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가 반짝이는 계절
장류진 지음 / 오리지널스 / 2025년 2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았습니다.
나는 친구가 적다.
한때는 카카오톡 친구 목록이 가득하면 좋은 줄 알았다. 드문드문 안부를 묻고, 생일이 되면 기프티콘을 주고받으며 내가 잘 살고 있다고 착각했다. 하지만 나이를 먹으며 그게 얼마나 공허한 일인지 깨달았다.
요즘 내가 연락하고 지내는 친구는 손에 꼽을 정도다. 대학생 때 비하면 초라한 수준이다. 그럼에도 내가 행복한 건 나누는 대화 하나하나가 메아리처럼 되돌아오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가 반짝이는 계절』은 2018년 창비신인소설상을 받으며 작품 활동을 시작한 장류진 작가의 첫 여행 에세이다. 저자는 소설 『일의 기쁨과 슬픔』으로 수많은 직장인의 공감을 불러일으켰고, 연이어 『달까지 가자』, 『연수』를 펴내며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장류진 작가의 여행 에세이 『우리가 반짝이는 계절』의 원래 제목은 <눈 녹은 뒤 떠난 여행>이었다. 2024년 6월 17일부터 '밀리의 서재'에서 연재를 시작해 20화로 마침표를 찍었다. 책은 연재분을 포함해 그 이후의 이야기까지 담고 있다. 책 발매 이후 온라인 서점 리뷰를 보니 연재 당시 2.2만회의 조회수를 기록한 만큼 책이 나오기를 애타게 기다린 독자가 많았던 것 같다.
<나를 진심으로 응원해 주는 사람>
『우리가 반짝이는 계절』은 장류진 작가의 핀란드 여행기다. 대부분의 여행 에세이가 작가 혼자 떠난 여행인 반면 이 책은 장류진 작가의 절친과 떠난 여행기를 담고 있다. 두 사람은 2008년 교환학생으로 처음 핀란드 땅을 밟았다. 보통의 경우 그렇게 맺은 인연은 귀국과 함께 흩어진다.
하지만 두 사람은 달랐다. 오랫동안 인연을 이어왔고 15년 후 다시 핀란드를 방문한다. 책을 읽으며 가장 많이 느낀 건 장류진 작가가 참 좋은 사람이란 점이다. 그리고 그녀의 절친 '예진' 또한 좋은 사람이었다. 서로를 배려할 줄 알며 호의를 진심으로 고마워할 줄 아는 사람들이었다.
장류진 작가의 이런 성품이 잘 드러나는 건 책의 후반부 '에필로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세 번째 책 『연수』의 온라인 서점 예약 판매 페이지가 열리는 날이었다. 책이 나오지도 않았는데 이런 악플이 달린다. '기대하고 읽었는데 그저 그런 하급 소설이라 대실망. 얘는 이제 『일의 기쁨과 슬픔』 같은 작품을 못 쓰는 듯.'
깊은 밤, 그녀가 할 수 있는 일은 없었다. 그런데 얼마 지나지 않아 뜻밖의 댓글이 줄줄이 달린다. '이건 뭐죠? 책이 아직 인쇄되지도 않았는데 악평을 남기셨네요?', '예약 판매 중인데 어떻게 책을 읽으셨다는 건가요? 타임머신이라도 타셨나요?'. 장류진 작가의 친구들이었다. 악플을 단 사람은 다음 날 아침 스스로 글을 지웠다.
<새로운 버킷리스트. 핀란드 여행>
이 책의 주제는 '친구, 우정, 인연'으로 볼 수 있는데, 소재인 여행 에세이 또한 결코 식상하지 않다. 한 번도 가본 적 없는 핀란드라는 북유럽의 먼 나라에 대한 환상을 심어주기 충분하다. 마침 올 초 재밌게 보았던 tvN의 여행 예능 <핀란드 셋방살이>도 떠올라서 더욱 몰입되었다.
책을 읽으며 알게 된 건 핀란드의 커피 원두 소비량이 전 세계 1위라는 것이다. 무려 12kg에 달하는데, 2위인 노르웨이가 9.9kg이고 우리나라는 1.8kg에 불과했다. 이외에도 핀란드에는 무려 20만 개의 크고 작은 호수가 있다는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구글맵 켰다. 물을 좋아하는 내게 이처럼 찰떡인 나라는 없다는 생각에 버킷리스트 여행지 목록에 추가했다.
『우리가 반짝이는 계절』을 선물하기 좋은 책이라고 말한 만큼 온라인 서점에서 3권을 주문했다. 책을 좋아하는 나의 오랜 친구 3명에게 선물하기 위해서다. 2년 전, 제목에 이끌려 우연히 손에 든 『일의 기쁨과 슬픔』으로 장류진 작가를 처음 만났을 때 깨달았다. '아... 나는 이 사람의 팬이 되겠구나.'
책의 에필로그에는 『연수』의 첫 번째 북토크 이야기가 실려있다. 김하나 작가는 장류진 작가에게 이런 질문을 던진다. "작가님은 10년 뒤에 자신이 어떤 모습일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여기에 대한 답변은 책에 실려 있지만, 내가 대신 답변하자면 이렇게 말하고 싶다. "더 좋은 이야기를 생각하고, 따뜻하지만 현실적인 문장으로 우리를 위로하는 사람이 되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