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 외서부에서 존재와 무를 샀다. Being and Nothingness. 사르트르는 책 제목에 관한한 나와 상극이다. 존재와 무, 구토, 변증법적 이성 비판, 자유에의 길... 지하철에서 펴들고 읽기에는 책 제목이 너무 야하다. 

Introduction을 다 읽었다. 마치 시사 주간지를 읽는 것처럼 속도감있게 읽힌다. 그렇게 읽었다고 착각하고 있다가 잠시 책을 내려 놓고 보면 머리에 남아 있는 것이 아무 것도 없음을 깨닫게 된다. 지하철 안이다. 읽은 페이지의 두께에 흐뭇해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대학 1학년 안팎 때 한국어판 "존재와 무" 서론을 읽었던 것 같다. 그 뒤로 몇번 다시 시도를 했을 것이지만 서론 이상을 읽은 기억은 없다. 서론의 처음 몇 페이지는 그럭 저럭 읽었을 것이고, 그 뒤 페이지들은 그저 눈으로 활자를 따라 읽는 정도였을 것이다. 

사실 서론의 그 몇 페이지가 사르트르에 대한 나의 이해의 거의 전부다. 그리고 그 몇 페이지는 내게 어마어마한 영향을 끼쳤다. 지금 이 블로그에도 그 흔적이 곳곳에 남아 있다. 

예를 들면 이렇다. 본질이란 현상을 파고 들어가야 발견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다. 그것은 드러난 것들의 총체다. 프루스트가 천재라고 할 때, 그 천재는 작가로서의 탁월한 능력 따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프루스트가 생산한 것들의 총체를 뜻한다. 이는 굉장히 엄정한 윤리학을 내포한다. 그것은 변명의 가능성을 폐기한다. "그는 뛰어난 재능을 갖고 있었지만..." 이런 말은 불가능하다. "그를 돕고 싶었지만..." 이런 말도 불가능하다. "나는 원래 이런 사람이지만..." 이런 말 하지 말라! 당신의 존재란 what you are가 아니라 all you've done일 뿐이다.

나는 아직도 이 이론 근방에서 헤매고 있다. 아마 내가 무지하게 게으른 사람임을 뜻하는 것이리라. 영문판 "존재와 무"를 읽으며 나 자신의 그런 게으름, 혹은 변화에 있어 철저한 무능력 따위를 느꼈다. 부지런해야 겠다. 이 책 무지하게 두텁다. 역시 부지런해야 한다는 자각을 준다. 이 책, 숱하게 오해되고 있다고 겉표지에 나와 있다. 가짜가 되기는 정말 쉽다는 뜻으로 받아들인다. 읽지도 않은 책 표지들을 죽 나열하는 것처럼 자기비하적인 일이 또 있을까? 이런 자기비하를 일삼는 사람들은 매우 흔하다. 책의 표지를 사진으로 찍는 것은 그 책을 통독하는 것보다 훨씬 쉽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그런 사람들을 존경하지 않는다. 스피노자 말대로 추구할 가치가 있는 것은 힘들고, 힘든 만큼이나 드문 것이리라. 부지런 하자. 그런 면에서 사르트르는 존경할 만한 사람이다. 아마 사르트르가 글을 쓰던 카페에 가서 사진을 찍는 사람보다 거기 앉아서 1000 페이지 분량의 책을 써대던 사르트르가, 어떤 관점에서는 더 훌륭한 사람이리라. 이 논리의 정당화를 요구하는가? 나는 불가능하다. 반대로 내가 당신에게 당신 논리의 정당화를 요구해도 되겠는가? 당신은 나의 시선을 피하는 것 같다. 당신은 열심히 책 표지를 사진으로 찍어 올리며 "앞으로 읽을" 책이라고 말하라. 그리고 나를 피하라. 누구든, 그러므로 나도 어떤 식으로든 당신을 판단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나는 당신을 당신이 찍어 놀린 책 표지 사진으로가 아니라 what you've read로 판단하게 될 터이니까. 부지런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