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백한 말
최민호 지음 / 황금가지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백한 말'이란 소설을 읽었다.


 좀비소설이다. 무려 한국 좀비소설이다. 요즘은 많이 알려진 장르지만, 어디까지나 외국의 경우고 아직까지 한국 좀비소설은 불모지에 가깝다. 그나마 황금가지 출판사에서 매년 ZA(zombie apocalypse) 문학 공모전을 주체 해준 덕에 조금씩 발전해나가고 있는 것 같다. 이 소설은 해당 공모전 최초로 장편 소설부문을 수상한 작품이다. 

 좀비 장르(문학과 영상)의 시작을 어디로 봐야할지는 의견이 분분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소설 리처드 매드슨의 '나는 전설이다'를 꼽는다. 이 소설을 기점으로 최초의 좀비영화 조지 로메로의 '살아있는 전설'이 만들어졌고 작가 스티븐 킹의 '셀', 맥스 브룩스의 '세계대전 Z' 등 수많은 좀비 영화와 소설이 나오기 시작했다.

 좀비가 어떤 존재이고 그 기원이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 하려면 너무 복잡하기에 우리가 가지고 있는 좀비의 이미지에 관해 생각해보자. 일단 한번 죽은 존재이다. 그리고 다시 살아난다. 살아났지만 의지라고는 식욕밖에 없다. 그래서 '식인'을 행하게 된다. 바로 이 부분이 우리가 좀비장르에서 느끼는 공포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천적이 없다. 동물들 중에서도 신체능력이 약한 편에 속하지만 도구를 사용할 줄 알기에 상위 포식자가 되었다. 그런데 좀비는 다르다. 같은 인간이고 오로지 인간을 먹기 위해 달려온다. 그리고 물어 뜯는다. 생살이 씹히고 뼈가 바스러지는 고통을 겪은 뒤 자신도 그러한 존재가 된다. 끔찍한 일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사람들은 이러한 좀비 장르상의 공포에 익숙해졌다. 이에 2000년대 들어 좀비장르는 크게 두 부류로 진화했다. 하나는 영화 '레지던트 이블'류의 액션 좀비물이고 하나는 미드 '워킹데드' 류의 심리 좀비물이다. 전자의 경우 좀비가 무척 쎄다. 뛰는 건 기본이고 다양한 형태로 진화하여 인간을 학살해나간다. 그런데 주인공은 더 쎄다. 칼, 총 등을 이용하여 때려잡는다. 스타일리쉬 하다는 말이 어울리는 좀비영화다.

 후자의 경우 좀비가 퍼진 세계에서 살아남은 인간들끼리 협동하고 배신하는 과정을 그린 인간군상극이다. 좀비 자체가 강하지는 않지만 무리지어 다니기에 인간들도 뭉치지 않으면 살아 남을 수가 없다. 그러한 과정에서 벌어지는 상황을 묘사한 것이 포인트다. 

 창백한 말의 경우 후자에 속한다. 심리 좀비물이다. 화려한 액션도, 좀비를 때려잡는 주인공도 없지만 개인과 개인, 개인과 기업-국가 사이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을 날카롭게 그려낸 작품이다. 

 소설은 총 19장으로 나뉘어져 있고, 각 장에는 소제목이나 날짜가 표기되어 있지 않다. 현실감을 부여하기 위해 날짜를 표기하는 장르소설도 많은데 이 책은 그러한 것들을 뺌으로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준다. 날짜 하나 뺐다고 그런 느낌이 들까 싶지만 날짜가 없음으로 인해서 각 장으로 나뉜 이야기는 하나의 큰 덩어리가 된다. 

 그리고 이 모든 것은 이 소설이 잘 쓰였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플롯은 물론이고 장면묘사와 결말까지 말 그래도 손에 잡으면 놓을 수 없는 책이다. 

 무엇보다 눈길이 갔던 부분은 '면역자'의 존재였다. 많은 좀비 장르에서 인간은 좀비에게 물리면 좀비가 된다. 간혹 백신의 단서가 되는 존재로써 드물게 면역자가 나오기도 하지만 이 책에서는 면역자가 흔하다. 그렇기 때문에 비면역자와 면역자 간의 계급이 나뉘고 비면역자는 인도의 수드라, 중세시대의 노예처럼 면역자들을 위해 일하고 생활한다. 거기다 예방약을 먹지 않으면 좀비가 되기 때문에 얼마 안 되는 돈을 벌기 위해 끊임없이 일 해야한다. 

 이러한 괴리에서 오는 분노와 억울함이 이 책을 읽게하는 원동력이다. 그리고 생각하게 만드는 힘이다. 좀비문학이라고 단순히 넘어갈 것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와 그 계급이 올바른 것인가, 잘못된 부분은 없는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우리는 사람이다. 나 자신이 아닌 타인을 도울 줄 아는 존재이다. 그러한 사실을 잊는 순간 우리는 좀비와 다를 바 없는 존재가 된다. 화려한 액션은 없지만 좀비문학으로도 얼마든지 순문학 못지않은 생각거리를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일독을 권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