데이비드 존슨 지음, 김지현 옮김 / 로크미디어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를 설계하는(경우의 수) 조금은 구체적인 방법. 듣기 좋은 말로 범벅 된 자기계발서보다 확실히 낫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