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고로야, 고마워
오타니 준코 지음, 오타니 에이지 사진, 구혜영 옮김 / 오늘의책 / 2001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인간이 아닌 어떤 것이 인간들에게 희로애락을 주고, 또 그 기록을 읽는 사람들에게까지 감동을 전해줄 수 있군요. 여느 동물 이야기가 아니라, 사지가 온전치 못한 '장애원숭이'의 이야기입니다. 오타니 준코와 오타니 에이지라는 부부가 작은 일본원숭이와 함께 생활하면서 보고 느낀 것들을 담담하게 적었습니다. 두어달 전 신문 북리뷰에 기사가 실린 것을 봤는데, 꼬마원숭이 다이고로의 사진이 눈길을 확 잡아끌었습니다. 즐거운 호기심이 아니라, 보는 사람의 마음을 너무 아프게 하는 사진이었습니다.

그 사진을 보고서 저 책을 꼭 읽어야지, 했었는데 우연찮게 기회가 닿아 휴가기간 중에 책장을 넘기게 됐네요. 한 장 한 장이 모두 감동입니다. 감동이라는 말을 남발하면 줄어드는 법인데^^ '생명은 정녕 그 모습이 어떻든 아름다울 수 밖에 없다'는 최재천교수의 추천사가 아깝지 않네요.

일본의 한 섬에서 태어난 다이고로는 나면서부터 두 팔의 팔꿈치 아랫부분이 없고, 다리는 아예 없는 기형이었다고 합니다. 방송국 직원이면서 이른바 '사회파 사진작가'였던 오타니 에이지는 촬영 도중 발견한 이 작은 원숭이를 집으로 데려옵니다. 에이지와 아내 준코는 이 '아이'에게 다이고로라는 이름을 붙여주고, 자식처럼 키웁니다.

일본에서 1955년 이후로 기형 원숭이들이 많이 태어났는데 아직까지도 원인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고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 즉 공해 같은 것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겠거니 하는 추측만 있을 뿐이랍니다. 준코는 마침 원폭 투하가 있었던 히로시마 출신인데, 그 자신은 장애인이 아니었지만 생명의 소중함과 장애인에 대한 관심을 계속 잃지 않은 사람이었던 모양입니다. 부부는 세 딸과, 다이고로와 가족처럼 살아갑니다. 이들 가족이 다이고로와 함께 보낸 2년4개월의 기록인데, 사진들만 봐도 마음이 아프면서 또 따뜻해집니다.

다이고로는 죽었고, 이후 20년 가까운 세월이 흘렀습니다. 부부는 88년부터 남편 에이지의 고향에서 민박집을 경영하고 있다고 합니다. 맛있는 무공해요리를 만들어주는 여관인데, 장애인들이 편하게 쉴 수 있는 곳이라고 합니다. 얇은 책 한권, 그리고 사진들 속에 담긴 메시지와 온기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마음에 넣어야 할 것들을 잃어버리지 않고, 머리 속으로 생각한 것들을 몸으로 풀어가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죠. 다이고로와 이들 부부의 삶, 두 가지 모두 그렇습니다. 2년여의 짧은 기간이나마 장애를 이겨내려 애썼던 작은 원숭이. 다이고로가 전해준 고마음을 다시 바깥 세상에 퍼나르는 부부의 인생. 가볍지 않은 감동이 들어있어서, 아주 재미있으면서도 눈물 난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