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REAT IDEAS PROGRAM: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Great Books and to a Liberal Education [10 Volume set]

위대한 사상 프로그램: 위대한 저술들과 문리 교육에 대한 개관

 

#1 An Introduction to the Great Books and to a Liberal Education

#2 Development of Political Theory and Government 정치학 및 행정학의 발전

#3 Foundations of Science and Mathematics 과학과 수학의 기반

#4 Religion and Theology 종교와 신학

#5 Philosophy of Law and Jurisprudence 법철학 

#6 Imaginative Literature I: From Homer to Shakespeare 

#7 Imaginative Literature II: From Cervantes to Dostoevsky 

#8 Ethics: The Study of Moral Values 윤리학: 도덕 가치의 탐구

#9 Biology, Psychology, and Medicine 생물학, 심리학, 의학

#10 Philosophy 철학

 

THE GREAT IDEAS PROGRAM FAMILY PARTICIPATION PLAN 이라는 소책자도 있습니다.

 

책은 하드커버이고, 이런 가죽 장정 말고도 비슷한 베이지 색의 클로스 장정도 있습니다. 

 

 

 

 

 

 

 

 

 

심지어 소프트커버도 나왔군요.

 

 

 

Gateway to the Great Books 위대한 저술로 가는 길

제목에 나온 주제별로, 짧은 단편 에세이, 논문, 소설을 인용하였음.

말하자면 청소년용이라 할 수 있겠는데, 어른이라 해서 만만하게 볼 내용들은 아님.

 

Volume 1: Introduction; Syntopical Guide
Volume 2: Imaginative Literature I
Volume 3: Imaginative Literature II
Volume 4: Imaginative Literature III
Volume 5: Critical Essays
Volume 6: Man and Society I
Volume 7: Man and Society II
Volume 8: Natural Science
Volume 9: Mathematics

 

 

 

 

 

 

The Great Ideas Today (Current Developments in the Arts and Sciences, Reconsiderations of Great Books and Ideas, Special Features, Additions to the Great Books Library) : 그레이트북스 총서의 보유편. 1961~1998. 처음 수년간은 북커버가 있었음.

 

 

 

얘들은 또 언제 다 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전 독서계의 거봉, 대영백과사전출판사(Encyclopaedia Britannica)의

그레이트북스(Great Books of the Western World) 총서입니다.

(한길사에서 나오는 고전 총서명은 이 총서에 대한 오마쥬이련가요?)

 

영미권의 고전 총서 중에서는 시카고대학의 고전읽기 프로그램과 결부되어 큰 영향력을 행사했던 총서입니다.

(비슷한 성격의 총서로 하바드 고전 총서 가 있습니다.)

 

 

 

 

 

 

 

 

 

 

 

 

 

(독서의 기술 신판과 구판, 그리고 원서입니다. 제목이 바뀌었군요.)

 

 

 

 

 

 

 

 

 

 

 

 

 

 

특히나 허친스, 아들러 등의 편집자들이 제시한 독서 프로그램과 개론 부분에 해당하는 첫 3권은 이 총서만의 고유한 특징입니다. 럭셔리한 하드커버 양장제본, 금박 테두리, 그리고 지나치게 빽빽하여 부담감을 주는 2열 조판은 전형적인 고전의 모습입니다. 책은 참 좋은데, 읽기는 싫어지는 ... ^^

 

 

 

 

 

 

 

 

 

 

 

 

위 사진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1990년도 제2판입니다. 총 60권.

(클릭하면 해외직수입 상품이 나오는데, 음 ... 그냥 클릭하지 마세요.)

한국브리태니커 홈페이지에서는 정가 1,560,000원으로 매겨져 있는데, 역시 품절 상태로군요.

 

(얼마전에 브리태니커 본사에서 더이상 자사의 백과사전이 종이책으로 나오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발표를 했었는데요, 아마 이 그레이트북스도 비슷한 운명을 밟게 될 것 같습니다.)

 

(벌써 이런 식의 전자책을 향한 시도들이 많이 있습니다.

아무래도 원저작이나 번역물 모두 저작권 시효이 만료된 책들이 많다 보니 ...

 

프로젝트 구텐베르그 오스트레일리아

http://gutenberg.net.au/greatest-books-a.html

 

인터넷 아카이브

https://archive.org/details/greatbooksofwest02ency

 

리브리복스

http://wiki.librivox.org/index.php/Great_Books_of_the_Western_World_Year_One

http://wiki.librivox.org/index.php/Great_Books_of_the_Western_World_Year_Two

http://wiki.librivox.org/index.php/Great_Books_of_the_Western_World_Year_Three

 

 

아들레이드 대학 도서관 및 보충 작업

https://ebooks.adelaide.edu.au/l/literature/gbww/

http://prodigalnomore.wordpress.com/great-books-of-the-western-world-as-free-ebooks/

 

이스턴 대학 도서관

http://libguides.eastern.edu/greatbooks

 

등등 입니다.)

 

엄청나게 비싸죠? 뭐, 여차저차 해서 이 책을 찾는 분들은 대개 1952년도에 나온 초판을 구하게 되죠. 규모 있는 헌책방에 가보면 한 질 정도는 있습니다. 

 

(제 서가에는 1971년도에 찍은 초판 19쇄가 얼마 전에 들어왔습니다.

십 년도 더 전에, 한성대 근처의 어느 상가 건물에 있던 ...

사람 좋은 웃음으로 항상 반겨주시던 주인 할아버지가 운영하시던

헌책방에서 이 책을 발견하고서는, 사려고 돈을 뽑아 왔더니

그 사이에 팔려버렸던 아픈 추억이 있는데 ... 결국은 손에 넣게 되네요 ^^

그 헌책방은 몇 년 못 가 문을 닫았었는데 ... 할아버지 뭐 하시려나요~) 

 

초판은 총 54권으로, 여기에서 4종이 빠지고 20세기의 주요 저작을 비롯한 몇 가지가 추가되어 2판의 60권이 구성되게 됩니다.

 

주의할 점 : 초판의 표지 종류가 다섯 가지 정도 있습니다.

 

1. 이런 주황색 가죽 표지에 제목과 숫자 부분에 다른 색이 쓰인 것이 있고 ...

(그레이트 북스 전용 장식장이 서비스로 제공되었군요!

기부자들을 위한 특별판 정도로 추정됩니다.)

 

 

 

 

 

2. 갈색 가죽 표지에 제목과 숫자 부분이 검은색으로 된 것도 있군요.

 

 

 

 

 

3. 주황색이 아닌 약간 갈색의 클로스(로 추정되는) 표지로 된 것이 있고요.

역시 제목과 숫자에 색깔이 들어갑니다.

(이게 보급판의 성격을 지닌 것이라 합니다.)

 

 

 

 

4. 자, 이제부터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숫자 부분이 브리태니커 문장 위에 올라갑니다. 표지는 클로스 재질인데, 이 클로스에 여러 가지 색깔이 들어가면서, 제목을 검은색 배경에 넣었습니다. 이게 대략 과도기의 모습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책등에서부터 앞, 뒤 표지의 2/5 가량은 가죽으로,

나머지 앞, 뒤 표지 3/5 가량은 클로스 재질로 장정을 한 판본입니다.

책등이 검은 가죽이니 제목과 숫자에 색깔이 들어가고요.

 

 

 

 

아마도 흔히 접하게 되는 판본이 바로 이것일텐데요,

국내에 수입된 책들은 대부분 이 판본이 많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헌데, 한 가지 문제가 ... 

독재정권 시절에는 출판물에 대한 검열이 있었던지라,

해당 시기에 수입된 책들은 50권에 해당하는 Marx Engels 가 빠진 채

유통되었습니다. 총서를 사면서 이빨이 빠진 상태로 살 수 밖에 없었던 것이죠. 

그걸 팔아야 하는 한국브리태니커도 곤혹스러웠을 것이고,

사는 사람들도 씁쓸했을 겁니다.

당시엔 이 총서가 부잣집 서가 장식용으로 그렇게 인기였다고 하니,

뭐 별로 씁쓸하지 않고 오히려 不敢請이어늘 固所願이었으려나요? ^^

 

근데 그걸 중고로 사는 나 같은 사람까지 이빨 빠진 총서를 봐야 한다는 거 ...

이 일을 어찌 해야 하나요? 한국브리태니커에서 제50권만 좀 팔아주려나?

 

당시에 제50권만 수입이 금지되었다면, 그 책은 브리태니커 본사이든, 일본 지사이든(아마도 일본 지사에서 아시아 지역을 총괄하거나 하지 않았을까요?), 한국 지사이든 하여간 어딘가의 창고에 처박혀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수십년동안 총서 중에 한 권이 빠진 채로 판매가 되었다면 그 책만 수백, 수천 권 분량이 어딘가에 모여 있거나 ... 아니면 설마 혹시나 그냥 폐기처분되거나 했을텐데 ... 대체 그 수백, 수천 권의 제50권의 운명은 어찌 된 것일까요?

 

만약 그 책이 어딘가에 잘 모셔져 있다면, 지금이라도 한국브리태니커에서 당시에 제50권을 사지 못한 독자들을 위해 판매를 할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그것이, 이빨 빠진 총서를 살 수 밖에 없었던 한국 독자들에 대한,

이빨 빠진 총서를 팔 수 밖에 없었던 한국 지사의 마땅한 책무 아닐까요?

 

200년이 넘게 이어진 전통은 이런 것 하나를 지켜줄 때 더욱 빛이 날 것입니다. 아버지 때 샀던 총서의 결권을, 아들에게 전달해준다 ... 멋지지 않습니까?

 

 

(추가1: 한국브리태니커에 문의해 보니, 1992년도에 판매금지가 해제되고서 그전까지 판매는 못하고 보관만 하던 제50권을, 독자들의 요청에 의해 판매했었다고 합니다. 그때 많은 분들이 사셨다고 하네요. 저와 상담하신 분도 몇 년 전에 이런 요청이 있어서 보내드렸던 기억이 있다고 하시네요. 하지만 지금은 더 이상 재고가 없다고 하는데 ... )

 

(추가2: 처음 상담하고 다음날, 회사에 오래 계셨던 분과 통화가 되었습니다. 50권을 판매하고서 남은 분량은 더 이상 찾는 이가 없어 그냥 폐기처분했다고 하십니다. 설마 혹시나 했더니 진짜였어 ... 나쁜사람~ 나쁜사람~

그렇다면 이 아이들은 헌책방 쪽으로 흘러들어갔다는 말인데 ... 음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침구학술사대강]으로 한의계에 파장을 던졌던 황룡상 선생의 신간이 나왔습니다.

[침구명저집성], [중국침구경락통감], [중국침구자구법통감] 등등

진지한 학술자료집들도 소개되어 널리 읽혀야 하는데 ... 약간의 아쉬움은 있습니다.

 

매우 기대되는 한편 ... 뭔가 의구심이 ...

 

원저는 [도설중의-침구]입니다. 인민위생출판사에서 나왔군요.

각 분야별로 황룡상 선생 급의 저자들이 참여했다면 ...

도설중의 시리즈의 나머지 책들도 꽤나 궁금해지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국에서 활동하시는 조선족 명노중의, 안동주 선생의 임상 기록.

이번에 한국어로 번역되어 나왔습니다.

 

원래 [백병임상실록]이라는 제호로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나왔는데

아마도 책이 좋고 수요가 많고 하니 [노의비본]이라는 제호로 새로 펴냈군요.

그것도 무려 중국중의약출판사. (인민위생, 학원 등과 더불어 트로이카라고 할까?)

 

중국은 책 한 번 나오면 어지간해서는 재판 잘 안 찍던데, 제호까지 바꿔서 새로 ...

뭐 그러니 한국어판까지 나왔겠지만요.

 

표지 디자인은 개인적으로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좋아하니, 중국 쪽의 손을 들어주고 싶습니다.

(다만 '안동주 임상험안정선'이라는 부제 부분은 영 조잡하군요.)

한국어판 표지는 세련되고 현대적인 맛이 있고요. 특히 저 귀여운 눈망울~ 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본에서 사온 팝업북을 아이가 좋아해서

다른 것도 없나, 찾아보다가 애플비에서 나온 팝업북을 골랐습니다.

 

헌데, 크기만 좀더 클 뿐 두께는 비슷한데 페이지수도 반 밖에 안 되고 ...

팝업물의 내용도 조금 부실합니다. 뭔가 팍팍 튀어나오고 그런 역동적인 것들이 별로 없네요.

뭔가 아기자기하게 손으로 만들고 하는 ... 종이 공예에서는 아직 원조를 따라갈 수가 없는 건가 ...

 

일본에서 사온 팝업북은 소학관에서 나온 것인데,

다행히 국내에서도 대교출판에서 소개했군요.

 

대교출판사 판이 소학관 판을 가져오면서 만듦새 등의 품질에 어떤 차이가 있을지는 모르지만 ...

(일본에 직접 가서 사오지 않는 이상) 당연히 값은 일단 한국어판이 좀더 싸고요 ...

일단 이 시리즈를 강추 드립니다.

책은 자그마한데 꽉꽉 채운 좋은 그림들이 팍팍 튀어나오고 막 그렇습니다. ^^

 

 

 

 

 

 

 

 

 

 

 

 

 

 

 

 

 

 

1차분 ... 

 

 

 

 

 

 

 

2차분 ...

 

 

 

 

 

 

(그런데 ... 동물과 동물원, 그리고 동물친구들 까꿍! 의 차이는 뭐지?

그리고 바다동물과 ... 국내에는 소개 안 된 수족관의 차이는 또 뭐고 ...

2차분의 경우, 뒤에 두 가지는 와라베 키미카 씨의 것이 아닙니다.

어쩐지 뭔가 좀 어설펐어 ...

차라리 서커스, 수족관, 크리스마스 등등 한국에 안 나온 걸로 했으면 어땠을까 싶네요.)

 

 

 

소학관 원본

 

 

 

 

 

 

 

 

이게 일본판입니다. 어른 손 안에 거진 다 들어가는 크기입니다.

물론 아기들한테는 딱 맞는 사이즈 ...  

찾아보니 대형판도 있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