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척 아이가 지난 주 수요일에 제대하였는데 이번 주 화요일에 출국하여 50일 일정으로 유럽 여행을 시작했다 한다. 11월 말경 영국에 오는데 우리 집에도 몇 칠 묵게 될 것 같다.


이 얘기를 듣고 감탄이 절로 나왔다. 제대하자마자 집을 떠나 50일간 유럽 여행이라니! 젊음이란 대단허다! 


낯설고 긴 여백을 채우는 것을 우리는 열정이라 부른다. 예컨대, 시스타나 성당 천정의 광막한 공간을 가득 채운 것은 미켈란젤로의 열정이었다. 기획, 상상력, 육체적 고투, 성당 당국자들을 적절히 다루는 정치, 스스로를 새로움에 끊임없이 열려 있도록 긴장 상태를 유지하는 것 등등... - 그래서 열정이란 말은 요즘 말로 역량이라는 말과 비슷하다. 


암튼 요즘 세상에 열정에 대해 얘기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반가운 일이다. 열정이란 다름이 아니라 이니셔티브를 취하는 것을 말한다. 문화적으로 말해서 한국은 이니셔티브를 취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많다. 모난 돌이 정을 먼저 맞는다느니, 나대지 말라라든지, 잠자코 있으면 중간은 간다든지, 특히 인성이나 윤리적 평가에 대한 광적이고 집단적인 집착을 보면 그렇다. 그래서 예컨대, 한국의 코로나 백신 정책 얘기를 들으면서 깜짝 놀라기도 했다. 다른 나라의 백신 접종 결과를 보고 문제가 없으면 백신 접종을 시작하겠다니 국가 정책의 기준이 이래도 되는건가? 불확실성의 사실성을 전제하고 스스로의 기준과 필요에 의해 주도적으로 사업을 해나가는 것이 열정이고 열정은 그 자체로서 가치를 갖는다. - 예컨대, 활기 있음은 그 자체로 가치를 갖는 것이다. 즉, 그 자체로 긍정적인 것이다.


한국의 문화적 특성을 논외로 하고 말한대도 현대의, 말하자면 사상적 분위기 역시 열정에 적대적이다. 현대적 사상가들의 눈에 주체란 이니셔티브를 취하는 존재가 아니라 구성되고 구조화되는 존재이다. 사람들은 스스로를 사회 구조의 결과물로 환원하여 이해하는데 너무도 익숙하다. 그러면 현재의 나의 실존에 내가 책임질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물론 마음 저 깊은 곳에서는 현재의 나의 실존의 상당 부분은 나의 행위들의 결과이다, 라는 자명한 명제가 울려나온다. 그러면 현대는 또 다른 처방을 제시해준다. 가스라이팅이라는 만연한 개념. 그리하여 현대인들은 자기기만적이고 음울하다. 음울하다? 이니셔티브가 열정과 역량을 의미하는 것이라면 스스로에게서 이니셔티브를 제거한 사람에게 무엇이 남겠는가? 활기없음. 


이재명 대통령과의 대화라는 프로그램을 보면서 놀란 장면이 있다. 한 2030 남성이 청년 실업 대책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이었다. "청년 실업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대기업에 노동 유연화 정책을 시행하여 청년들이 좋은 일자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자기와 동류인 성별, 세대, 지역, 학연 등의 정체성 집단에서 하소연 겸 상식처럼 주고받던 얘기를 그 정체성 집단 밖에서 하게 되면 이런 일이 벌어진다. 이니셔티브를 취하지 않는다는 것은 타자에 추종적이라는 뜻이다. 그리하여 자신의 정체성 그룹에 준거하여 사고하게 된다. 아니 그것은 사고가 아니라 무사고다. 그리하여 열정이 없는 사람은 지루하다. 스스로 무엇인가를 창출할 힘이 없기 때문에 누군가 '내것'을 더 가져가는지에 매우 매우 민감하다. 그의 세계는 좁고 재미가 없다.


스피노자는 진리는 진리와 거짓을 가르는 기준이라 말했다. 활기있음과 활기없음을 나란히 놓고 어느 것이 더 가치있는 것인가를 분석할 필요는 없다. 전자가 좋은 것이다. 그리고 전자가 드물어지는 것을 활기없음이라 한다. 활기없음을 근절하는 방법은 그 옆에 활기있음을 놓으면 된다. 열정 옆에 놓인 열정없음은 얼마나 초라해보이는가? 내가 한번 해보겠다고 나서는 사람 옆에서 남탓만 하고 있는 사람은 얼마나 초라해보이는가? - 이것이 우리가 열정 넘치는 사람을 싫어하는 이유이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가 열정 넘치는 사람을 필요로 하는 진정한 이유다. 열정 넘치는 사람은 나같이 게으른 사람에게도 열정을 전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