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토리텔링 쓰기 - 전방위 문화기획자를 위한
장상용 지음 / 해냄 / 2010년 6월
평점 :
품절
글을 쓰다보면 '어떻게' 독자에게 다가설지를 고민하게 된다. 짧은 단문이라도 글쓴이의 생각을 고스란히 전달하려면 이런저런 노하우가 필요하다. 그 방법이 꾸준한 연습의 산물인지 아니면 우연히 번개처럼 머리에 스친 직관의 산물인지는 모르지만.
이 책은 책의 제목 그대로 스토리텔링의 방법적 지침을 열거한다. 주로 열겨된 스토리텔링쓰기의 방법은 소설, 드라마, 만화, 영화 등 대중매체에 활용된 방안이다. 이 책은 스토리텔링쓰기의 이론적 분석을 담은 책이 아니다. 대중매체의 다양한 사례로부터 저자의 관점에서 뽑아낸 이런저런 방도가 대다수다.
다양한 대중매체의 사례에서 뽑아낸 스토리텔링의 지침은 그 자체로 호기심을 불러 일으킨다. 그러나 이 책은 딱 거기까지이다. 다양한 방법이라고 열거된 것들(책을 사기 전에 목차로 각 장의 제목을 보라)을 보면 서로 겹칠뿐더러 현장에서 전혀(?) 써먹을 만한 구체적 수법이 아니다. 달만 가리키지 달을 어떻게 갈지는 알려주지 않는다.
이 책에서 각 장의 끄트머리에 딸린 대중문화 종사자들의 짥막한 인터뷰가 차라리 읽을 만하다.(그러나 정말 짧은 인터뷰다. 몇 가지 질문과 답변은 2쪽을 넘어가지 않는다) 현장에서 수년간 굴러가며 일을 배운 이들이기에 더 생생하게 다가온다. 이 책을 구성할 때 어설픈 방안을 열거하기보다 대중문화 참여자들의 스토리텔링 인터뷰로 꾸몄으면 더 좋았을 책이다.
스토리텔링 쓰기를 알려주겠다고 거창하게 시작했지만 책 자체의 스토리텔링은 없는 책. 제목과 평점에 혹해 샀지만 스치며 빌려보면 더 좋을 책. "(전방위 문화기획자를 위한) 스토리텔링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