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1213  매일 시읽기 76일

눈사람
- 함민복

굴러굴러 
몸 만들었구나

차고 둥근 
물알 두 개

평편하게 
한 세상 살지 않고 

끝 찾아
다시 펼쳐 놓고 싶은

눈사람 
사람눈

2020년 겨울 첫눈이 왔다. 밤사이 뽀지게 내렸다. 펑펑까진 아니고 펄펄 내리다 샤락샤락 떨어지다 슬금슬금 물러서다 스리슬쩍 그치었다. 구름을 비집고 해가 얼굴을 내밀었고 아침 나절을 하얗게 물들인 눈들은 녹아내려 말라버리거나 흙속으로 스며들었다.

눈이 나리면 어김없이 떠오르는 시는 백석의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이지만, 오늘은 백석 대신 어제 펼친 함민복의 시집 <<말랑말랑한 힘>> 에서 ‘눈사람‘을 찾아 읽었다. 며칠 전부터 아들이 ˝엄마, 겨울인데 눈이 안 와 눈이 안 와!˝ 노래를 부르며 하늘 한 번 보고 한숨
한 번 쉬고, 하늘 한 번 보고 한숨 한 번 쉬었더랬다. 하늘님이 아들의(이런 아이 어디 한둘이었을까) 원망 섞인 한숨 소릴 들었나 보다. 아침에 일어나 하얀 눈꽃 피운 산 풍경을 보고는 ˝우와 예쁘다 우와 예쁘다˝며 감탄사를 연발한다. 이런 아이 또한 어디 한둘이었을까.

함민복 시인의 ‘눈사람‘은 어제 올린 ‘뻘‘과 비슷하게 보드라움의 힘을 이야기한다. ‘뻘‘이 말랑말랑하다면 ‘눈사람‘은 둥글둥글하다. ˝말랑말랑한 흙이˝ 발을 잡아주고 길을 잡아주었다면, 둥글둥글한 눈사람은 갔던 길 돌아보게 왔던 길로 이끈다. 바르고 넓은 ˝평편˝한 세상에 갇혀 살지 말고 삐뚤빼뚤하고 울퉁불퉁한 세상도 겪으며 살되, 너무 모나지 않게 둥글둥글해지란다. 아이고, 이리 어려운 주문을 하시다니요. 시인이 ˝차고 둥근 / 물알 두 개˝를 포개고서 끝을 찾아 다시 펼쳐 놓은 것은 ˝눈사람 / 사람눈˝이었다. 이런 시적 언어 유희 참 좋다.

2020년 12월 13일. 눈이 나려 아들과 짧은 눈싸움울 끝내고 자그마한 눈사람을 만들어 사람눈에 담았다. 그 시간은 참으로 짧았다. 2012년 12월 5일. 서울에 첫눈으로 함박눈이 내려 딸과 아들은 시린 손들을 호호 불며 자기들 키 만한 눈사람을 만들고 눈 쌓인 골목길을
뛰어다녔다. 2012년 12월 7일. 옥상에서 녹지 않고 쌓여 있던 눈을 양동이에 퍼 담아 아이들과 함께 아빠, 엄마, 딸, 아들, 꼬마 눈사람을 만들어 냉동실에 보관했다. 그 시간들은 제법 길었다. 중딩과 초딩 고학년이 된 아이들은 이제 눈에 파묻히는 대신 핸드폰과 탭에 파묻히길 더 좋아한다. 어찌할 도리가 없다.

옆지기도 싫다, 아이들도 싫다 하여 나만 홀로 시댁 근처 부천 원미산에 올랐다. 눈이 그친 산에서는 겨울 시린 바람이 매섭게 불어댔다. 휘이잉휘이잉. 쉐에엑쉐에엑. 높지 않아도 골짜기 깊은 산에 들면 언제나 파도 소리가 뒤따른다. 동무처럼. 적군처럼. 오늘의 바람은 동무로구나. 눈이 나린 뒤 산길은 말랑말랑함을 넘어 질척질척하다. 그럼 어떤가. 고요함 속의 고독한 즐거움을 누렸으니, 나, 조금, 둥굴둥글해졌으려나.



댓글(4)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yo 2020-12-13 2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눈사람, 열심히 웃다가 결국 물로 녹아버릴 것 같아서 어째 짠하네요ㅠ

행복한책읽기 2020-12-14 15:37   좋아요 0 | URL
ㅋ 눈사람 사진은 8년 전이에요. 진즉에 녹아 없어졌답니다.^^

희선 2020-12-14 01: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눈이 온 곳도 있고 비가 온 곳도 있군요 제가 사는 곳은 비가 왔을 거예요 눈은 안 보이고 그저 젖은 바닥만 보였으니... 어제 새벽부터 바람이 좀 불었던 것 같기도 하고, 지금도 붑니다

저도 눈이 왔으면 해요 그냥...


희선

행복한책읽기 2020-12-14 15:39   좋아요 1 | URL
아이고. 눈을 바라는 희선님 맘이 여기까지 전해져요. 눈을 날마다 볼 수 있는 게 아니다 보니 기다리게 돼요. 희선님 사는 곳에도 눈이 펄펄 나리기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