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조세희 지음 / 이성과힘 / 200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조세희 선생님이 돌아가셨다는 소식도 듣지 못한 살다 겨우 친구집에서 였나 뉴스를 보다 알았다. 향년 80세이시니 아버지보다 사신 분이었다. 선생님이라고만 생각해 그가 아버지보다 연배가 높으신 줄은 몰랐다. 아버지가 돌아가셔 한동안 세상 소식을 차단하고 있다 서점에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 사왔다. 집에 있는 알고 찾아봤지만 책장에서 찾을 없어 누군가에게 줬나 싶어 다시 샀다. 이번에 책도 읽고 나면 친구가 일하는 사무실에 생각이다.

 

아버지가 돌아가신 얘기인 것도 잊고 그의 소설 처음 장을 읽다 내용을 기억해내고 나니 읽기 힘들었지만 그래도 읽고 있다.

 

피로 쓰라는 말이 뭔지 알게 해주는 소설이다.

 

많이 울었다.

 

--


조세희 선생님을 어느 현장에서도 만날 있었다는 친구의 말을 들으며 그가 소설을 배반하지 않는 생을 살고 가셨음에 깊은 존경의 마음을 다시금 품게 되었다. 예전에 용산 참사 집회 당시 집회에 자주 나갔는데 그때 잠깐 뵀던 것도 같고, 아니면 뉴스로 봤던 것도 같은데 선생님은 계속 다른 현장에도 계셨다고 한다.

 

영수의 자살로 이야기는 마감된다. 다층적인 시선들을 넣었다.

 

가장 최근에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 떠올렸다. 재벌집과 가난한 아들의 삶을 동시에 보여주는 드라마, 재벌집 막내아들 진도준으로 살았던 생이 모두 꿈이며 윤현우 대리가 사건의 공모자임을 고백하며 이야기가 끝나는 것에 대해 많은 시청자들이 반발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나는 드라마의 끝이 좋았다. 실은 모두 윤현우와 비슷한 인생을 살기에 사람들은 드라마에서나마 진도준으로 남아있는 것을 꿈꾼다는 친구의 말에도 공감했지만, 부조리한 현실을 해결하는 키는 재벌, 혹은 이로 상징되는 돈과 권력일 수밖에 없다는 어떤 영웅주의로 드라마가 결말을 맺지 않고 현실 속에서 자기 참회 속에서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이 좋았다.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역시 다양한 계층, 은강그룹의 아들이나 술사의 아들을 함께 등장시키며 각자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세계를 그린다. 그들이 최선을 다해 이해하려고 하는 세계, 그러나 결국 영수가 살인을 저지르고 사형당함으로써 종결될 수밖에 없는 이야기.

 

가난이라는 현실, 마음과 습관을 세습하는 현실

여전히 우리는 가난 속을 서성인다. 내가 해결할 없는 가난. 이미 사회적으로 직조된 뜨개질 실의 같은 삶,

어떤 꿈을 꾸어야 할까.

 

한국 소설 권을 읽겠다면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읽으라고 얘기하고 싶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3-01-19 23: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3-02-12 22:49   URL
비밀 댓글입니다.
 

"그도 지킬 것을 가져야 돼." - P1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힘을 내, 형."
내가 말했었다.
"이건 힘으로 할 일이 아니다."
형이 말했다.
"그럼 뭐야? 용기야?" - P106

싸움은 먼제나 옳은 것과 옳지 않은 것이 부딪쳐 일어나는 거야. 우리가 어느 쪽인가생각해봐." - P106

아버지와 아버지의 아버지, 아버지의 할아버지, 할아버지의 아버지, 그 아버지의 할아버지들은 그들 시대의 성격을 가졌다. 나의 몸은 아버지보다도 작게 느껴졌다. 나는 작은 어릿광대로 눈을 감을 것이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우리의 고통을 알아주고 그 고통을 함께 져줄 사람이었다. - P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면서 생략할 수 있는 것들은 모두 여전히 글 속에 남아있고, 그건 글에 드러날 겁니다. 하지만 몰라서 생략하면 글에 구멍이 생기죠. - P136

우물은 ‘신명‘이 있는 곳이죠. 그게 무엇으로 만들어지는지는 누구도 모릅니다. 특히 자기 자신은요. 아는 건 그게 자기에게 있는지 아니면 그게 돌아오길 기다려야 하는지죠. - P138

난 늘 빙산원칙에 따라 글을 쓰려고 노력해요. 우리 눈에 보이는 부분마다 물 밑에는 8분의 7이 있죠. 아는 건 뭐든 없앨 수 있어요. 그럴 때마다 빙산은 더 단단해지죠.그게 보이지 않는 부분입니다.작가가 모르기 때문에 이야기를 생략하면, 그때는 이야기에 구멍이 생겨요. - P187

교훈적이라는 단어는 오용되고 손상된 말입니다. 《오후의 죽음》은 유익한 책이에요. - P209

플림프턴 : ... 왜 사실 그 자체보다 사실의 재현이 필요한 걸까요?

헤밍웨이 : 왜 그런 걸로 골치아파 합니까? 이제껏 일어난 일들, 있는 그대로의 것들, 알고 있는 모든 것과 알 수 없는 모든 것으로부터 작가는 창작을 통해 뭔가를 만듭니다. 그건 재현이 아니라, 살아있고 진실한 그 어떤 것보다도 진실하고 전적으로 새로운 것이며, 작가는 그걸 살아있게 하고, 충분히 잘 만들 경우에는 불멸을 선사해요. 그게 바로 글을 쓰는 이유지 알려진 다른 어떤 이유가 아닙니다. 하지만 아무도 모르는 온갖 이유인들 어떻습니까?
- P2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