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308 #시라는별 79
곰의 내장 속에서만
- 나희덕
괴혈병에 걸리면 더이상 고기를 씹을 수 없게 되고
북극에서 그것은 죽음을 의미하는 것
북극에서는 죽어도 썩을 수가 없어서
유빙들 사이로 떠다니며 영원히 잠들 수 없다지
죽으러 갈 수 있는 곳은
북극곰의 내장,
따뜻한 내장 속에서만 천천히 사라질 수 있을 뿐
아들은 병든 어머니를 업고 가서 얼음 벌판에 내려놓고
어머니를 곰에게 먹이로 바치고
어머니는 어서 가라, 아들에게 손을 흔들고
아들은 몇 번이나 뒤를 돌아보고
언젠가 자신이 묻힐 곰의 캄캄한 내장 속을 생각하고
이글루 속에서
이글루 속에서
아이들은 자라고
아이들의 이도 자라고
물개나 바다표범을 사냥하는 법을 배우고
곰을 잡아 곰고기도 먹지만
이누이트족이 곰의 내장을 먹지 않는 건 그래서일까
더운 그것이 어머니의 무덤인 것만 같아서
아직 그 속에 남아 있는 것만 같아서
* 실제로는 곰의 내장에 치사량의 고농도 비타민A가 들어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문학동네시인선 167번째 시집이자 나희덕 시인의 아홉 번째 시집 『가능주의자』에서 나희덕이 전하는 ‘시인의 말‘은 묵직하고 뜨끈하다.
어떤 핏기와 허기와 한기가 삶을 둘러싸고 있다.
그것은 일종의 벌거벗음에서 왔다.
피. 땀. 눈물.
이 세 가지 체액은 늘 인간을 드나든다.
마음이 기우는 대로
피와 땀과 눈물이 흐르는 대로 가보면
통증과 배고픔과 추위를 느끼는 영혼들 곁이었다.
시는 영원히 그런 존재들의 편이다.
피. 땀. 눈물. 인간을 드나드는 세 가지 체액. 이 시집에 실린 대부분의 시가 이 세 가지 체액의 넘나듦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곰의 내장 속에서>라는 시가 내게는 가장 큰 일렁임으로 다가왔다.
자식은 부모의 피로 태어나고 땀으로 길러지고 눈물로 삼켜진다. 시신이 썩을 수 없는 차디찬 북극. 아들은 괴혈병에 걸린 어미를 업고 곰이 드나드는 얼음 길목에 어미를 내려놓는다. 그래야 어미의 육신이 ˝유빙들 사이로 떠다니˝지 않고 곰의 ˝따뜻한 내장 속에서˝ 서서히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어미의 피와 땀과 눈물을 먹고 자란 아들은 어서 가라 손짓하는 어미를, 제 젖줄의 존재를, 돌아보고 돌아보고 또 돌아본다. 아들은 눈물과 한숨과 회한을 삼키며 발길을 돌렸으리라. 그에게는 기다리는 처자식들이 있고, 살아남은 이들은 이들대로 무시로 찾아드는 ˝통증과 배고픔과 추위˝를 견디며 살아가야 하므로.
곰의 내장에 들어 있는 치사량의 고농도 비타민A. 이누이트족이 곰의 내장을 먹지 않는 건 그것 때문이지만 시인은 그곳이 ˝어머니의 무덤인 것만 같아서, 어미가 ˝아직 그 속에 남아 있는 것만 같아서˝일지 모른다고 해석한다. 슬프고도 아름다운 시적 풀이.
˝피와 땀과 눈물이 흐르는 대로˝ 가서 ˝통증과 배고픔과 추위를 느끼는 영혼들˝의 편에 서려는 자가 비단 시인만은 아닐 것이다. 나는 정치인도 그런 이들의 편에 서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 한 명이다. 국민의 피와 땀과 눈물을 닦아 줄 수 있는 자여야 한다고. 그러니 투표는 ˝불가능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일종의 진단 키트가 되어줄 것이다.
저는 가능주의자가 되려 합니다
불가능성의 가능성을 믿어보려 합니다
.
.
(중략)
나의 시대, 나의 짐승이여,
이 이빨과 발톱을 어찌하면 좋을까요
찢긴 살과 혈관 속에 남아 있는
이 핏기를 언제까지 견뎌야 하는 것일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무언가 가능하다고 말하는 사람이 되는 것은
어떤 어둠에 기대어 가능한 일일까요
어떤 어둠의 빛에 눈멀어야 가능한 일일까요
세상에, 가능주의자라니, 대체 얼마나 가당찮은 꿈인가요 (<가능주의자>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