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기담]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가족 기담 - 고전이 감춰둔 은밀하고 오싹한 가족의 진실
유광수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1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근대 이전의 우리나라는 유교적 가르침을 숭상하는 국가였다. 효와 충와 같은 수직적인 인간관계를 근본으로한 이 체계는 예의와 같은 포장지로 잘 싸여져 겉으로 보기에는 군더더기 없는 상품과 같이 보였다. 그러나 그 이면에는 한정된 자원을 소수의 기득권이 차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의 의미와, 그 안에서 발생하는 억압을 숨김으로서 안정적인 사회를 만드는 목적이 숨어있었다. 


 이 책은 가족 안에 숨어있는 억압적인 구조에 대해 밝힌다. 서로에 대한 애정과 믿음으로 구성되어야할 가족 안에 숨겨진 권력구조와 욕망을 파해치는 것이다. 권력을 가진 남성의 성적 욕구를 합법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처첩제와 거기에서 발생하는 적자와 서자의 구조는 그 시대의 가족이 가진 가장 근본적인 문제 중에 하나였다. 처는 권력이 있었으나 사랑받지 못했고, 첩은 사랑받았으나 대를 잇지 못했다. 높은 사회적인 지위에 대한 욕망과 육체적인 욕망이 두개로 나뉘어 처와 첩에게 투영되었다. 분리된 두개의 자아 처첩으로 대응되어 끈임없는 갈등을 겪었고 그 두개를 동시에 취하기 위한 처와 첩의 보이지 않는 다툼이 끊임없이 계속되었다.(홍계월전, 옥루몽)


 여기서 태어난 자식들은 필연적으로 화목하지 못했을 것이다. 처의 자식들은 사랑받지 못하는 어머니를 보면서 아버지에게 실망을 느꼈을 것이고, 첩의 자식들 역시 첫째 부인에게 억압받는 자신의 어머니를 보면서 분노했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 사이에 흐르는 적자와 서자의 수직적 위계는 팽팽한 긴장감을 형성시키켰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들의 왜곡된 자아는 유교의 충이나 효와 같은 가치로 표면적으로는 봉합된 것처럼 보였지만, 그 안에는 갈등으로 가득했을 것이다. 이미 가정에서의 불합리와 수직구조를 체화했다면, 이들은 사회에서 어떠한 행동양식을 보여왔을까. (홍길동전)

 

 권력을 가진 이는 처첩을 두고 이를 통해 왜곡된 가족관계를 만들어냈다면, 일반 서민들 다른 방식으로 왜곡된 가족관계를 만들어냈다. 원앙새 한쌍과 같이 아름다운 가정을 꾸린 사람도 있었겠지만, 남존여비를 기반으로한 유교사상은 서로 소통하는 가족을 만들어내기 보다는 가부장 중심의 작은 독재사회를 만들었으리라 예상할 수 있다. 지금도 내려오는 부모님과는 겸상하지 않는다는 이야기는 가부장제의 수직적 위계성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겠다. 가부장의 권한에 따라 온 가족이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일반적인 가정의 모습이 아닐까 상상해본다. (흥부전, 쥐 변신 설화, 옹고집전)

 

 한편, 일찍이 과부가 된 여성들은 재가하지 못하고 자신의 욕망을 억누르며 평생을 살아가야했다. 관직에 오를 수 있는 양반의 숫자를 제한해야했기에 과부들이 재혼한다는 것은 양반의 숫자를 늘리는 일이고, 과부의 재혼은 국가적으로 억압당했다. (열녀함양박씨전)


 이러한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하는 욕망이 있었지만, 그것은 이 땅이 아닌 상상의 나라에서 실현되거나 혹은 실패하게된다. (홍길동전, 최고운전) 


 그러나 이렇게도 생각해본다. 그들이라고 가족을 사랑하지 않았을까. 아무리 구조적으로 한계가 있었다고 하더라도, 가족구성원간에 서로를 사랑하는 것은 본능에 가까운 것이니까 말이다. 어쩌면 그토록 억압적인 가부장제라는 틀을 유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가족체계가 유지된 것은 그래도 부모가 자식을, 그리고 자식이 부모를 사랑하는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그래서 가끔은 목숨을 걸고서라도 부모와 자식을 위해 희생한다. (여우누이, 심청전)


  어디선가 재미있게 들었던 이야기들이 실은 그 시대를 비추는 거울이었다. 그 거울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사람들의 이중적인 행동과 약자에 대한 억압이 드러난다. 할머니가 손자에게 해주는 재미있는 이야기 정도로만 여겨지던 전래동화가 실은 이면에 감추어진 시대상을 보여주는 거울이었던 것이다. <가족 기담>이라고 이름 붙은 이 책을 읽고 난 소감은 눈앞에서 선혈이 낭자하는 B급 공포영화의 소름끼침이라기보다, 김기덕의 영화와 같이 사회의 가장 밑바닥을 가감없이 보여주기에 느껴지는 공포스러움에 가까웠다. 아니, 당연하다고만 생각했던 현실에 대한 이면의 것을 알게 되었을때 느껴지는 무기력감에 가까울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