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최초의, 체계적인 정리물은 일본 민속학자 무라야마 지쥰(村山智順)의 조선총독부 보고서, 저 유명한 [조선의 풍수] 되겠다. 일본인이 지은 보고서 답게, 간략한 요점 정리가 돋보인다.

 

 

 

 

원래 민음사에서 최길성 선생 번역으로 나왔더랬는데, 찾을 수가 없어 일단 명문당판과 민속원 일본어 원본 복각판을 올려놓는다.  

참고로, 해방 이후 당대 일본 학자의 시각으로 우리의 풍수라는 현상을 관찰한 저작도 상재된 바 있다. 노자키 미츠히코(野崎充彦)가 지은 [한국의 풍수사들].  

  

 

 

 

 

한국 지리학계에서 풍수에 대한 학문적 정립에 힘쓴 최창조 전 서울대 교수의 작업물도 많다. 

먼저, 대우학술총서로 나왔던 [한국의 풍수사상]은 조선시대 수도 한양의 선정을 중심으로 한 도읍풍수 부분에 대한 서술이 많고, 서해문집에서 나왔던 [좋은 땅이란 어디를 말함인가?] 같은 서적은 '한국풍수의 이론과 실제'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풍수의 기초이론을 체계적으로 서술한 책이고, [한국의 풍수지리]는 다양한 내용들이 골고루, 약간은 이야기식으로 나온다.

 

  

풍수학 최고의 경전인 [청오경](장경) 및 [금낭경](장서) 번역물. 

 

 

 

 

 [터잡기의 예술] 같이 서구에서 받아들여진 풍수(Fengshui) 이론을 소개한 책도 있고.

이후의 책들은 틈틈이 잡지 등에 발표하는 글들을 모은 것들이 위주인데, 조금 비슷비슷한 주제들을 반복하는 느낌이다.  

 

 

 

 

 

 

 

 

말 그대로 '풍수잡설'의 범주에 들어갈 내용들이고, '새로운' 풍수이론이라고 나온 책도 이전에 나온 몇 권의 책들, 특히 민음사와 같은 계열사인 판미동에서 나온 [도시풍수] 등에 나온 내용이나 일화들이 유사하게 반복된다. 소위 '자생풍수'나 '양택풍수', '도시풍수' 등의 용어와 '명당은 만드는 것이다' '좋은 땅이 아니라 나와 맞는 땅을 찾아라' 등의 지론들... 

 

 

그나마 [북한문화유산답사기] 정도가 조금 새로운 내용이 있고... 

 

 

 

 

 

 

독문학자 김두규도 풍수 고전의 번역 및 신작의 꾸준한 집필을 병행하고 있다. 

 

 

 

 

[지리신법], [명산론], [갑룡경], [의룡경] 등을 번역하여 고전을 죄다 번역하고, 

 

 

 

 

사전에다가, 강의록까지 펴냈다. 오히려 풍수이론의 체계적인 소개는 김두규 교수가 도맡아 하는 느낌이다.  

 

조인철 씨는 건축가 답게 실제 부동산의 측면에서 풍수를 접근하고 있고. [우리시대의 풍수]는 강의교재 같은 분위기의 책으로, 다양한 풍수 고전을 섭렵한 저자가 풍수 기초 이론을 잘 정리한 책. 특히 도판들이 괜찮다. 나머지 두 권도 일반인들이 재미 삼아 보기 좋은 책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