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캐드펠 수사의 참회 ㅣ 캐드펠 수사 시리즈 20
엘리스 피터스 지음, 김훈 옮김 / 북하우스 / 2025년 6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20권에 이르는 긴 여정을 마무리하는 작품, 『반란의 여름』은 캐드펠 시리즈의 마지막 장편소설이다.
수도사이자 약초사, 탐정이자 전직 병사로 활약해온 캐드펠 수사의 삶은 이번 편에서 마침표를 찍는다. 이전까지는 늘 타인의 억울함을 풀어주고 사건을 해결하는 데 집중했다면 이번만큼은 자신의 과거와 마주하며 가장 인간적인 선택을 한다. 그리고 이 선택이야말로 시리즈의 피날레를 장식하기에 가장 적절한 결말이라는 생각했다.
‘완결’이라는 단어는 흔히 끝을 의미하지만 이 시리즈에서 완결은 새로운 시작을 암시한다. 세속과 신앙, 수도사와 아버지 사이에서 갈등하던 캐드펠은 마지막 편에서 결국 자신이 진정 지켜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온몸으로 증명한다. 그것은 권력도 명예도 아닌 책임과 참회다.
<정의와 책임, 시리즈 전체를 꿰뚫은 중심 축>
'캐드펠 수사 시리즈'는 인간 본성과 도덕, 정의 문제를 꾸준히 탐구한다. 수도사로서 그는 언제나 사건의 이면을 바라보고, 피의 흔적보다 감정 균열에 먼저 반응한다.『반란의 여름』 역시 이러한 시리즈의 주제를 그대로 유지하며, 동시에 한층 더 깊은 물음을 던진다. '진실을 밝히는 것'보다 '무엇을 위해 밝히는가'에 대한 이야기다.
이번 작품에서 캐드펠은 이전과 다른 위치에 선다. 타인의 억울함을 풀어주던 사람에서 자신의 죄를 고백하고 책임지려는 사람으로, 타인의 정의를 세우던 인물에서 자신의 진실을 지키려는 인물로 전환된다. 이는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가장 내밀하고 인간적인 이야기로, 독자로 하여금 '정의는 타인을 위한 것만이 아니다.'라는 사실을 일깨운다. 때로는 가장 가까운 사람을 위해서, 스스로를 위한 정의가 필요할 때가 있다.
그리고 바로 그 지점에서 '책임'이라는 단어가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수도사의 서약, 사회적 신분, 종교적 규범, 그리고 아버지로서의 역할 사이에서 그는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무엇도 정답이라고 단언할 수 없는 상황에서, 캐드펠은 자신이 책임질 수 있는 것을 선택한다. 이는 결과가 아니라 태도의 문제다. 시리즈 전체가 오랜 시간 축적해온 '책임감의 윤리'가 마침내 마지막 편에서 하나의 형태로 완성된다.
전쟁은 끝나지 않았고 모두가 행복한 결말도 아니다. 하지만 어떤 편보다 묵직하고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인간은 완벽하지 않기에 실수하고, 실수했기에 참회하며 참회했기에 다시 누군가와 마주할 수 있다. 이 단순하지만 가장 어려운 진리를 캐드펠은 삶 전체를 걸고 증명한다.
---
『반란의 여름』을 덮은 후 가장 기억에 남은 건 사건의 반전이나 서사보다, 캐드펠이라는 인물이 품고 있던 깊은 태도였다. 삶의 절반을 내려놓고 다시금 감정의 바깥으로 걸어 나가는 그의 모습은, 평범한 사람으로서 용기와 흔들림을 그 누구보다 선명하게 보여주었다. 정답이 없는 선택 앞에서, 그는 단지 자신이 믿는 것을 따랐다.
시리즈의 마지막이 유독 여운이 짙은 이유는 누군가를 구하고 어떤 진실을 밝히는 데서 끝나지 않고, 스스로를 용서하는 데까지 나아갔기 때문이다. 그 안에 담긴 흔들림, 회복, 참회는 긴 여운을 남긴다.
지금도 어디선가 자신이 품은 진심을 끝내 증명해 보이려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그들이 걸어갈 길이 늘 옳지만은 않겠지만, 그 안에 담긴 마음은 결코 헛되지 않다는 것을 캐드펠은 보여준다. 오랜 시간 함께했던 시리즈를 보내는 건 아쉽지만 아직 읽지 않은 이야기가 있다. 천천히 독파할 예정이다.
#북하우스 #캐드펠서포터즈 #캐드펠수사시리즈 #추리소설 #추리소설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