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과학/예술 주목 신간 작성 후 본 글에 먼댓글 남겨 주세요

[신음악의 철학]

 말러를 듣는 사람으로써 한번쯤 읽어보고 싶었던 아도르노의 신음악의 철학. 철학자 아도르노는 음악에 대해 특히나 관심이 많았다고 하는데, 게중에 말러나 쇤베르크 일당(베베른, 베르크) 혹은 스트라빈스키에 대한 평을 많이 남겼다고 한다. 한분야에 전문가가 되기도 쉽지 않은데 음악의 철학적 접근이라니. 개인적으로는 음악은 머리 이전에 감각으로 듣고 받아들이는 언어라고 생각하는데, 그게 기표와 기의로 이루어진 일상언어로 어떻게 해석되고 설명되는지가 조금은 궁금하다. 주위의 몇몇 사람들이 도전했으나 쉽지 않다고들 이야기하는 책이다. 선정되었으면 좋겠지만서도 선정되었다고 마냥 기쁘지만은 않을 책. 아마 읽게된다면 그 한달은 쉽지 않을 듯.




 [불국사에서 만난 예수] 

 사찰에서 만난 예수라니? 이땅에 기독교가 전래된 것이 조선 후기 정도로 알고 있는 사람도 많은데, 실은 신라시대에 이미 '경교'라는 이름으로 당나라를 통해 전해졌다. '네스토리우스교'라고 불렸던 '경교'는 서기 300여년에 이단으로 박해받은 네스토리우스가 아랍, 중앙아시아, 아프리카로 이동하면서 전해진 기독교의 한 갈래이다. 중앙아시아를 거쳐 당나라에 전해지게 되는데 당나라에서는 부유층을 중심으로 성행했었다고 전해진다. 기득권 층을 중심으로 전해진 경교는 그 뿌리가 튼튼히지 못하여 중국에서 힘을 잃어버리고 말지만, 그 당시에 당나라와 교역하던 신라에서도 포교활동을 했다고 전해진다. 이 근거로 불국사에 새겨진 돌십자가를 근거로 든다고 하는데, 글쎄. 자세한 내용은 책을 통해서 확인해보면 좋을 것 같다. 이제 곧 성탄절이기도 해서 기독교에 역사에 대한 책을 골라보았다.


[커뮤니티 디자인]

개인적으로 일본의 문화와 그 문화가 만들어지는 시스템을 사랑한다. 우익들이 설치는 꼴과 별개로 말이다. 확실히 일본은 배울 것이 많다. 이미 우리나라의 체계가 일본을 모델로 만든 것들이 많기 때문에, 일본의 사례는 우리 사회의 미래를 예측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특히 사회 전반적인 문화의 결정체인 건축은 항상 느끼는 것이지만 우리나라와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앞서있고 시사하는 바가 크다. 커뮤니티(Community)라는 것은 무엇일까. 주민들이 공통으로 이용하는 시설들을 총칭한 것으로 정의하면 아마 맞을 거라 생각된다. 서로 소통하고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형성되어야 좋은 도시, 좋은 마을이라고 할 수 있는데 문제는 실천방법이 생각보다 쉽지는 않다는 것에 있다. 요즘처럼 온라인 기반의 커뮤니티가 발달되고 있는 사회에서 특히나 그렇다. 그래서 이 책이 궁금하다. 잘 작동하는 커뮤니티를 어떻게 실현시켰는지 말이다.



[왜 우리는 더불어 사는 능력이 세계 꼴지일까?]

사실 우리나라가 더불어 사는 능력이 떨어지는 나라는 아니었다. 그 옛날 농촌에서는 두레나 품앗이 같이 노동력을 공유하는 체계가 잘 형성되어있었고, 지금도 우리네 어머니들은 지인들과 함께 김장을 담그시곤 한다. 어쩌면 오늘날 공존하는 능력을 잃어버린 것은 무한 경쟁을 기반으로한 자본주의 체제가 만들어낸 것 같다. 사실 자본주의는 효율을 높여주기는 하지만 함께 성장하고 살아간다는 '연대' 혹은 '공동체' 라는 의식은 줄어들게 된다. 상대방을 같이 나아가야할 선의의 경쟁 대상이라기보다 짓밟고 이겨내야하는 적이라는 전쟁과 같은 구도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러한 체제 안에서 대안을 찾기란 쉽지는 않다. 의식의 변화와 체제의 변화가 동시에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이 책이 어떠한 대안을 제시했는지 살펴보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