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반란의 여름 캐드펠 수사 시리즈 18
엘리스 피터스 지음, 김훈 옮김 / 북하우스 / 202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작년, 가장 재미있게 읽었던 역사 추리소설 <캐드펠 시리즈>.


중세의 혼란 속에서 인간 군상과 따뜻한 시선을 섬세하게 그려낸 이 작품은 한 마디로 마스터피스다. 그래서 후속권 발매 소식을 들었을 때 설렘을 감출 수 없었다. 기다림 끝에 2025년 6월, 11권~ 21권(완)이 한 번에 출간되었다. 감사하게도 나는 3기 서포터즈로 선정되었다. 덕분에 18권부터 20권까지 세 권을 미리 받아볼 수 있었고, 오랜만에 <캐드펠 시리즈>의 세계로 다시 들어설 수 있었다.


이 시리즈는 연속성이 강하지 않기 때문에 순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읽을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그래서 고민 없이 18권 『반란의 여름』을 펼쳤다. 이번 작품에서는 익숙한 슈루즈베리를 벗어나 웨일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새로운 이야기가 펼쳐진다. 평화로운 귀향길인 줄 알았던 여정이 어떻게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이어질지 책장을 넘기는 내내 긴장과 설렘이 교차했다.



<웨일스로 떠난 캐드펠, 시리즈의 색깔이 바뀌다>

역사 추리소설 『반란의 여름』은 <캐드펠 시리즈> 18번째 작품으로 익숙했던 슈루즈베리를 벗어나 이번엔 캐드펠의 고향인 웨일스를 무대로 삼는다. 새로운 공간은 그 자체로 신선한 긴장감을 선사하고 웨일스 특유의 역사와 문화가 작품의 분위기를 완전히 바꿔 놓는다.


이번 권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추리 요소의 비중이 줄어들고, 역사적 배경과 시대의 갈등이 더 깊게 다루는 점이다. 웨일스 왕과 동생의 권력 다툼, 외세인 덴마크인들의 개입, 교회와 세속 권력의 충돌이 사건의 중심을 이루며 살인사건조차 이 거대한 시대 흐름의 일부로 녹아든다. 그만큼 캐드펠의 역할도 변한다. 날카로운 추리로 사건을 해결하던 그가 이번 작품에선 냉정한 관찰자이자, 시대를 통찰하는 시선으로 이야기에 깊이를 더한다.



<인간의 선택이 만든 갈등과 이야기>

이번 작품을 끌고 가는 가장 큰 힘은 '사람'이다. 특히 캐드펠의 시선은 이번에도 인간의 복잡한 내면을 섬세하게 비춘다. 포로로 잡혀 있는 상황에서도 그는 당황하거나 흔들리지 않는다. 오히려 사람들의 말과 행동을 차분히 관찰하며,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진심을 읽어낸다. 또 한 명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헬레드다. 원치 않는 결혼, 강요된 수녀 생활 대신 자신의 삶을 선택하기 위해 떠난 그녀의 여정은 중세 여성의 현실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단순한 반항을 넘어 스스로 원하는 길을 찾으려는 헬레드의 용기는 이번 이야기의 핵심 플롯이다.


웨일스 왕 오웨인과 동생 카드왈라드르의 갈등도 인상 깊다. 혈육이라는 이름 아래 감춰진 욕망, 권력 다툼, 그로 인해 무너지는 신뢰와 관계는 중세의 혼란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반란의 여름』은 시대의 소용돌이 속에서 사람들의 선택이 어떻게 갈등을 만들고, 그 갈등이 다시 인간을 흔드는지를 치밀하게 보여주는 작품이다.



---



익숙했던 슈루즈베리를 떠나 웨일스로 무대를 옮긴 <반란의 여름>은 그 자체로 신선한 변화였다. 평소보다 역사적 배경과 정치적 갈등이 더 깊이 녹아들어 색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었다. 캐드펠 수사의 냉철한 시선과 인간적인 면모는 여전했고, 새로운 공간이 주는 낯섦이 긴장감을 조성했다.


이번 작품은 특히 인물들의 심리와 갈등이 돋보였다. 원치 않는 결혼을 거부하고 자신의 삶을 선택한 헬레드, 권력을 둘러싸고 대립하는 형제들, 그 속에서 사람들의 선택을 조용히 지켜보는 캐드펠까지. 모두가 각자의 사정과 욕망을 안고 살아가는 모습이 현실적이다.


자연스럽게 다음 이야기가 궁금해진다. 캐드펠은 또 어떤 사람들과 얽히고, 어떤 진실을 마주하게 될까. <캐드펠 시리즈>가 늘 그래왔듯, 다음 권도 또 다른 재미와 울림을 선사해 줄 거라는 믿음으로 19편으로 넘어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합리적인 미스터리를 쓰는 법
나카야마 시치리 지음, 민경욱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협찬도서


작가는 크게 두 부류로 나뉜다.


책 한 권을 내는 데 아주 오래 걸리는 사람과 쉬지 않고 책을 내는 사람. 전자는 퓰리처상을 받은 도나 타트(10년에 1권씩 책을 내기로 유명)가 있다. 후자는 스티븐 킹, 히가시노 게이고, 나카야마 시치리가 있다. 이중 48세로 가장 늦은 나이에 등단한 게 나카야마 시치리이다.


적은 나이가 아님에도 저자는 등단하자마자 쉬지 않고 소설 쓰기를 이어왔는데, 2010년 『안녕, 드뷔시』를 시작으로 2025년 기준 77권이 넘는 책을 썼으니 엄청난 속도라 할 수 있다. 놀라운 점은 이렇게 다작을 하면서도 대부분의 작품이 베스트셀러에 올랐다는 것이다. 그런 인기에 힘입어 국내에도 <미사키 요스케 시리즈>, <미코시바 레이지 변호사 시리즈>, <연쇄 살인마 개구리 남자 시리즈>, <비웃는 숙녀 시리즈>, <이누카이 하야토 형사 시리즈> 등이 번역되었다.



<추리소설 쓰기의 어려움을 속 시원하게 긁어드립니다>

『합리적인 미스터리를 쓰는 법』는 한 마디로 프로페셔널의 끝판왕을 보여주는 일본 추리소설 작가 **나카야마 시치리의 '소설 쓰기 꿀팁 모음집'이다.** 기본적으로는 추리/미스터리 소설 작가를 꿈꾸는 분에게 큰 도움이 될 내용이 많은데, 자신의 작품에 미스터리 요소를 넣고 싶은 분이나 프로 작가의 마음가짐을 배우고 싶은 분에게도 유용하다.


목차를 보면 알 수 있는데 자세한 작법서라기 보다는 '원 포인트 레슨' 느낌의 소설 쓰기 책이다. 그 덕에 가독성이 상당히 좋은데, 마음먹고 읽으면 몇 시간 만에 다 읽을 수 있다. 한 번이라도 소설을 써본 사람이라면 고민했을 법한 부분을 속 시원하게 긁어주는 게 포인트인데, 작가 지망생이자 나카야마 시치리의 팬으로서 다방면에서 감탄하며 읽었다.


<프로 중의 프로>

다작으로 유명한 나카야마 시치리 작가는 하루에 몇 시간이나 글을 쓸까? 정답은 17시간 15분이다. 몇 년 전 일본의 모 유튜브에 나와 밝힌 자신의 하루 일과다. '설마 사람이 이렇게까지 글을 쓰겠어....'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합리적인 미스터리를 쓰는 법』을 읽어보면 결코 저자의 말이 과장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참고로 원서 『超合理的!ミステリーの書き方』가 2024년 9월에 나왔으니 저자의 소설 쓰기 루틴은 현재 진행형으로 보인다.


나카야마 시치리의 작가로서의 자긍심과 프로페셔널함을 느낄 수 있는 대목이 책 곳곳에 있다.


작가가 쉬운 방법으로 편하게 가려 하면 독자는 지루하죠. 작가가 쓸 때 편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114쪽


하루에 반드시 원고지 25장을 씁니다.(중략) 물론 매일 반드시 25장을 쓴다는 건 아닙니다. 플러스마이너스 3장이죠. 140쪽


데뷔 전, 지금처럼 에너지 음료가 많지 않았던 13년 전에는 컴퍼스 바늘로 발바닥을 찔러 졸음을 쫓았습니다. 198쪽


이외에도 저자는 책 속에서 편집자와 잘 교류하는 방법, 독자를 실망시키지 않는 방법 등 작가로서 살아남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음을 쉴 틈 없이 어필한다. 자칫 자기자랑처럼 보일 수도 있는 부분인데, 그렇게 느껴지지 않는 건 저자가 그만큼 '작가'라는 직업에 긍지를 느끼고 있고 작가로서 평생 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


아쉬움이 없는 건 아니다. 정신론에 입각한 일부 조언, 조금 더 디테일한 요소를 알려줬으면 어땠을까 하는 부분은 분명 단점이다. 그럼에도 일본 추리소설 작가 나카야마 시치리의 '소설 쓰기 꿀팁 모음집' 『합리적인 미스터리를 쓰는 법』는 현역 작가, 작가 지망생은 물론 저자의 팬에게도 선물 같은 책이다. 글쓰기 팁 외에도 저자가 자신의 소설을 집필하며 있었던 썰을 푸는 부분에서 팬심이 상승한다.


얼마 전 올렸던 나카야마 시치리의 『비웃는 숙녀』 서평에서도 밝혔듯이 나는 저자의 책을 다수 가지고 있다. 그런 만큼 이 책이 더 흥미롭고 유익했다. 원래 작가들의 글쓰기 조언 책, 집필서 등을 읽고 독자가 100% 만족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추리소설에 관심 있고, 나카야마 시치리의 작품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분명 이 책이 아주 높은 확률로 마음에 들 것이다.


<참고 자료>

1. 위키피디아, 나카야마 시치리

2. BookLink, インタビュー『護られなかった者たちへ』『境界線』(NHK出版)/中山七里氏に聞く

3. 아마존 JP, 『超合理的!ミステリーの書き方』

4. bookmeter, 『超合理的!ミステリーの書き方』

5. 유튜브 有隣堂しか知らない世界, 【どんだけ稼いでるの?】職業作家の1日ルーティン ~有隣堂しか知らない世界0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 - 거장의 재발견, 윌리엄 해즐릿 국내 첫 에세이집
윌리엄 해즐릿 지음, 공진호 옮김 / 아티초크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책을 고를 때 자주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믿을 만한 작가의 추천 책을 읽는 것이다.


돈을 받고 쓴 적당한 추천사는 제외하고 진심을 다해 추천하는 책, 팬임을 자처하며 소개하는 책은 대부분 만족도가 높다. 스테디셀러 『자기만의 방』으로 잘 알려진 버지니아 울프가 8개월에 걸쳐 해즐릿의 방대한 전작을 읽고 사후 100주년 기념 에세이를 썼다는 책은 당연히 믿음직하다.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는 1800년대 당대 최고의 문장가이자 에세이스트로 불렸던 윌리엄 해즐릿의 국내 첫 번역본이다. 뛰어난 문학 비평과 에세이를 남긴 그는 철두철미하고 급진적 정견 때문에 보수주의자들로부터 공격받았는데,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조금도 굽히지 않은 것으로도 유명하다. 


<감정을 들여다볼 수 있는 용기>

윌리엄 해즐릿의 에세이집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는 제목처럼 우리가 기피하는 감정을 깊숙이 파고든다. 장강명 작가의 추천의 말, 버지니아 울프의 서문을 제외하고 6편의 에세이를 담고 있는데 제목부터 날카롭다.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 <죽음의 공포에 관하여>, <질투에 관하여>, <비위에 거슬리는 사람들에 관하여>, <학자들의 무지에 관하여>, <맨주먹 전부>.

자칫하면 투정을 부리거나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소재인데, 해즐릿은 솔직함으로 이를 돌파한다. 포장하지 않고 오롯이 그 감정을 들여다보고 우리가 왜 그런 말과 행동을 하는지 논리적이면서 동시에 위트 있게 설명한다. 책을 읽는 내내 웃다가도 뜨끔한 경험을 한 건 참으로 오랜만의 일이었다.


<밑줄. 그리고 또 밑줄>

최근 내가 독서를 하며 가장 많이 신경 쓰는 부분은 막연하게 밑줄을 긋거나 포스트잇 붙이지 않기이다. 그런데 추천 에세이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 도저히 참을 수 없었다. 공감 가는 문장 · 반성하는 문장 · 배우고 싶은 문장이 쉴 틈 없이 등장해서 형광펜을 손에서 놓을 수 없었다. 

괜히 1800년대 당대 최고의 문장가이자 에세이스트로 불린 게 아니구나 하고 납득했다. 아마 많은 독자가 나처럼 밑줄을 그으리라 짐작한다. 도대체 이 책을 읽고 와닿는 문장이 없다면 어떤 책에서 그런 감정을 느낄 수 있을까?


한 명의 작가 지망생으로서 『혐오의 즐거움에 관하여』처럼 뛰어난 책을 만나면 질투심이 생긴다. 그런데 이마저도 이 책에 실린 에세이 <질투에 관하여>를 읽으며 부질없음을 느꼈다. 모두가 행복과 쾌락을 찾는 시대다. 반대로 어둡고 불편한 감정은 외면하려 한다. 하지만 그 또한 인간이 가진 감정이다.



독도 잘 쓰면 약이 된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외면하는 감정도 제대로 알고 다스리면 오늘보다 더 나은 내일을 위한 발판이 된다. 윌리엄 해즐릿이란 200년 전의 시니컬한 에세이스트에게 마음껏 조언을 구하자.


(아티초크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 제텔카스텐 - 스쳐 지나가는 아이디어를 붙잡는 가장 확실한 방법
데이비드 카다비 지음, 김수진 옮김 / 데이원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는 수많은 메모법이 있다.



나 또한 여러 가지를 테스트해보았다. 하지만 제대로 정착한 건 없다. 꾸준히 하지 못한 내 자신이 가장 큰 문제겠지만, 한편으론 효용성을 느끼지 못했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다. 최근 관심을 가진 건 ‘제텔카스텐’이다.



독일어로 ‘메모 상자’를 뜻하는 제텔카스텐은 실제로 여러 학자와 작가들이 사용하는 메모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자신이 접한 정보나 떠오른 아이디어를 키워드로 분류 정리하는 방식인데, 메모가 쌓일수록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시너지가 나는 방식이라고 한다.




자기개발서 『디지털 제텔카스텐』은 베스트셀러 《시간 관리 대신 마음 관리: 창의력이 중요한 경우의 생산성 Mind Management, Not Time Management: Productivity When Creativity Matters》와《출발을 위한 마음가짐: 미루는 것을 멈추고 창작을 시작하라The Heart to Start: Stop Procrastinating & Start Creating》의 작가 데이비드 카다비의 저서다. 국내에선 『해커를 위한 디자인 레슨』 이후 두 번째 번역서다.



<디지털 제텔카스텐 실전 활용법>

자기개발서 『디지털 제텔카스텐』 시중에 출간된 제텔카스텐 관련 책 중 가장 얇다. 전체 분량은 130쪽인데 핵심만 추리면 60쪽까지 정리할 수 있다. 이렇게만 보면 배울점이 있을까하는 생각이 들 수 있다. 하지만 그만큼 불필요한 내용은 제외하고 저자의 실제 노하우를 담았다는 큰 장점이 있다.



총 16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1~6장에서 제텔카스텐이 무엇인지,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단점이 무엇인지 설명하고 7~16장에서 어떤 매체를 활용하여 제텔카스텐을 구현할지, 그리고 저자가 어떤 방식을 활용하고 있는지 설명한다. 



<실천은 나의 몫>

전체 목차 중 핵심이 되는 건 9장 ‘제텔카스텐의 해부학’과 10장 ‘독서법’이다. 제텔카스텐 대표적 개론서인 숀케 아렌스의 『제텔카스텐』의 경구 구체적인 방안이 많지 않아 아쉬운 독자들에게 특히 도움이 될 내용이다. 데이비드 카다비 저자가 어떻게 임시메모 · 문헌메모 · 영구메모를 분류하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책을 읽고 그걸 다시 글감으로 정리하는지 순서대로 설명한다. 



물론 저자와 똑같이 실천할 필요는 없다. 제텔카스텐은 자유도가 높은 메모 방식이기에 여러 사람의 방법을 참고해 나만의 방식을 만드는 게 핵심이라고 생각한다. 직접 실천하며 내게 맞는 걸 장착하자.




이 책은 ‘제텔카스텐’ 관련 책 중 2024년 7월 기준, 최신간 도서다. 국내에선 아직까지 생소한 개념이기에 관련 책이 많지 않아 여러모로 반가운 책이다. 제텔카스텐에 대한 공부를 시작한지 한 달도 되지 않은 입문자이지만 기존의 메모법보다 훨씬 글쓰기에 특화된 방식이란 걸 느끼고 있다. 이걸 어떻게 활용할지는 결국 사용자의 노력과 역량에 달려있다. 생산적인 메모법에 관심 있는 모든 분에게 이 책을 권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난생처음 독서 모임 - 혼자도 좋지만, 혼자만 읽기는 좀 허전해서 난생처음 시리즈 7
김설 지음 / 티라미수 더북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나의 주요 관심사 중 하나는 ‘독서모임’이다.

자연스레 관련 책을 자주 펼친다. 온라인 서점을 검색하니 생각보다 다양한 책이 출간되었다. 독서모임 운영하는 법 · 독서모임으로 돈 버는 방법 · 독서모임 에세이 등 각양각색의 주제로 쓰인 책이 존재했다. 그중 내 관심을 사로 잡은 건 독서모임 에세이다. 왜 사람들이 독서모임을 개최하고 참석하는지 궁금했다.

『난생처음 독서모임』은 80대까지 독서 모임을 하고 싶은 소망을 품으며 사는 대로 쓰고 쓰는 대로 살고 있는 김설 작가의 책이다. 『사생활들』(꿈꾸는 인생, 2021), 『다행한 불행』(책과 이음, 2023), 『오늘 나는 너의 눈치를 살핀다』(타래, 2024) 등 몇 년 사이 꾸준히 책을 출간하고 있는 저자는 이번 책에서 오랜 기간 독서모임을 운영하며 겪은 일과 책에 대한 생각을 정리해 펴냈다.

<독서모임에 관심 없던 사람이 마음이 바뀐 이유>
이 책을 읽으며 든 생각은 ‘책 좋아하는 사람의 마음은 대부분 비슷하구나’였다. 아래는 『난생처음 독서모임』을 읽으며 밑줄 친 부분 중 일부다.

1. 나는 원래 책 모임을 좋아하지 않았다. 책 읽을 시간도 부족한데 그 시간에 다른 책을 더 읽는 게 낫지 모여서 무슨 할 이야기가 그렇게 많다고 정기적으로 만나기까지 하나. 책을 읽은 사람들의 생각이 궁금하면 책에 관해 쓴 책을 찾아 읽으면 그만이라고 생각했다. 25쪽

2. 책을 읽겠다고 작정했다면 생활비의 얼마는 책값으로 책정하고 되도록 많이 사는 게 좋다. 30쪽

3. 다양하게 먹어 봐야 어떤 음식이 앗있는지 아는 것처럼 다양하게 읽어야만 어떤 책이 자신에게 맞는지 알 수 있다.

4. 책을 좀 읽는 사람이라면 다들 한 번씩 하는 경험이 하나있다. 이른바 ‘꽂히는 작가’를 만나는 것이다. 44쪽

5. 독서 노트가 한 권 한 권 쌓이는 가운데 독서의 깊이와 넓이가 생긴다. 125쪽

<1석 3조>
『난생처음 독서모임』은 김설 작가의 독서모임 운영기와 서평과 에세이가 담긴 다채로운 책이다. 하나의 주제를 깊이 살피고 싶었을 독자라면 실망할지도 모르지만, 책에 관한 다양한 이야기를 찍먹할 수 있다는 점에선 오히려 이득인 기분을 느낄 수 있다.

1장 ‘혼자 읽던 사람이 함께 읽는 사림이 되기까지’과 2장 ‘책을 나누고 사람에게 배우며’는 독서모임이 궁금한 분들이 보면 좋고, 3장 ‘나도 몰랐던 내가 책갈피 속에 숨어 있다’와 4장 ‘매일 깊고 넓어지기를 바라며’는 서평, 책 리뷰, 책 에세이 등에 관심 있는 분에게 추천한다. 


작은 판형에 230쪽 내외의 책이라 완독까지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는 책이다. 각 이야기별 쪽수도 5~7쪽 내외로 틈틈이 읽기도 좋다. 독자에 따라 남녀 이야기나 모임에 관한 개인적인 이야기에 대해선 불편할수도 있지만 많은 비중을 차지하진 않는다는 걸 전한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 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